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Chest tube drainage의 종류
◈ 흉강배액관 삽입
◦ 흉강배액이란?
◦ 적응증
◦ 체 위
◦ 방 법
◦ 합병증
◦ 흉곽 백액관 관리를 위해 매일 점검할 사항
◦ 흉곽 배액관 관리시 유의 사항
◦ 흉강배액관의 발거 방법
◦ 흉곽 배액관 제거시 유의사항
◉ 간략하게 요약(위의 내용이 이해 안되시는 분들을 위해)
◈ 흉강배액관 삽입
◦ 흉강배액이란?
◦ 적응증
◦ 체 위
◦ 방 법
◦ 합병증
◦ 흉곽 백액관 관리를 위해 매일 점검할 사항
◦ 흉곽 배액관 관리시 유의 사항
◦ 흉강배액관의 발거 방법
◦ 흉곽 배액관 제거시 유의사항
◉ 간략하게 요약(위의 내용이 이해 안되시는 분들을 위해)
본문내용
에 따라 인체에 해가 없는 장갑을 끼고
2) 손가락으로 피부개구부를 집어 올린다.
3) 바셀린 거즈나 4×4거즈로 폐드레싱을 한다.
4) 2인치 넓이의 반창고로 드레싱을 덮어붙인후 즉시 의사를 부른다.
흉강배액관의 발거 방법
흉관은 밀봉병에서 액체의 파동이 없거나 X선 촬영사진에서 폐의 완전 재팽창이 확진되면 제거할 수 있다. 흉부수술을 한 환자는 수술 후 48~72시간 내 흉관을 제거한다. 환자가 오랫동안 흉관을 꽂고 있으면 관을 통한 상행성 감염의 위험성이 있다. 흉관을 제거하려면 30분 전에 진통제를 투여한다.
① 드레싱과 반창고를 흉벽에서 떼어낸다.
- 배액관에서 떼어낼 필요는 없다.
② 환자에게 협조를 구한다.
- 환자에게 심호흡을 시킨 후 입술을 오무린 체로 힘차 게 숨을 내쉬도록 한다.
③ 흉강배액관을 고정하고 있는 실을 절단한다.
④ 배액관 발거
- 환자가 입을 오무리고 힘차게 숨을 내쉬는 동안 재빨 리 배액관을 당겨 빼내면서 거즈를 위에서 단단히 압 박한다.
⑤ 밀폐 드레싱을 한다.
⑥ 흉부X선 촬영으로 기흉이 생겼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흉곽 배액관 제거시 유의사항
① 흉곽 배액관 제거조건
배액관을 통한 공기유출이 없음
하루 24시간 배액된 양이 100ml이하임
흉부 X선 소견에서 폐가 완전히 확장되어 있음
늑막액이 남아 있지 않을 때
② 흉곽 배액관 제거 후
흉부 X선 사진을 찍어 반드시 기흉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흉곽 배액관 제거한 후에는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48시간 동안 폐쇄 드레싱을 한다.
(4×4 바셀린 거즈를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반창고로 붙인다)
간략하게 요약(위의 내용이 이해 안되시는 분들을 위해)
▶ 밀봉흉곽배액?
대기압력을 밀봉시키는 배액장치를 이용하여 비정상적으로 흉막강내에 존재하는 공기, 혈 액, 염증 성 삼출물을 제거하는 것.
▶ 원 리
흉부관은 병에 부착되어 있으며 물은 마개(seal)로서 작용을 하여 공기와 체액이 흉부로부터 배액이 되나 공기가 물에 잠긴 튜브의 끝으로 다시 들어갈 수 없게 한다(일방향 valve 원리).
▶ 적용
흉곽수술 받은 대상자의 흉막강내에 있는 공기나 체액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맥의 귀환이 잘 안되 거나 역류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음압을 다시 조성하여 남아 있는 폐를 재팽창시키기 위하여, 종 격동의 변 위와 폐의 허탈을 방지하기 위해 시행
기흉이나 혈흉이 있을 때 흉막강에 있는 공기나 혈액을 제거하여 폐를 팽창시키기 위하여
농흉일 때 염증성 분비물을 배액시키기 위하여
▶ 간 호
밀봉흉곽배액의 원리와 목적을 이해한다.
사용되는 배액기구 장치를 완전히 이해하여 기능이 잘 되지 않을 때를 빨리 발견하고 교정하는 법 을 알아야 한다.
주의할 점을 알아야 한다.
대상자에게 발생되는 합병증의 초기 증상을 발견한다.
▶ 목 적
흉막강내로부터 공기나 액체를 제거하는 것.
흉막강내에 정상 음압(negative pressure)을 유지하는 것.
폐의 재팽창을 증진시키는 것.
배액기구로부터 흉막강내로 공기나 액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
2) 손가락으로 피부개구부를 집어 올린다.
3) 바셀린 거즈나 4×4거즈로 폐드레싱을 한다.
4) 2인치 넓이의 반창고로 드레싱을 덮어붙인후 즉시 의사를 부른다.
흉강배액관의 발거 방법
흉관은 밀봉병에서 액체의 파동이 없거나 X선 촬영사진에서 폐의 완전 재팽창이 확진되면 제거할 수 있다. 흉부수술을 한 환자는 수술 후 48~72시간 내 흉관을 제거한다. 환자가 오랫동안 흉관을 꽂고 있으면 관을 통한 상행성 감염의 위험성이 있다. 흉관을 제거하려면 30분 전에 진통제를 투여한다.
① 드레싱과 반창고를 흉벽에서 떼어낸다.
- 배액관에서 떼어낼 필요는 없다.
② 환자에게 협조를 구한다.
- 환자에게 심호흡을 시킨 후 입술을 오무린 체로 힘차 게 숨을 내쉬도록 한다.
③ 흉강배액관을 고정하고 있는 실을 절단한다.
④ 배액관 발거
- 환자가 입을 오무리고 힘차게 숨을 내쉬는 동안 재빨 리 배액관을 당겨 빼내면서 거즈를 위에서 단단히 압 박한다.
⑤ 밀폐 드레싱을 한다.
⑥ 흉부X선 촬영으로 기흉이 생겼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흉곽 배액관 제거시 유의사항
① 흉곽 배액관 제거조건
배액관을 통한 공기유출이 없음
하루 24시간 배액된 양이 100ml이하임
흉부 X선 소견에서 폐가 완전히 확장되어 있음
늑막액이 남아 있지 않을 때
② 흉곽 배액관 제거 후
흉부 X선 사진을 찍어 반드시 기흉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흉곽 배액관 제거한 후에는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48시간 동안 폐쇄 드레싱을 한다.
(4×4 바셀린 거즈를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반창고로 붙인다)
간략하게 요약(위의 내용이 이해 안되시는 분들을 위해)
▶ 밀봉흉곽배액?
대기압력을 밀봉시키는 배액장치를 이용하여 비정상적으로 흉막강내에 존재하는 공기, 혈 액, 염증 성 삼출물을 제거하는 것.
▶ 원 리
흉부관은 병에 부착되어 있으며 물은 마개(seal)로서 작용을 하여 공기와 체액이 흉부로부터 배액이 되나 공기가 물에 잠긴 튜브의 끝으로 다시 들어갈 수 없게 한다(일방향 valve 원리).
▶ 적용
흉곽수술 받은 대상자의 흉막강내에 있는 공기나 체액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맥의 귀환이 잘 안되 거나 역류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음압을 다시 조성하여 남아 있는 폐를 재팽창시키기 위하여, 종 격동의 변 위와 폐의 허탈을 방지하기 위해 시행
기흉이나 혈흉이 있을 때 흉막강에 있는 공기나 혈액을 제거하여 폐를 팽창시키기 위하여
농흉일 때 염증성 분비물을 배액시키기 위하여
▶ 간 호
밀봉흉곽배액의 원리와 목적을 이해한다.
사용되는 배액기구 장치를 완전히 이해하여 기능이 잘 되지 않을 때를 빨리 발견하고 교정하는 법 을 알아야 한다.
주의할 점을 알아야 한다.
대상자에게 발생되는 합병증의 초기 증상을 발견한다.
▶ 목 적
흉막강내로부터 공기나 액체를 제거하는 것.
흉막강내에 정상 음압(negative pressure)을 유지하는 것.
폐의 재팽창을 증진시키는 것.
배액기구로부터 흉막강내로 공기나 액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