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 럭 클럽 영미 소설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이 럭 클럽 영미 소설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오리엔탈리즘이란?
정의

서양인의 시각

-소설의 구성
줄거리
플롯

-모녀 갈등 플롯에 대해서
민족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모녀간 세대차이 (예를 포함)
언어,성격, 나이 등

-화해를 통한 정체성

-상징성
백조 깃털로 대변되는 이민자의 꿈과 현실

-영화와 소설의 차이점

본문내용

를 찬양하는데서 벗어나 에이미 탄은 여성의 희망과 욕망의 과잉이라는 또다른 인간적 부분을 문학에 창조하여 여성을 여성으로서만이 아닌, 인간으로서 그려내 단순한 멜로드라마의 장르에서 벗어난다.
대부분의 엄마들은 딸이 자신의 인생과는 다른 삶을 꾸며가길 바라는 것 같다. 그래서 딸이 자신의 기대에 못미치게 되면 좌절하게 되는 것이다. 설사 그것이 딸이 스스로 선택한 인생이라 하더라도... 엄마가 바라는 궁극적인 소망은 물론 딸의 행복이다. 이것은 너무도 당연한 사실이다. 그런데, 그 행복의 기준을 엄마들이 스스로 매겨놓는데에 문제가 있는 듯 하다. "나와는 다르게 당당하게 세상을 살아갈 수 있었으면..." "나는 그렇지 못했지만, 내 딸만은 남편이나 자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인생을 살아갔으면..." 하는 바램은 어느 엄마들이나 가지고 있는 공통점인 것 같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딸들이 항상 엄마의 바램대로 되어주지는 못한다. 인생이라는 것이 바라는 대로만 흘러갈 수는 없는 것이기도 하거니와, 딸들은 자신의 인생을 직접 재단할 권리가 있다.
이 영화에서 딸들은 말한다. "엄마의 기대 때문에 나는 힘들었다"고... "엄마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자신을 미워하게 되었다"고... 하지만, 정작 엄마는 그 딸에게 기대한 적이 없단다. 단지 희망을 가졌을 뿐이라고 했다. "기대"라는 단어가 주는 의무감이나 부담감은 너무 무거웠고, 그 무게에 짓눌려 자기 자신에게 느끼게 되는 실망감이 문제였던 것이다. 딸들은 애써 엄마의 기대에 부응하려고 자신을 괴롭히지 않아도 괜찮았던 것이다. 엄마가 딸에게 품은 것은 단지 "희망"이었으니까... 새털처럼 가벼운 느낌의 단어. 그 속에는 짐스러운 부담감 따위는 느끼지 않아도 좋다는 의미까지 포함된 것이니까...
줄거리
1940년대 가난과 핍박과 멸시를 피해 샌프린시스코로 이민 온 4명의 중년의 어머니들과 그녀들의 장성한 4명의 미국 태생의 딸들간의 세대 갈등과 문화 및 가치관의 충돌, 그리고 사랑과 화해를 그리고 있다. 몇달 전에 어머니를 잃은 준(June: 밍나 웬 분)의 첫 중국방문을 축하하기 위해 그녀의 집에서 열린 송별파티에서 얘기는 시작된다. 준은 어머니가 중국을 침략한 일본군을 피해 달아나다 남겨놓고 온 쌍둥이 언니를 만나러 가는 것이다. 준의 어머니가 멤버였던 마작 모임인 "조이 럭 클럽(喜福)"에 처음으로 참석, 다른 아줌마 멤버들인 3명의 어머니 친구들과 얘기를 나누면서 여덟 모녀의 삶이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보여진다. "현재 갈등 - 과거 회상 - 화해"로 이어지는 네 개의 이야기가 두번째부터는 이미 신선감을 잃지만 힘있는 마무리에서 다시 활기를 회복한다
이 작품은 총 16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져 있다. 부잣집 민며느리로 들어갔던 린도 종과 바람둥이 남편 때문에 마음 고생을 겪은 잉잉 세인트 클레어, 첩으로 들어간 어머니를 그리는 안메이 슈, 그리고 전쟁통에 쌍둥이 딸과 이별해야 했던 쑤안 우. 이 네 사람이 ‘조이럭 클럽’의 1세대이다. 각자 가난과 핍박을 피해 미국으로 건너온 이들 네 사람은 마작 모임을 통해 향수를 달래고 대화할 상대를 찾는다. 이들 모두는 딸들이 자신과 같은 삶을 살지 않기를 바라지만 세상일이 그리 뜻대로 되지는 않는다.
린도의 딸 웨이벌리는 어려서부터 어린 나이에 체스 신동으로 불리며 엄마의 자랑거리가 되지만 그 부담감 때문에 반항적인 아이로 성장한다. 잉잉의 딸 레나는 모든 것을 남편과 반씩 부담하며 사는 자신의 결혼생활에 회의를 느낀다. 안메이의 딸 로즈는 미국인 남편에게 최선을 다하지만 정작 그녀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그리고 쑤안의 딸 준은 엄마의 큰 기대에 부합하지 못한 스스로를 원망하며 살아간다
동양사상의 배경
-불교와 도교
불교와 도교라는 중국 전통 철학으로인한 영향으로 동양문학 속 인물들의 관계는
ruler-subject
father(mother)-son(daugther)
husband-wife
elder-younger brother
friend-friend
정도로 간추려 볼수가 있다. 자식의 의무가 부모에 대한 복종과 그들의 마음을 무조건적으로 따르는 것인 중국관습을 갖은 어머니들과 그것을 속박과 노예화로 생각하는 미국화되어버린 딸들의 충돌이 이 소설의 뼈대 갈등이다.
특히나 도교에서 말하는 음과 양의(Yin and Yang)의 조화는 우주를 이루는 5가지 성질 즉, 물, 불, 나무, 금속, 토양의 상호작용을 좌우한다. 예를들어 불은 양이 너무 많고 물과 나무는 음이 너무 많다. 이 전체의 우주는 음양의 다른 조합에 따라 운행된다는 것인데 이 소설 속에서는 준의 어머니가 사람을 판단할 때 이 조합에 근거한다
준의 아버지-화성이 너무 많아 성격이 고약하다고 생각함
안메이 아주머니-목성이 너무 적어 귀가 얇고 자기 주장이 없음
준-수성이 너무 많아 한가지 일에 전념을 못함
재미있는 것은 이런 어머니의 생각을 중국미신이라고 치부한 준이 대학에서 심리학 개론을 듣고 난 뒤 어머니에게 ‘남을 지나치게 비판해선 안된다’고 배운 것으로 대화해보려 하지만 어머니는 ‘넌 기대만큼 해본적이 없다’며 간단히 방어한다. 이 부분은 코믹하기도 하지만 중국의 고대 신앙과 서양의 합리적인 체계의 학문(그것이 비록 심리학임에도)이 충돌하는 지점이고 이것은 모녀의 간극을 대변해준다는 점이다.
도교란
사상·교리·기술(技術)·사회·교단(敎團)·신앙대상 및 신앙의례 등 모든 요소를 함유하는 문화복합체이다. 그것은 중국의 역사와 풍토, 지역적 조건 안에서 정치와 사회·문화 등과 관련되면서 전개된 생활문화를 기초로 하여 발생한 것이다. 말하자면, 중국민족 고유의 종교문화라고 할 수 있다. 그와 비슷한 유형으로 발전한 것에 유교가 있다.
그러나 양자의 차이는, 유교가 중국의 사회·국가의 질서, 그리고 학문·기술을 통치자의 입장에서 구명(究明)하고자 한 것과는 달리, 도교는 종교적 요소를 중심으로 하여 사회의 질서 및 학문·기술을 민중의 입장에서 밝히고자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도교에서는, 유교에서 배격한 미신이나 온갖 도깨비·변괴귀물(變怪鬼物) 등 무축적 귀신신앙(巫祝的鬼神信仰)도 포함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07.03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78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