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보편 원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세계보편윤리 구상과 내용
1. 종교계에서의 세계보편윤리 구상
2. UNESCO에서의 세계보편윤리 구상

Ⅲ. 정산의 삼동윤리 - 세계보편윤리의 한계 및 대안
1. 동원도리(同源道理)
- 종교의 다원주의 (Pluralism)에서 회통적 다원주의로 전환
2. 동기연계(同气连契)
- 인간중심주의에서 연기(缘起)적 생명중심주의로 전환
3. 동척사업(同拓事业)
- 대립의 문명에서 조화의 문명으로 전환

Ⅳ. 결 론

본문내용

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종교와 종교의 관계가 설정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강자는 강ㆍ약의 대립구조 속에서 약한 존재를 마음대로 탈취를 하여도 되었다. 이러한 대립적 구조는 Huntington의 『문명의 충돌 』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기독교를 중심한 서구문명과 이슬람교를 중심으로 한 아랍문명과 새롭게 발전하고 있는 동양종교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 문명간의 대립 속에서 강한 문명이 약한 문명을 흡수 통합하게 되고, 약한 문명은 사라지게 된다는 그의 논리는 인류사회의 새로운 위협을 문명간의 충돌로 설명한 것이다.
정산이 주창한 삼동윤리의 사상은 원불교내의 후학들에 의하여 발전되고, 특히, 정산의 뒤를 이은 대산 김대거(金大擧, 1914-1998)종사에 의해 종교연합운동이 제창되었다. 대산의 정신을 이어 받아, 현 원불교 종법사인 좌산 이광정은 1999년에 열린 WCRP 제7차총회에 보낸 메시지에서 WCRP가 종교연합기구로서 명실상부하게 발전하도록 기원하면서, 모두가 하나의 형제요 자매임을 알고, 서로 은(恩)적 관계임을 깨달아, 약자보호의 제도를 확립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Ⅳ. 결 론
정산의 삼동윤리와 지구윤리는 세계공동체를 이루려는 철학적 근간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단일한 중심주의에서 중심의 다양성으로 전환을 하고 있다. 즉, 인간중심주의의 발상에서 비롯한 자연정복, 식민주의, 절대적 배타주의에서 탈인간중심주의의 자연존중과 탈식민주의를 통해 다원성과 서로를 존중하는 관용의 정신이 담겨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주의인 삼동윤리와 지구윤리가 구체화되어 실천하도록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자기중심적 사유의 구조가 자신이 속한 종교, 문화, 문명을 발전시키는 힘의 원천이기도 하지만, 배타적 우월주의에 빠질 위험이 있다.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서로 중심의 축을 이루면서 교류하며 발전하는 다(多)중심적 구조로의 전환을 요청이 필요하다. 다(多)중심적 구조는 다양한 종교의 문화와 전통, 인류문명을 존중하는 의미가 담고 있지만, 서로간의 밀접한 연기적 관계성을 담아내지는 못한다. 반면, 정산은 회통적 다원주의를 통해 종교간에 근본적으로 만날 수 있는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인류미래를 위한 제3의 원리는 강한 문명이 약한 문명을 흡수 통합하여 약한 문명이 소멸되고 강한 문명만이 남는다는 원리가 아니라 서로가 없어서는 안될 상보적 존재로서 서로간에 진화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원리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7.14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88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