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 Case 분석을 통한 브랜드 성공요인 및 향후 방향 설정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주 Case 분석을 통한 브랜드 성공요인 및 향후 방향 설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브랜드별 제품 비교
2. 관능적 차이 비교
1) 설문조사 : 7개 항목
2) 차이식별 검사(Blind Test)
3) 분산분석

Ⅲ. 결론
< 브랜드 성공 원인 분석 및 향후 방향 예상 >
1. ‘참眞이슬露’ 브랜드 성공 원인
2. 소주 시장 향후 방향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 소주 Case 분석 배경
한국의 소주 역사는 1965년부터 시작됐다. 그해 알코올 농도 30도의 `독한\' 희석식 소주가 처음 선보였다. 그 전에는 민간에서 조금씩 만들어 마시는 수준이었다. 요즘 소주회사들이 벌이고 있는 순한 소주를 둘러싼 전쟁은 197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해 `순한\' 25도 소주가 나오면서 주당들은 순식간에 입맛을 바꿨다. 얼마 지나지 않아 25도짜리는 소주의 대명사가 됐다.
1990년대 초반이 되면서 소주회사들은 `더 순한 소주\'에 관심을 돌리기 시작했다. 진로도 그 시기에 `나이스\'(22%), `순한진로\'(23%) 등을 연이어 출시했다. 그러나 시기상조였는지 소주시장의 제왕은 여전히 25도 짜리였다. 그 후 90년대 중반부터 순한 소주의 경쟁이 두산의 그린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에 진로는 `참나무통 맑은소주\'를 출시하여 경쟁하였으며 현재는 참이슬과 처음처럼의 대결구도로 치닫게 되었다.
(주)진로는 2006년부터 기존 21도짜리 \'참진(眞) 이슬로(露)\'의 도수를 20.1도로 낮춘 새 제품을 출시했다. 이에 대해 진로측은 \"더욱 부드러운 맛을 선호하는 소비자 기호에 맞춘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두산은 이에 앞서 녹차 성분을 첨가, 숙취제거 효과를 강화했다는 21도짜리 \'산\'에 이어 2005년 2년 웰빙 트랜드에 맞게 산성 체질을 보완해주는 알칼리 환원수로 소주를 만드는 ‘처음처럼’ 을 내놓아 순한 소주 경쟁에 불을 붙였다. 이렇듯 순한 소주 전쟁은 날로 격화되고 있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소주시장 1, 2위 업체인 진로와 두산은 지난해 막대한 경품을 내놓고 경쟁을 벌여 빈축을 사기도 했다.
과거에는 스트레스 해소 차원에서 음주를 즐겼지만 최근에는 대화와 사업을 위한 매개 수단으로 변하고 있으며 소주 저도화 추세는 소비자들의 입맛이 변하면서 나타난 필연적 결과이며 앞으로 알코올 도수는 더욱 더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재의 양대 구조는 당분간 깨지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Ⅱ. 본론
1. 브랜드별 제품 비교
구 분
참 이 슬
처 음 처 럼

제조사
진로
두산BG
두산BG
출시일
98년 10월
05년 2월
01년 1월
Naming
74년 진로의 정통성과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07.04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79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