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발효유 시장의 변화
▣ 기능성 발효유 시장의 성장
▣ 각 기업별 장의 효능을 위한 제품
▷ 불가리스 프라임
▷ 쾌변 요구르트
▷ 불가리아
▷ 쿠퍼스
▷ 스위벨
▣ 파스퇴르 유업의 발효유 제품
▣ 쾌변 요구르트
▣ 마케팅 전략
▣ 설문조사
▣ 실패 원인 분석
▣ 개선 방안
▣ 기능성 발효유 시장의 성장
▣ 각 기업별 장의 효능을 위한 제품
▷ 불가리스 프라임
▷ 쾌변 요구르트
▷ 불가리아
▷ 쿠퍼스
▷ 스위벨
▣ 파스퇴르 유업의 발효유 제품
▣ 쾌변 요구르트
▣ 마케팅 전략
▣ 설문조사
▣ 실패 원인 분석
▣ 개선 방안
본문내용
시장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였지만 웰빙 바람에 편승하여 기능성 발효유 시장은 여전히 높은 성장을 이룸.
*아이들이 주요 고객이었던 단순한 야쿠르트에서 성인의 건강을 고려한 프리미엄급 기능성 요구르트 위주로 소비의 패턴이 바뀌었음을 의미.
*앞으로는 기능성 발효유가 발효유 시장을 주도 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대체의약품 시장으로까지 성장할 수 있을 것 기대됨
◆각 기업별 장의 효능을 위한 제품◆
프로바이오-GG 칸 메치니코프 불가리스 매일유업 서울 우유 남양유업 남양유업
*현재 장을 위한 주요사들의 발효유 제품은 매일유업의 프로바이오 GG, 한국야쿠르트의 메치니코프 라이프, 남양유업의 불가리스 프라임, 서울우유의 칸, 파스퇴르의 쾌변이 대표적.
참조 기사
“넌 아직도 콜라 마시니? 난 몸에 좋은 것만 골라마셔.”
음료시장에도 웰빙 바람이 거세다. 건강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성향으로 음료시장의 주종을 이뤘던 탄산음료는 점차 시장에서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탄산음료의 대표격인 콜라는 지난해 1% 가량 점유율이 떨어졌고 올해는 웰빙 열풍의 확산으로 3% 정도 더 하락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발효유,기능성 우유 등 유제품을 비롯해 각종 과일 및 차음료 등이 쏟아지면서 3조8000억원 규모의 음료시장은 웰빙 음료들의 각축장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경쟁이 가장 치열한 분야는 발효유. 1위 제품인 남양유업의 불가리스에 대항해 파스퇴르유업이 쾌변 요구르트를,매일유업은 불가리아를 출시,대대적인 판촉공세를 펼치고 있다. 이같은 각축정은 서로의 시장을 뺏는데 그치지 않고 시장규모 자체를 키워나갈 것으로 유통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4000여억원인 발효유 시장규모가 올해는 4800억∼5000억원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불가리스 프라임
불가리스 프라임은 발효유 시장의 수성을 지키고 있는 제품. 남양이 1990년에 출시한 불가리스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해 2003년초 새로 선보였다. 하루 판매량만 55만∼60만개. 불가리스 프라임은 기존 불가리스보다 식이섬유의 양을 2배로 늘리고 장내 유해물질 제거에 도움을 주는 버섯추출물 ‘바이오M’을 첨가해 정장효과가 탁월한 제품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유산균수가 법정기준치의 300배나 많고 사과,복숭아,포도,매실,딸기 등 천연과즙과 치커리올리고당,이소말토올리고당,효모추출물등 고가의 원료를 사용하는 등 고급화에 만전을 기한 것이 특징. 남양측은 ‘장이 건강해야 생활이 건강하다’는 카피로 장기능 강화 전문 발효유로서의 자리를 지속적으로 굳혀간다는 전략이다. 가격은 150㎖에 850원.
쾌변 요구르트
쾌변 요구르트는 발효유의 원조격인 파스퇴르유업이 지난 3월 야심차게 출시한 신제품. 요가와 식이요법으로 다이어트에 성공해 건강미인으로 주가를 올리고 있는 옥주현을 CF 모델로 기용,빠른 속도로 소비자층을 넓혀나가고 있다. 파스퇴르는 현재 발효유시장에서 매출 기준으로 야쿠르트,남양,매일에 이어 4위에 머물고 있지만 쾌변요구르트의 출시로 2위까지 약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쾌변 요구르트는 파스퇴르유업 유산균 연구소에서 개발한 ‘다기능 복합 식이섬유’를 기존 제품보다 2배 이상 넣고 배합을 조절해 발효유 특유의 텁텁한 맛을 없앴다. 또 독일 발효유인 ‘하와유 비피더스균주’를 써 병원균 감염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도 있다. 서양자두인 ‘푸룬’의 불용성 식이섬유로 유아가 섭취해도 무리가 가지 않는다. 하루 판매량은 20만∼30만개선. 가격은 150㎖에 1000원.
불가리아
불가리아는 가장 최근 출시된 발효유 신제품으로 국내 최초로 불가리아산 유산균을 사용해 화제가 됐다. 매일유업은 지난해 1월 유산균 발효유 종주국인 불가리아의 국영기업 LB불가리쿰사와 유산균 독점 공급계약을 맺고 이달 10일에 제품을 출시했다. 불가리아는 불가리아 가정에서 초벌구이 항아리로 요구르트를 만드는 전통 발효법에 따라 저온에서 발효해 부드러우면서도 순한 맛을 낸다. 모유에 함유된 ‘락토페린’이 들어있어 면역세포 기능을 활성화하고 정균 및 항균 작용에도 효과적이다. 매일유업은 불가리아를 장기능에 초점을 맞춘 기존 발효유와 달리 ‘생활 속 요구르트’로 정착시킬 계획. 이를 위해 100억원 이상을 제품 홍보에 투입하는 한편 하반기에는 떠먹는 요구르트 등 제품을 다양화할 예정이다. 하루 판매량은 22만∼25만개선. 가격은 150㎖에 900원.
쿠퍼스
간기능 발효유 제품들도 잇따라 출시되고 있다. 한국야쿠르트의 쿠퍼스는 간기능 발효유로 특화한 제품. 쿠퍼스에는 알코올성 간질환을 억제하고 간 기능을 활성화하는 4종의 유산균과 간염 유발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는 초유 항체 등이 들어 있으며 베타인,비타민 B군 6종,항산화 비타민 2종 등 각종 영양소도 풍부하다. 쿠퍼스는 순천향대 의과대 남해선 교수팀이 지난해 8월부터 5개월간 만성 간기능 저하자 6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효능이 입증되기도 했다. 당시 임상시험 결과 쿠퍼스를 8주간 음용한 그룹의 간수치가 섭취 전보다 75∼88%까지 떨어졌다. 한국야쿠르트는 이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3년간 프로젝트팀을 운영,총 50억원의 개발비를 투입했다. 하루 판매량은 23만∼25만개선. 쿠퍼스는 매일유업의 간 기능 발효유 ‘구트 HD-1’,서울우유에서 출시할 간 관련 발효유와 3파전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가격은 150㎖에 1300원.
스위벨
빙그레는 프리미엄급 요거트로 출사표를 던졌다. 20,30대 여성을 겨냥해 출시한 저지방 요거트 스위벨이 그 것. 이 제품은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은 소비층의 특징을 감안해 열량을 100g에 95㎉ 미만으로 제한했다. 또 지방을 기존 요거트 제품의 절반 이하인 1%로 낮췄다. 스푼으로 떠도 흘러내리지 않는 높은 점도를 유지해 푸딩처럼 느껴지는 것도 특징. 현재 딸기와 바나나,레몬 수프림,마운틴 블루베리,알로에 그레이프,트로피칼 망고 등이 시중에 나와있다. 스위벨은 국제선 기내식으로 선정돼 지난 1월부터 대한항공 국제선 노선에 공급되고 있으며 조만간 아시아나항공 등 타항공사에서도 맛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루 판매량은 7만여개. 가격은 120
*아이들이 주요 고객이었던 단순한 야쿠르트에서 성인의 건강을 고려한 프리미엄급 기능성 요구르트 위주로 소비의 패턴이 바뀌었음을 의미.
*앞으로는 기능성 발효유가 발효유 시장을 주도 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대체의약품 시장으로까지 성장할 수 있을 것 기대됨
◆각 기업별 장의 효능을 위한 제품◆
프로바이오-GG 칸 메치니코프 불가리스 매일유업 서울 우유 남양유업 남양유업
*현재 장을 위한 주요사들의 발효유 제품은 매일유업의 프로바이오 GG, 한국야쿠르트의 메치니코프 라이프, 남양유업의 불가리스 프라임, 서울우유의 칸, 파스퇴르의 쾌변이 대표적.
참조 기사
“넌 아직도 콜라 마시니? 난 몸에 좋은 것만 골라마셔.”
음료시장에도 웰빙 바람이 거세다. 건강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성향으로 음료시장의 주종을 이뤘던 탄산음료는 점차 시장에서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탄산음료의 대표격인 콜라는 지난해 1% 가량 점유율이 떨어졌고 올해는 웰빙 열풍의 확산으로 3% 정도 더 하락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발효유,기능성 우유 등 유제품을 비롯해 각종 과일 및 차음료 등이 쏟아지면서 3조8000억원 규모의 음료시장은 웰빙 음료들의 각축장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경쟁이 가장 치열한 분야는 발효유. 1위 제품인 남양유업의 불가리스에 대항해 파스퇴르유업이 쾌변 요구르트를,매일유업은 불가리아를 출시,대대적인 판촉공세를 펼치고 있다. 이같은 각축정은 서로의 시장을 뺏는데 그치지 않고 시장규모 자체를 키워나갈 것으로 유통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4000여억원인 발효유 시장규모가 올해는 4800억∼5000억원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불가리스 프라임
불가리스 프라임은 발효유 시장의 수성을 지키고 있는 제품. 남양이 1990년에 출시한 불가리스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해 2003년초 새로 선보였다. 하루 판매량만 55만∼60만개. 불가리스 프라임은 기존 불가리스보다 식이섬유의 양을 2배로 늘리고 장내 유해물질 제거에 도움을 주는 버섯추출물 ‘바이오M’을 첨가해 정장효과가 탁월한 제품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유산균수가 법정기준치의 300배나 많고 사과,복숭아,포도,매실,딸기 등 천연과즙과 치커리올리고당,이소말토올리고당,효모추출물등 고가의 원료를 사용하는 등 고급화에 만전을 기한 것이 특징. 남양측은 ‘장이 건강해야 생활이 건강하다’는 카피로 장기능 강화 전문 발효유로서의 자리를 지속적으로 굳혀간다는 전략이다. 가격은 150㎖에 850원.
쾌변 요구르트
쾌변 요구르트는 발효유의 원조격인 파스퇴르유업이 지난 3월 야심차게 출시한 신제품. 요가와 식이요법으로 다이어트에 성공해 건강미인으로 주가를 올리고 있는 옥주현을 CF 모델로 기용,빠른 속도로 소비자층을 넓혀나가고 있다. 파스퇴르는 현재 발효유시장에서 매출 기준으로 야쿠르트,남양,매일에 이어 4위에 머물고 있지만 쾌변요구르트의 출시로 2위까지 약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쾌변 요구르트는 파스퇴르유업 유산균 연구소에서 개발한 ‘다기능 복합 식이섬유’를 기존 제품보다 2배 이상 넣고 배합을 조절해 발효유 특유의 텁텁한 맛을 없앴다. 또 독일 발효유인 ‘하와유 비피더스균주’를 써 병원균 감염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도 있다. 서양자두인 ‘푸룬’의 불용성 식이섬유로 유아가 섭취해도 무리가 가지 않는다. 하루 판매량은 20만∼30만개선. 가격은 150㎖에 1000원.
불가리아
불가리아는 가장 최근 출시된 발효유 신제품으로 국내 최초로 불가리아산 유산균을 사용해 화제가 됐다. 매일유업은 지난해 1월 유산균 발효유 종주국인 불가리아의 국영기업 LB불가리쿰사와 유산균 독점 공급계약을 맺고 이달 10일에 제품을 출시했다. 불가리아는 불가리아 가정에서 초벌구이 항아리로 요구르트를 만드는 전통 발효법에 따라 저온에서 발효해 부드러우면서도 순한 맛을 낸다. 모유에 함유된 ‘락토페린’이 들어있어 면역세포 기능을 활성화하고 정균 및 항균 작용에도 효과적이다. 매일유업은 불가리아를 장기능에 초점을 맞춘 기존 발효유와 달리 ‘생활 속 요구르트’로 정착시킬 계획. 이를 위해 100억원 이상을 제품 홍보에 투입하는 한편 하반기에는 떠먹는 요구르트 등 제품을 다양화할 예정이다. 하루 판매량은 22만∼25만개선. 가격은 150㎖에 900원.
쿠퍼스
간기능 발효유 제품들도 잇따라 출시되고 있다. 한국야쿠르트의 쿠퍼스는 간기능 발효유로 특화한 제품. 쿠퍼스에는 알코올성 간질환을 억제하고 간 기능을 활성화하는 4종의 유산균과 간염 유발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는 초유 항체 등이 들어 있으며 베타인,비타민 B군 6종,항산화 비타민 2종 등 각종 영양소도 풍부하다. 쿠퍼스는 순천향대 의과대 남해선 교수팀이 지난해 8월부터 5개월간 만성 간기능 저하자 6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효능이 입증되기도 했다. 당시 임상시험 결과 쿠퍼스를 8주간 음용한 그룹의 간수치가 섭취 전보다 75∼88%까지 떨어졌다. 한국야쿠르트는 이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3년간 프로젝트팀을 운영,총 50억원의 개발비를 투입했다. 하루 판매량은 23만∼25만개선. 쿠퍼스는 매일유업의 간 기능 발효유 ‘구트 HD-1’,서울우유에서 출시할 간 관련 발효유와 3파전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가격은 150㎖에 1300원.
스위벨
빙그레는 프리미엄급 요거트로 출사표를 던졌다. 20,30대 여성을 겨냥해 출시한 저지방 요거트 스위벨이 그 것. 이 제품은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은 소비층의 특징을 감안해 열량을 100g에 95㎉ 미만으로 제한했다. 또 지방을 기존 요거트 제품의 절반 이하인 1%로 낮췄다. 스푼으로 떠도 흘러내리지 않는 높은 점도를 유지해 푸딩처럼 느껴지는 것도 특징. 현재 딸기와 바나나,레몬 수프림,마운틴 블루베리,알로에 그레이프,트로피칼 망고 등이 시중에 나와있다. 스위벨은 국제선 기내식으로 선정돼 지난 1월부터 대한항공 국제선 노선에 공급되고 있으며 조만간 아시아나항공 등 타항공사에서도 맛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루 판매량은 7만여개. 가격은 120
추천자료
[소비자행동] bean pole의 마케팅전략과 브랜드이미지,소비자만족도에 대한 조사
[기업사례분석] 화장품 대표 브랜드 '라네즈'의 마케팅전략
브랜드네이밍,브랜드마케팅사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숙취해소음료시장분석,숙취해소음료마케팅전략,숙취해소음료브랜드전망
XX브랜드 2014 월드컵 World Cup 게임 대회 마케팅전략Overview.pptx
[신라면 마케팅전략]/서론/브랜드 선정이유/국내 라면시장분석/자사분석/농심의 세계화/역사/...
MISSHA 미샤 브랜드분석및 미샤 남성고객확보위한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과 미샤 미래전망 분석
레드불 REDBULL 제품브랜드 분석과 마케팅전략
[여명 리네이밍사례]브랜드네이밍전략사례
유니클로 UNIQLO 브랜드분석과 글로벌진출 성공사례연구및 유니클로 마케팅전략과 성공사례분...
도루코 기업소개 및 마케팅전략 제안[국내 토종 면도기 브랜드]
까사미아 브랜드파워 강화를 위한 마케팅전략
코오롱스포츠 - 소비자행동론/상황분석/브랜드자산분석/타겟분석/SWOT/STP/마케팅전략/성공결과
국산 골프공 브랜드 볼빅 마케팅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