본문내용
육 현실인 것인가? 지금 이 부분에 대해서는 여러 방안들이 나온 것으로 알고 있다. 방송에도 방영이 되었듯 여느 학교에서는 학원으로 학생들을 보내지 않기 위해 독특한 아이디어들을 가지고 방과 후 계획표를 짜고 실행에 옮겨 좋은 반응을 얻었다고 한다. 이렇게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발 벗고 나서야만 더욱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야만 부모들도 신뢰하며 학교에만 아이들을 맡겨 놓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4) 초·중·고·대학의 뒤바뀐 교육제도
말도 안 되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 기껏해야 8,9살 된 아이들의 가방 속엔 무엇이 들어있는지 끙끙 메며 매일 등하교를 한다. 그에 비해 금요일 오후도 채 되기 전에는 벌써부터 수업이 끝나 집에 돌아가거나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는 대학생들로 신이 나 있는 거리를 볼 수 있다. 중·고등학생들은 좋은 대학을 위해 적성이 맞지 않더라도, 안정된 직업을 갖기 위해 밤이라는 시간을 지나 새벽이란 시간까지 학교나 학원에서 공부를 하곤 한다. 하지만 더 공부를 열심히 해서 자신만의 전문적인 지식을 쌓아야 할 대학생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자신이 중·고등학생 때 처럼 공부를 한다면 아마 과탑을 할 수 있겠다는 식이다. 뭔가 뒤죽박죽인 느낌이 든다. 이 뒤바뀌어 버린 느낌은 학기 중의 이야기에 이어 방학의 기간에 까지 영향을 미친다. 뛰어다니며 때론 여러 꿈을 꿔 보기도 하며 또는 자연에 대해 자세히 알아도보며 즐길 수 있는 나이. 이런 초등학생은 정작 방학을 즐기지 못하는 아이들이 많다. 기껏해야 짧은 방학에 더해서 학원 방학이 되어야만 한번 바다를 볼 수 있는 이 아이들을 보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참 많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선 무엇보다 선진국형 교육 제도를 본받아야 될 필요성을 느낀다. 나이가 많을수록 더욱 책임감을 느끼며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만 할 것이다.
(5) 교육에 대한 의식
교육을 받는다 라는 것은 세상에 있는 많은 지식 중 나에게 맞을 만한 지식을 배우고 그 배움에서 기쁨을 얻으며 더욱 나은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요즘 시대에서의 교육의 참 뜻은 무엇일까? 단지 더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단순히 생각하기도 싫은 전쟁과 같은 과정일까? 이 부분에서도 우리들의 의식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간절히 느낄 수 있다. 사회적인 모든 분위기와 어른들의 입에서 나오는 무의식 속의 잘못된 말들로 인해 이제 막 자라나는 아이들은 배워 온 대로 분명 교육에 대해 잘못된 의식을 가지고 있게 될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대중매체들을 통해 어른들의 의식을 변화시키고 더불어 아이들의 의식 또한 변화 시켜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모두 아는 사실이듯이 우리나라는 참 짧은 시간동안에 너무 많은 것들을 이루었다. 많은 발전이 있었고 많은 사고가 있었다. 물론 선진국의 모습을 닮아가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겉모습의 변화가 있는 만큼의 여러 방면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은 자라지 못한 것 같다. 이로 인해 우리들의 의식변화는 참으로 조급해 보인다.
(4) 초·중·고·대학의 뒤바뀐 교육제도
말도 안 되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 기껏해야 8,9살 된 아이들의 가방 속엔 무엇이 들어있는지 끙끙 메며 매일 등하교를 한다. 그에 비해 금요일 오후도 채 되기 전에는 벌써부터 수업이 끝나 집에 돌아가거나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는 대학생들로 신이 나 있는 거리를 볼 수 있다. 중·고등학생들은 좋은 대학을 위해 적성이 맞지 않더라도, 안정된 직업을 갖기 위해 밤이라는 시간을 지나 새벽이란 시간까지 학교나 학원에서 공부를 하곤 한다. 하지만 더 공부를 열심히 해서 자신만의 전문적인 지식을 쌓아야 할 대학생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자신이 중·고등학생 때 처럼 공부를 한다면 아마 과탑을 할 수 있겠다는 식이다. 뭔가 뒤죽박죽인 느낌이 든다. 이 뒤바뀌어 버린 느낌은 학기 중의 이야기에 이어 방학의 기간에 까지 영향을 미친다. 뛰어다니며 때론 여러 꿈을 꿔 보기도 하며 또는 자연에 대해 자세히 알아도보며 즐길 수 있는 나이. 이런 초등학생은 정작 방학을 즐기지 못하는 아이들이 많다. 기껏해야 짧은 방학에 더해서 학원 방학이 되어야만 한번 바다를 볼 수 있는 이 아이들을 보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참 많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선 무엇보다 선진국형 교육 제도를 본받아야 될 필요성을 느낀다. 나이가 많을수록 더욱 책임감을 느끼며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만 할 것이다.
(5) 교육에 대한 의식
교육을 받는다 라는 것은 세상에 있는 많은 지식 중 나에게 맞을 만한 지식을 배우고 그 배움에서 기쁨을 얻으며 더욱 나은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요즘 시대에서의 교육의 참 뜻은 무엇일까? 단지 더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단순히 생각하기도 싫은 전쟁과 같은 과정일까? 이 부분에서도 우리들의 의식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간절히 느낄 수 있다. 사회적인 모든 분위기와 어른들의 입에서 나오는 무의식 속의 잘못된 말들로 인해 이제 막 자라나는 아이들은 배워 온 대로 분명 교육에 대해 잘못된 의식을 가지고 있게 될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대중매체들을 통해 어른들의 의식을 변화시키고 더불어 아이들의 의식 또한 변화 시켜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모두 아는 사실이듯이 우리나라는 참 짧은 시간동안에 너무 많은 것들을 이루었다. 많은 발전이 있었고 많은 사고가 있었다. 물론 선진국의 모습을 닮아가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겉모습의 변화가 있는 만큼의 여러 방면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은 자라지 못한 것 같다. 이로 인해 우리들의 의식변화는 참으로 조급해 보인다.
추천자료
7차국어과 교육과정의 문제점
한국의 7차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그 보완
실습 학교의 교육과정 문제점 분석 비판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대안
제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과과 해결방안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 체육을 주심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에 대한 의견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 교육과정 변천과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 내용체계와 단...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의 개정중점, 미...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정의와 대상,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의의,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특별활동교육과정]특별활동의 개념, 특별활동의 목표, 특별활동의 기본방향, 특별활동의 내...
[수학교육과정의 문제점에 대해 논하고 교사의 역할의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