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면평가제의 의의
2. 다면평가제의 도입배경
3. 다면평가제의 기대효과
4. 다면평가의 적용대상 및 운영기준
5. 평가내용 설계방법
1) 평정자 구성
2) 평정인원
3) 평정자별 가중치 부여
4) 평정요소 및 질문지 작성
6. 평가분석 및 활용
7. 다면평가제의 효율적 운용방안
참고자료
2. 다면평가제의 도입배경
3. 다면평가제의 기대효과
4. 다면평가의 적용대상 및 운영기준
5. 평가내용 설계방법
1) 평정자 구성
2) 평정인원
3) 평정자별 가중치 부여
4) 평정요소 및 질문지 작성
6. 평가분석 및 활용
7. 다면평가제의 효율적 운용방안
참고자료
본문내용
해 발생하는 판단오류 등을 조정하고 개선하는 안전 장치의 마련이 지속적으로 강구되어야 한다.
다면평가제도는 기존의 평정제도를 보완해주는 훌륭한 방법이긴 하지만 지속적인 보완과 개선작업이 필요한 도구이기도 하다. 결국 다면평가제도의 성공여부는 조직원들의 평가문화의 성숙정도와 그 노력 여하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전기정, 다면평가제도에 관한 소고, 2003
강성철, 김판석외 공저, 새인사행정론, 서울 : 대영문화사, 1999.
김홍기, 인사행정론, 서울 : 대두사, 1988.
김석회, 인사관리론, 서울 : 무역경영사, 1983.
박운성, 최신인사관리론, 서울 : 진명출판사, 1985.
박동서, 인사행정론, 서울 : 법문사, 1986.
박동서, 비교공무원제도론, 서울 : 박영사, 1963.
유종해, 행정학대사전, 서울 : 고시원, 1993.
이백훈, 인사행정론, 서울 : 범론사, 1995.
정수영, 신인사관리론, 서울 : 박영사, 1982.
최종태, 현대인사관리론, 서울 : 박영사, 1981.
<참고 사이트>
중앙인사위원회 http://www.csc.go.kr
근무평정-(3)근무성적 평정제도의 문제점
http://www.yesanok.com/technote/read.cgi?board=저서,논문_행정은&y_number=36&nnew=
이성복, 지방공무원 근무성적평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http://publica.chungju.ac.kr/student/alumi/a_4/%C0%CC%BC%BA%BA%B9.htm
http://www.csc.go.kr/newsletter/001/03.html
다면평가제도는 기존의 평정제도를 보완해주는 훌륭한 방법이긴 하지만 지속적인 보완과 개선작업이 필요한 도구이기도 하다. 결국 다면평가제도의 성공여부는 조직원들의 평가문화의 성숙정도와 그 노력 여하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전기정, 다면평가제도에 관한 소고, 2003
강성철, 김판석외 공저, 새인사행정론, 서울 : 대영문화사, 1999.
김홍기, 인사행정론, 서울 : 대두사, 1988.
김석회, 인사관리론, 서울 : 무역경영사, 1983.
박운성, 최신인사관리론, 서울 : 진명출판사, 1985.
박동서, 인사행정론, 서울 : 법문사, 1986.
박동서, 비교공무원제도론, 서울 : 박영사, 1963.
유종해, 행정학대사전, 서울 : 고시원, 1993.
이백훈, 인사행정론, 서울 : 범론사, 1995.
정수영, 신인사관리론, 서울 : 박영사, 1982.
최종태, 현대인사관리론, 서울 : 박영사, 1981.
<참고 사이트>
중앙인사위원회 http://www.csc.go.kr
근무평정-(3)근무성적 평정제도의 문제점
http://www.yesanok.com/technote/read.cgi?board=저서,논문_행정은&y_number=36&nnew=
이성복, 지방공무원 근무성적평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http://publica.chungju.ac.kr/student/alumi/a_4/%C0%CC%BC%BA%BA%B9.htm
http://www.csc.go.kr/newsletter/001/03.htm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