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7차 교육과정 개요

2.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
가-1.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문제점
나-2. 고교2-3학년 선택중심교육과정의 문제점
다-1. 수준별 교육과정의 문제점
라-1. 재량활동의 신설 및 확대의 문제점
마-1. 교과별 학습량의 최적화와 수준의 조정의 문제점
바-1. 질 관리 중심의 교육 과정 평가 체계 확립의 문제점

3. 7차 교육과정의 정책적 문제점

4. 결론

본문내용

사의 권위가 실추되고 평가에 의한 교사간의 갈등이 심화됨.
자. 열등한 학생으로 낙인찍힌 아이들의 탈선은 심화될 것. 교실붕괴 등.
4. 결론
교육은 '百年之大計'라고 한다. 즉 그 느림의 지대한 영향 속에는 섬세하고 미래를 내다보며 초래할 결과까지를 고려하는 해안(解顔)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싶다. 하지만 우리의 현실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1954년 이후 공식적인 교육과정 문서가 7차례나 변화되어져 왔고 이는 정권의 정통성과 지속성이 모호한 우리 현실에 비춰볼 때 억지행정, 보여주기식 행정이라 생각지 않을 수 없게 하는 증거이다. 정권이 변화할 때마다 입시제도도 변화를 거듭해왔고 임기 5년의 정권이 곧 교육과정의 시한을 의미하는 단계에까지 다다랐다. 교육정책입안에 있어 수요자인 학생개개인의 목소리를 듣고 이들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혼선을 제거해주는 진정한 교육개혁을 기대해 본다.
원래 교육부에 위탁을 받았던 연구자들은 교육과정은 교사의 자발적인 참여 없이는 불가능 하며, 학교의 자율성을 최대한으로 살려야 성공할 수 있다고 했다. 그것이 실패하면 치료약이 아닌 독이라는 것을 교육부에 위탁을 받았던 연구자들도 주장했던 바이다. 그런데, 교육부는 편제표로 6차 교육과정에 있었던 학교의 재량권을 박탈하였고, 각종지침으로 교육청을 얽어매고 있다. 일부나라에서는 교사들의 광범한 주도적인 참여하에 6년이 걸려서 나올 수 있는 교육과정이 우리의 경우는 교사를 형식적으로만 참여시키거나 배제한 채 6개월만에 나왔다. 차후 한 나라의 교육을 송두리째 변화시킬 교육과정을 만들 때는 좀 더 신중해지기를 기대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5.28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52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