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는 범주적 단위를 설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드 10)의 설명에서 \'임이드[임자마디], 씀이드[임자마디], 남이드[풀이마디]\' 설정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1. \'맘이 착하\'를 다 남이 자리에 둠은 \'맘이 착하\'가 다 그 사람이 엇더하다고 하는 것이 됨을 보임이니라.
2. \'맘이 착하\'를 다 한 남이로 두엇으나, 그 속에도 임이듬의 그림이 잇으니, \'맘이\'는 \'착하\'의 임이듬이 됨을 보임이라. ...
(잡이) 임이나 씀이도 이 말의 남이처럼 되는 것이 잇으니, 그 때에는 이를 밀어 그릴지니라
주시경(1910)은 \'이음\'과 \'안음\'을 정확한 기준으로 가르지 않고 해석하기에 따라서 어떻게라도 분석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버금본드 5) 바람이 불매 배가 가오
이것은 \'바람이 불(다)\'가 \'배가 가오\'에 어찌마디로 안겨 있는 월로 분석한 것이다. 그리고 이 월은 다음과 같이 \'바람이 불(다)\'가 \'배가 가오\'와 이유를 나타내는 \'-매\'로 이어져 있는 것으로 분석한 그림이다.
이 논문을 통하여 \'국어문법\'과 \'말의소리\'의 일부를 오늘날의 체계에 빗대어 살펴볼 수 있었고, 주시경의 문법을 한번 접함으로써 국어 문법을 공부하는 데 있어서 토대가 되었다.
1. \'맘이 착하\'를 다 남이 자리에 둠은 \'맘이 착하\'가 다 그 사람이 엇더하다고 하는 것이 됨을 보임이니라.
2. \'맘이 착하\'를 다 한 남이로 두엇으나, 그 속에도 임이듬의 그림이 잇으니, \'맘이\'는 \'착하\'의 임이듬이 됨을 보임이라. ...
(잡이) 임이나 씀이도 이 말의 남이처럼 되는 것이 잇으니, 그 때에는 이를 밀어 그릴지니라
주시경(1910)은 \'이음\'과 \'안음\'을 정확한 기준으로 가르지 않고 해석하기에 따라서 어떻게라도 분석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버금본드 5) 바람이 불매 배가 가오
이것은 \'바람이 불(다)\'가 \'배가 가오\'에 어찌마디로 안겨 있는 월로 분석한 것이다. 그리고 이 월은 다음과 같이 \'바람이 불(다)\'가 \'배가 가오\'와 이유를 나타내는 \'-매\'로 이어져 있는 것으로 분석한 그림이다.
이 논문을 통하여 \'국어문법\'과 \'말의소리\'의 일부를 오늘날의 체계에 빗대어 살펴볼 수 있었고, 주시경의 문법을 한번 접함으로써 국어 문법을 공부하는 데 있어서 토대가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