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언
Ⅱ. PDG세대의 개념과 감성마케팅
1. PDG세대의 정의
2. PDG세대의 핵심 코드
1) 인간관계를 위한 디지털(Human Relationship)
2) 표현하기 위한 디지털(Expressionism)
3) 시각적 라이프스타일(Anti-literality)
4) 낙천적 라이프스타일(Relaxed Mindset)
5) 트렌드의 주체적 수용(Trend-independence)
6) 즉시성(Speed)
3. 감성마케팅의 적용
Ⅲ. (주)텐바이텐 소개
1. 기업 소개
1) 기업 개요
2) 창업 정보
3) 기업 비전
4) 기업 사명
5) 경영이념
2. 수익모델
3. 전략
1) 비쥬얼 마케팅
2) 디자인의 컨셉화와 차별화
3) 커뮤니케이션 전략
4) 상품 확장 전략
5) 제품 기회 및 개발기준
Ⅳ. PDG세대를 자극하는 텐바이텐
1. PDG세대의 특성에 따른 분석
1) 표현하기 위한 디지털(Expressionism)
2) 트렌드의 주체적 수용(Trend-independence)
3) 시각적 라이프스타일(Anti-literality)
4) 즉시성(Speed)
5) 인간관계를 위한 디지털(Human Relationship)
6) 낙천적 라이프스타일(Relaxed Mindset)
2. 텐바이텐이 제시하고 있는 추가적 특성
1) 포용성(Catholicity)
Ⅴ. 텐바이텐의 성과와 위협 요소
1. 텐바이텐의 성과
1) 성장 및 매출액
2) 사이트 랭킹 및 점유율
2. 텐바이텐의 위협 요소
1) 한정된 고객층
2) 감성마케팅의 보편화
3) 지나친 차별성
4)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수준
5) 유사 쇼핑몰의 위협
Ⅵ. 텐바이텐의 향후 전략
1.현재 구상중인 전략
2. 추가적인 전략 고찰
1) ‘감성매니아’의 역할 확대
2) 공급 네트워크 강화
3) 고객과의 네트워크 강화
Ⅶ. 결언
참고문헌및 사이트
별첨 >기업 관계자와의 인터뷰 내용 요약 (2005.11.19)
Ⅱ. PDG세대의 개념과 감성마케팅
1. PDG세대의 정의
2. PDG세대의 핵심 코드
1) 인간관계를 위한 디지털(Human Relationship)
2) 표현하기 위한 디지털(Expressionism)
3) 시각적 라이프스타일(Anti-literality)
4) 낙천적 라이프스타일(Relaxed Mindset)
5) 트렌드의 주체적 수용(Trend-independence)
6) 즉시성(Speed)
3. 감성마케팅의 적용
Ⅲ. (주)텐바이텐 소개
1. 기업 소개
1) 기업 개요
2) 창업 정보
3) 기업 비전
4) 기업 사명
5) 경영이념
2. 수익모델
3. 전략
1) 비쥬얼 마케팅
2) 디자인의 컨셉화와 차별화
3) 커뮤니케이션 전략
4) 상품 확장 전략
5) 제품 기회 및 개발기준
Ⅳ. PDG세대를 자극하는 텐바이텐
1. PDG세대의 특성에 따른 분석
1) 표현하기 위한 디지털(Expressionism)
2) 트렌드의 주체적 수용(Trend-independence)
3) 시각적 라이프스타일(Anti-literality)
4) 즉시성(Speed)
5) 인간관계를 위한 디지털(Human Relationship)
6) 낙천적 라이프스타일(Relaxed Mindset)
2. 텐바이텐이 제시하고 있는 추가적 특성
1) 포용성(Catholicity)
Ⅴ. 텐바이텐의 성과와 위협 요소
1. 텐바이텐의 성과
1) 성장 및 매출액
2) 사이트 랭킹 및 점유율
2. 텐바이텐의 위협 요소
1) 한정된 고객층
2) 감성마케팅의 보편화
3) 지나친 차별성
4)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수준
5) 유사 쇼핑몰의 위협
Ⅵ. 텐바이텐의 향후 전략
1.현재 구상중인 전략
2. 추가적인 전략 고찰
1) ‘감성매니아’의 역할 확대
2) 공급 네트워크 강화
3) 고객과의 네트워크 강화
Ⅶ. 결언
참고문헌및 사이트
별첨 >기업 관계자와의 인터뷰 내용 요약 (2005.11.19)
본문내용
여 화려하게 인테리어를 시공, 사진 찍기에도 좋게 하였다. 세 명 이상의 여성이 방문할 경우 10% 할인 혜택을 주는 전략을 사용한다.
⑥ 각종 D.I.Y. Do It Yourself 의 약자. 자기 스스로 만드는 것이라는 의미.
강좌가 개설된 ‘텐바이텐 아카데미’ 운영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D.I.Y. 공예품 제작을 가르치는 실습 위주의 강좌이다. 유료이며, 각 강좌마다 지불금액이 다르다. 고객 및 신청자의 강좌 개설 신청 의견을 수렴하여 개설하기도 한다. 또한 강좌 재료판매도 한다.습 위주의 강좌이다. 유료이며, 각 강좌마다 지불금액이 다르다. 고객 및 신청자의 강좌 개설 신청 의견을 수렴하여 개설하기도 한다. 또한 강좌 재료판매도 한다.
⑦ 꽃배달 서비스 ‘플라워’ 운영
개성과 실력이 풍부한 플로리스트가 생산하며, 상품기획에서 배송까지의 모든 업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만족과 신뢰를 확보하고자 한다. 소녀 적인 감성코드를 이용해서 여성들이 선호하는 컬러매치와 감각적인 컨셉을 바탕으로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다양하고 개성 있는 디자인 라인을 선보이는 전략적 꽃 배달 서비스이다.
⑧ 감성 커뮤니케티션 ‘터치’ 운영
‘터치’는 엑셀렌 테크놀로지와 텐바이텐이 공동으로 구축중인 20-30세대를 위한 감성커뮤니케이션 사이트이다. 올해 9월부터 시작한 터치 서비스는 텐바이텐이 마케팅 및 홍보를 맡고 (주)엑셀렌 테크놀로지가 개발 및 운영을 맡아 텐바이텐 회원에게 제공하는 유료 실명제 커뮤니티이다. 텐바이텐 고객의 취향을 고려하여 깔끔하고 재미있는 그리고 신뢰감과 즐거움이 있는 교류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에 중점을 두고 있다. 가입자는 자신이나 원하는 상대방의 로그인 시간 및 방문 등의 행적을 볼 수 있다. 이 서비스의 핵심적인 기술은 이러한 비디오 프로필관리이다. 그들이 개발한 스트리밍 솔루션은 자신의 모습을 사진에만 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여 상대방에게 접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텐바이텐과 엑셀렌 테크놀로지가 철저한 관리를 하여 불건전 커뮤니티로 전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⑨ 기타-각종 인터넷 쇼핑몰이나 커뮤니티 사이트와 제휴, 영세 디자이너 작품 판매망 연결 등
3. 전략
1) 비쥬얼 마케팅
시각화를 염두에 둔 상품 연출로서, 비주얼 목표는 상품 이미지를 최대한 크게, 그리고 자세히 보여주는 것이다. 웹의 특성상 고정된 모니터 화면 안에서 ‘디자인’ 효과를 거두어야 한다는 점이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법한데, 오히려 오프라인에서 판매하는 디자인 상품보다 훨씬 효과적인 방식이 된다.
2) 디자인의 컨셉화와 차별화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20대~30대 초반의 디자이너들의 수공예 제품을 주요 취급 품으로 삼음으로써 창의적 제품을 통한 고객의 감성을 자극하는 전략이다. 감성적 접근은 카테고리 분류에서도 나타난다. ‘향기가 있는 쇼핑의 거리’ 10x10 Street 메뉴에는 델로스, 안티 등 94개 디자인 회사와 브랜드가 하늘에서 내려다보듯 안내되고 있다.
3) 커뮤니케이션 전략
회원등급에 따른 차별화된 고급 서비스, e메일진이나 포토앨범, 선물 골라주기(기프트 매니저), 추천을 통해 샘플상품 받기 등 다양한 이벤트가 준비되어 있다. 또한, 고객과의 커뮤니티(감성매니아)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4) 상품 확장 전략
단순한 디자인 상품의 취급에서, 나아가 독특한 디자인의 생활용품과 사무용품, 인테리어, 애견, 여행용품에까지 상품군의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5) 제품 기회 및 개발기준
① 시기에 맞게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여 신상품 및 이벤트 전략을 기획.
② 재료부터 색상에 이르기까지 보이지 않는 유행요인을 발굴하고, 디자인 상품에 반영.
③ ‘재미’나 ‘독특한 개성’을 살릴 수 있도록 상품 설계.
④ 기획 의도에 걸맞은 상품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포장과정에 이르기까지 그 컨셉을 유지.
Ⅳ. PDG세대를 자극하는 텐바이텐
텐바이텐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태어나 특별한 상품을 원하는 젊은 세대의 욕구와, 그들이 열광하는 색다름을 경험할 수 있는 감성 소비 공간을 추구하고 있다. 이런 컨셉은 획일화되기 쉬운 디지털 환경에서 자신만의 개성과 감각을 추구하는 세대를 타게팅하고 있으며, 이들은 포스트 디지털 세대, PDG세대의 특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공략하고 있는 집단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사업 영역에 대입 시킨다면 잠재 고객을 자극하는 매력적인 공간이 될 수 있다. 단순히 제품이 지닌 ‘감성’만을 공략하는 것이 아니라 PDG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태도, 취향에 맞는 텐바이텐의 강점을 앞에서 언급한 PDG세대의 여섯 가지 세분 특성에 맞추어 분석해 보겠다. 그리고 나아가 텐바이텐이 설명하고 있는 또 다른 PDG세대의 특성에 대해서 제안해 보고자 한다.
1. PDG세대의 특성에 따른 분석
1) 표현하기 위한 디지털(Expressionism)
PDG세대는 ‘표현하고자 하는’ 욕망이 강하다. 남들과 다르게 나를 표현할 수 있는 기술과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크다. 이는 텐바이텐이 가장 일차적으로 추구하는 컨셉이자 가장 큰 특징이다. 텐바이텐은 이미 규격화된 공장도 제품이 쏟아지는 산업화 사회의 정형화를 벗어나 디자이너들의 독특한 감각을 담은 제품들을 취급한다. 즉 소품종 대량생산의 사회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의 방식을 추구함으로서 ‘남과 다른’ 자신만의 self를 추구하고 싶어 하는 PDG세대에게 다양한 선택의 폭을 제공한다.
또한 텐바이텐이 온라인상에서 모집, 운영하고 있는 ‘감성매니아’는 감성이 풍부한 고객들을 선발하여 그들에게 자신만의 공간을 제공하여 자신의 감각과 취향, 느낌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백인백색’ 코너에서는 다수에게 보여 지는 ‘나’, 동시에 주목받고 싶은 ‘나’라는 욕구를 마음껏 발산할 수 있고 ‘감성노트’라는 코너는 한 가지 주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심도 있게 표현할 수 있다. ‘해피 날적이’는 누구나 간단하게 글과 사진을 남길 수 있어 간단한 방명록이나 댓글로 자신의 느낌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2) 트렌드의 주체적 수용(Trend-independence)
PDG세대는 트렌드는 만들어진 유행을
⑥ 각종 D.I.Y. Do It Yourself 의 약자. 자기 스스로 만드는 것이라는 의미.
강좌가 개설된 ‘텐바이텐 아카데미’ 운영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D.I.Y. 공예품 제작을 가르치는 실습 위주의 강좌이다. 유료이며, 각 강좌마다 지불금액이 다르다. 고객 및 신청자의 강좌 개설 신청 의견을 수렴하여 개설하기도 한다. 또한 강좌 재료판매도 한다.습 위주의 강좌이다. 유료이며, 각 강좌마다 지불금액이 다르다. 고객 및 신청자의 강좌 개설 신청 의견을 수렴하여 개설하기도 한다. 또한 강좌 재료판매도 한다.
⑦ 꽃배달 서비스 ‘플라워’ 운영
개성과 실력이 풍부한 플로리스트가 생산하며, 상품기획에서 배송까지의 모든 업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만족과 신뢰를 확보하고자 한다. 소녀 적인 감성코드를 이용해서 여성들이 선호하는 컬러매치와 감각적인 컨셉을 바탕으로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다양하고 개성 있는 디자인 라인을 선보이는 전략적 꽃 배달 서비스이다.
⑧ 감성 커뮤니케티션 ‘터치’ 운영
‘터치’는 엑셀렌 테크놀로지와 텐바이텐이 공동으로 구축중인 20-30세대를 위한 감성커뮤니케이션 사이트이다. 올해 9월부터 시작한 터치 서비스는 텐바이텐이 마케팅 및 홍보를 맡고 (주)엑셀렌 테크놀로지가 개발 및 운영을 맡아 텐바이텐 회원에게 제공하는 유료 실명제 커뮤니티이다. 텐바이텐 고객의 취향을 고려하여 깔끔하고 재미있는 그리고 신뢰감과 즐거움이 있는 교류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에 중점을 두고 있다. 가입자는 자신이나 원하는 상대방의 로그인 시간 및 방문 등의 행적을 볼 수 있다. 이 서비스의 핵심적인 기술은 이러한 비디오 프로필관리이다. 그들이 개발한 스트리밍 솔루션은 자신의 모습을 사진에만 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여 상대방에게 접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텐바이텐과 엑셀렌 테크놀로지가 철저한 관리를 하여 불건전 커뮤니티로 전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⑨ 기타-각종 인터넷 쇼핑몰이나 커뮤니티 사이트와 제휴, 영세 디자이너 작품 판매망 연결 등
3. 전략
1) 비쥬얼 마케팅
시각화를 염두에 둔 상품 연출로서, 비주얼 목표는 상품 이미지를 최대한 크게, 그리고 자세히 보여주는 것이다. 웹의 특성상 고정된 모니터 화면 안에서 ‘디자인’ 효과를 거두어야 한다는 점이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법한데, 오히려 오프라인에서 판매하는 디자인 상품보다 훨씬 효과적인 방식이 된다.
2) 디자인의 컨셉화와 차별화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20대~30대 초반의 디자이너들의 수공예 제품을 주요 취급 품으로 삼음으로써 창의적 제품을 통한 고객의 감성을 자극하는 전략이다. 감성적 접근은 카테고리 분류에서도 나타난다. ‘향기가 있는 쇼핑의 거리’ 10x10 Street 메뉴에는 델로스, 안티 등 94개 디자인 회사와 브랜드가 하늘에서 내려다보듯 안내되고 있다.
3) 커뮤니케이션 전략
회원등급에 따른 차별화된 고급 서비스, e메일진이나 포토앨범, 선물 골라주기(기프트 매니저), 추천을 통해 샘플상품 받기 등 다양한 이벤트가 준비되어 있다. 또한, 고객과의 커뮤니티(감성매니아)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4) 상품 확장 전략
단순한 디자인 상품의 취급에서, 나아가 독특한 디자인의 생활용품과 사무용품, 인테리어, 애견, 여행용품에까지 상품군의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5) 제품 기회 및 개발기준
① 시기에 맞게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여 신상품 및 이벤트 전략을 기획.
② 재료부터 색상에 이르기까지 보이지 않는 유행요인을 발굴하고, 디자인 상품에 반영.
③ ‘재미’나 ‘독특한 개성’을 살릴 수 있도록 상품 설계.
④ 기획 의도에 걸맞은 상품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포장과정에 이르기까지 그 컨셉을 유지.
Ⅳ. PDG세대를 자극하는 텐바이텐
텐바이텐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태어나 특별한 상품을 원하는 젊은 세대의 욕구와, 그들이 열광하는 색다름을 경험할 수 있는 감성 소비 공간을 추구하고 있다. 이런 컨셉은 획일화되기 쉬운 디지털 환경에서 자신만의 개성과 감각을 추구하는 세대를 타게팅하고 있으며, 이들은 포스트 디지털 세대, PDG세대의 특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공략하고 있는 집단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사업 영역에 대입 시킨다면 잠재 고객을 자극하는 매력적인 공간이 될 수 있다. 단순히 제품이 지닌 ‘감성’만을 공략하는 것이 아니라 PDG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태도, 취향에 맞는 텐바이텐의 강점을 앞에서 언급한 PDG세대의 여섯 가지 세분 특성에 맞추어 분석해 보겠다. 그리고 나아가 텐바이텐이 설명하고 있는 또 다른 PDG세대의 특성에 대해서 제안해 보고자 한다.
1. PDG세대의 특성에 따른 분석
1) 표현하기 위한 디지털(Expressionism)
PDG세대는 ‘표현하고자 하는’ 욕망이 강하다. 남들과 다르게 나를 표현할 수 있는 기술과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크다. 이는 텐바이텐이 가장 일차적으로 추구하는 컨셉이자 가장 큰 특징이다. 텐바이텐은 이미 규격화된 공장도 제품이 쏟아지는 산업화 사회의 정형화를 벗어나 디자이너들의 독특한 감각을 담은 제품들을 취급한다. 즉 소품종 대량생산의 사회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의 방식을 추구함으로서 ‘남과 다른’ 자신만의 self를 추구하고 싶어 하는 PDG세대에게 다양한 선택의 폭을 제공한다.
또한 텐바이텐이 온라인상에서 모집, 운영하고 있는 ‘감성매니아’는 감성이 풍부한 고객들을 선발하여 그들에게 자신만의 공간을 제공하여 자신의 감각과 취향, 느낌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백인백색’ 코너에서는 다수에게 보여 지는 ‘나’, 동시에 주목받고 싶은 ‘나’라는 욕구를 마음껏 발산할 수 있고 ‘감성노트’라는 코너는 한 가지 주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심도 있게 표현할 수 있다. ‘해피 날적이’는 누구나 간단하게 글과 사진을 남길 수 있어 간단한 방명록이나 댓글로 자신의 느낌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2) 트렌드의 주체적 수용(Trend-independence)
PDG세대는 트렌드는 만들어진 유행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