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관용어란?
Ⅱ. 관용어의 경계
Ⅲ. 관용적 표현의 성격
Ⅳ. 관용어의 유형분류
관용표현의 본질적인 의미 특성
관용 표현의 부차적인 의미 특성
관용 표현의 은어적, 속어적, 전문어적, 유행어적인 특성
관용표현에서 의미의 상관관계
Ⅴ. 감정표현에 관한 관용어
1. 감정의 분류와 감정어 표현 관용어
2. 감정표현 관용어의 특징
Ⅵ. 결어
Ⅱ. 관용어의 경계
Ⅲ. 관용적 표현의 성격
Ⅳ. 관용어의 유형분류
관용표현의 본질적인 의미 특성
관용 표현의 부차적인 의미 특성
관용 표현의 은어적, 속어적, 전문어적, 유행어적인 특성
관용표현에서 의미의 상관관계
Ⅴ. 감정표현에 관한 관용어
1. 감정의 분류와 감정어 표현 관용어
2. 감정표현 관용어의 특징
Ⅵ. 결어
본문내용
1) 기쁨(기쁘다) : 마음에 즐거운 느낌이 나다.
① 기쁨은 생명력이다
심금을/가슴을 울리다, 가슴이 찡하다, 눈시울이 맵다, 가슴을 적시다, 어깨가 으쓱해지다), 발걸음이 가볍다
② 기쁨은 축제이다
입이 찢어지다, 배꼽을 쥐다, 휘파람을 불다, 눈에 차다, 배를 두드리다
③ 기쁨은 희망이다
가슴이 부풀다, 빛이 보이다, 고동을 치다
2) 슬픔(슬프다) : 불행을 만나거나 몹시 외롭거나 하여 울고 싶어지도록 마음이 아프다.
① 슬픔은 신체기능의 손상이다
눈물이 핑 돌다, 목이 막히다, 가슴에 못을 박다/가슴을 허비다, 간장이 썩다/뼈가 새까맣게 썩다,
② 슬픔은 빛, 활력의 상실이다
가슴이 무겁다, 눈앞이 깜깜해지다, 하늘이/억장이 무너지다,
③ 슬픔은 짝 상실이다
짝 잃은 기러기, 개밥에 도토리, 까마귀밥이 되다
3) 분노(분노하다) : 분하여 몹시 성을 내다
① 분노는 에너지의 증대이다
두 눈을 부릅뜨다, 가자미눈을 뜨다, 핏대를 세우다, 악을 쓰다
② 분노는 무기이다
칼을 품다/칼을 갈다, 도끼눈을 뜨다
③ 분노는 불이다
얼굴이 붉으락푸르락해지다, 눈알이 시뻘게지다, 눈에 쌍심지가 돋다/눈에 쌍불을 켜다, 불덩이가 치솟다
④ 분노는 열이다
열을 받다/열이 오르다, 입에 게거품을 물다, 부아가 끓다/속이 끓다, 피가 끊다, 펄펄 뛰다
4) 두려움(두렵다) : 마음에 꺼려 무섭다.
① 두려움은 얼음이다
혀가 굳다, 등골이 서늘해지다, 간이 콩알만해지다, 머리끝이 쭈뼛쭈뼛
② 두려움은 놀람이다
입이 벌어지다/눈이 휘둥그레지다, 토끼눈이 되다, 가슴이 덜컹하다/철렁하다, 간담이 내려앉다/떨어지다
③ 두려움은 도망이다
뒷걸음치다, 걸음아 날 살려라/오금아 날 살려라, 똥줄 빠지다
④ 두려움은 홍조이다
얼굴이 홍당무가 되다/얼굴이 수수떡처럼 붉어지다, 얼굴이 화끈거리다, 귀뿌리가 붉어지다
⑤ 두려움은 감춤이다
입을 가리다, 머리를 긁다/뒤통수를 긁다, 혀를 내밀다, 얼굴을 내 놓을 수 없다, 쥐구멍을 찾다. 몸둘 바를 모르다
⑥ 두려움은 구김살이다
오금/뒤/속/발이 저리다, 뒤가 꿀리다
5) 사랑(사랑하다) : (이성, 부모, 자식, 스승, 인간, 사물 등에 대하여) 아끼고 위하며 한없이 베푸는 일, 또는 그 마음.
① 사랑은 보물이다
금이야 옥이야/금쪽같다/둘도 없다/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다/꼴딱 집어삼키고 싶도록예쁘다, 쥐면 꺼질까 불면 날까
② 사랑은 설렘이다
가슴이 방망이질 치다/떨리다/울렁거리다
③ 사랑은 그리움이다
눈앞에 선하다 어리다/밟히다/귓전을 울리다/귓가에 맴돌다/눈에 남다
④ 사랑은 용서이다
눈을 감아주다, 두남을 두다
6) 미움(미워하다) : 밉게 여기다. 밉게 보다.
① 미움은 못마땅함이다
눈살을 찌푸리다/ 우거지 상/땡감 먹은 상, 입을 삐죽이다, 혀를 차다, 고개를 돌리다
② 미움은 하찮음이다
터진 꽈리 보듯/원두한이 쓴 외 보듯, 콧방귀를 뀌다/코웃음을 치다
③ 미움은 역겨움이다
밥맛이 떨어지다/밥알이 곤두서다, 입맛이 떫다, 멀미가 나다, 날콩 먹는 것이 낫겠다, 추석에 먹은 송편이 나온다
④ 미움은 제거욕이다
눈에 가시/눈의 티/눈 위에 혹, 호랑이가 뭘 먹고사나
2. 감정표현 관용어의 특징
위의 많은 예들에서 보듯 감정표현 관용어 표현의 특징은 신체어와 관련된 표현이 많다는 점이다. 특히 기쁨표현 관용어는 ‘가슴’을 매개로 한 관용어가 많은데, 이것은 한국인에게 있어 ‘가슴’이 기쁨을 감지하는 대표적인 신체기관임을 말해준다. 또 ‘배꼽, 허리, 다리’는 다른 감정표현에는 사용되지 않고 기쁨표현에만 쓰이는 신체어이며, ‘창자’는 슬픔표현에만 사용되는 신체어이다. 분노표현 관용어는 시각적 표현이 주를 이루며, ‘핏대, 이, 부아’는 분노표현에만 쓰인다. 두려움 표현은 딱딱함, 차가움, 소름끼침, 찔림 등의 촉각적 표현이 많으며 ‘오금’은 두려움 표현에만 쓰인다. 사랑표현 관용어는 ‘눈’에 관련된 표현이 많으며 그 외에도 ‘가슴’, ‘귀’, ‘심장’에 관련된 표현이 많이 쓰인다. 미움 표현 관용어에는 다른 감정에 비해 ‘쓴맛, 떫은 맛, 신맛’ 등 미각적 표현이 다양하게 쓰인다.
Ⅵ. 결어
일반적으로 관용 표현은 주로 문어체 보다는 구어체에서 많이 쓰이고, 격식체 보다는 비격식체에서 많이 쓰이며, 공적인 대화보다는 사적인 대화에서 많이 쓰이는 경향이 있다. 관용 표현이 구어체에서 더 많이 쓰이는 이유가 언중들의 일상적인 대화에 쓰이는 표현들이 많기 때문이라면, 비격식체에서 많이 쓰이는 이유는 점잖고 우아한 표현들보다는 속어적인 표현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공적인 대화보다는 사적인 대화에서 더 많이 쓰이는 것이다. 즉, 관용 표현은 우리의 일상적인 언어 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재까지 이루어진 관용어에 대한 분류작업들은 다소 주관적일 수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용어 표현들을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음운론, 형태론, 국어 교육학적으로 다방면에 걸친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여러 관용 표현들을 지속적으로 널리 사용해 나갈 수 있을 것이며 우리의 언어 생활 역시 보다 풍요로워 질 것이다.
《참고문헌》
문금현(1999), 『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 태학사.
박영준 최경봉(1996), 『관용어 사전』, 태학사.
박창원 엮음(2003), 『남북의 언어와 한국어 교육』, 태학사.
박영순(2001), 『한국어 문장의미론』, 박이정.
김준기 김향숙(2003), 『현대국어 관용어 연구』, 한국문화사.
이택희(1983), 「관용적 표현의 언외의미 연구」, 전북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관용어에 대한 이해와 성격, 특징, 유형 등 전반적 분석 레포트 (A+레포트)
- 목 차 -
Ⅰ. 관용어란?
Ⅱ. 관용어의 경계
Ⅲ. 관용적 표현의 성격
Ⅳ. 관용어의 유형분류
관용표현의 본질적인 의미 특성
관용 표현의 부차적인 의미 특성
관용 표현의 은어적, 속어적, 전문어적, 유행어적인 특성
관용표현에서 의미의 상관관계
Ⅴ. 감정표현에 관한 관용어
1. 감정의 분류와 감정어 표현 관용어
2. 감정표현 관용어의 특징
Ⅵ. 결어
① 기쁨은 생명력이다
심금을/가슴을 울리다, 가슴이 찡하다, 눈시울이 맵다, 가슴을 적시다, 어깨가 으쓱해지다), 발걸음이 가볍다
② 기쁨은 축제이다
입이 찢어지다, 배꼽을 쥐다, 휘파람을 불다, 눈에 차다, 배를 두드리다
③ 기쁨은 희망이다
가슴이 부풀다, 빛이 보이다, 고동을 치다
2) 슬픔(슬프다) : 불행을 만나거나 몹시 외롭거나 하여 울고 싶어지도록 마음이 아프다.
① 슬픔은 신체기능의 손상이다
눈물이 핑 돌다, 목이 막히다, 가슴에 못을 박다/가슴을 허비다, 간장이 썩다/뼈가 새까맣게 썩다,
② 슬픔은 빛, 활력의 상실이다
가슴이 무겁다, 눈앞이 깜깜해지다, 하늘이/억장이 무너지다,
③ 슬픔은 짝 상실이다
짝 잃은 기러기, 개밥에 도토리, 까마귀밥이 되다
3) 분노(분노하다) : 분하여 몹시 성을 내다
① 분노는 에너지의 증대이다
두 눈을 부릅뜨다, 가자미눈을 뜨다, 핏대를 세우다, 악을 쓰다
② 분노는 무기이다
칼을 품다/칼을 갈다, 도끼눈을 뜨다
③ 분노는 불이다
얼굴이 붉으락푸르락해지다, 눈알이 시뻘게지다, 눈에 쌍심지가 돋다/눈에 쌍불을 켜다, 불덩이가 치솟다
④ 분노는 열이다
열을 받다/열이 오르다, 입에 게거품을 물다, 부아가 끓다/속이 끓다, 피가 끊다, 펄펄 뛰다
4) 두려움(두렵다) : 마음에 꺼려 무섭다.
① 두려움은 얼음이다
혀가 굳다, 등골이 서늘해지다, 간이 콩알만해지다, 머리끝이 쭈뼛쭈뼛
② 두려움은 놀람이다
입이 벌어지다/눈이 휘둥그레지다, 토끼눈이 되다, 가슴이 덜컹하다/철렁하다, 간담이 내려앉다/떨어지다
③ 두려움은 도망이다
뒷걸음치다, 걸음아 날 살려라/오금아 날 살려라, 똥줄 빠지다
④ 두려움은 홍조이다
얼굴이 홍당무가 되다/얼굴이 수수떡처럼 붉어지다, 얼굴이 화끈거리다, 귀뿌리가 붉어지다
⑤ 두려움은 감춤이다
입을 가리다, 머리를 긁다/뒤통수를 긁다, 혀를 내밀다, 얼굴을 내 놓을 수 없다, 쥐구멍을 찾다. 몸둘 바를 모르다
⑥ 두려움은 구김살이다
오금/뒤/속/발이 저리다, 뒤가 꿀리다
5) 사랑(사랑하다) : (이성, 부모, 자식, 스승, 인간, 사물 등에 대하여) 아끼고 위하며 한없이 베푸는 일, 또는 그 마음.
① 사랑은 보물이다
금이야 옥이야/금쪽같다/둘도 없다/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다/꼴딱 집어삼키고 싶도록예쁘다, 쥐면 꺼질까 불면 날까
② 사랑은 설렘이다
가슴이 방망이질 치다/떨리다/울렁거리다
③ 사랑은 그리움이다
눈앞에 선하다 어리다/밟히다/귓전을 울리다/귓가에 맴돌다/눈에 남다
④ 사랑은 용서이다
눈을 감아주다, 두남을 두다
6) 미움(미워하다) : 밉게 여기다. 밉게 보다.
① 미움은 못마땅함이다
눈살을 찌푸리다/ 우거지 상/땡감 먹은 상, 입을 삐죽이다, 혀를 차다, 고개를 돌리다
② 미움은 하찮음이다
터진 꽈리 보듯/원두한이 쓴 외 보듯, 콧방귀를 뀌다/코웃음을 치다
③ 미움은 역겨움이다
밥맛이 떨어지다/밥알이 곤두서다, 입맛이 떫다, 멀미가 나다, 날콩 먹는 것이 낫겠다, 추석에 먹은 송편이 나온다
④ 미움은 제거욕이다
눈에 가시/눈의 티/눈 위에 혹, 호랑이가 뭘 먹고사나
2. 감정표현 관용어의 특징
위의 많은 예들에서 보듯 감정표현 관용어 표현의 특징은 신체어와 관련된 표현이 많다는 점이다. 특히 기쁨표현 관용어는 ‘가슴’을 매개로 한 관용어가 많은데, 이것은 한국인에게 있어 ‘가슴’이 기쁨을 감지하는 대표적인 신체기관임을 말해준다. 또 ‘배꼽, 허리, 다리’는 다른 감정표현에는 사용되지 않고 기쁨표현에만 쓰이는 신체어이며, ‘창자’는 슬픔표현에만 사용되는 신체어이다. 분노표현 관용어는 시각적 표현이 주를 이루며, ‘핏대, 이, 부아’는 분노표현에만 쓰인다. 두려움 표현은 딱딱함, 차가움, 소름끼침, 찔림 등의 촉각적 표현이 많으며 ‘오금’은 두려움 표현에만 쓰인다. 사랑표현 관용어는 ‘눈’에 관련된 표현이 많으며 그 외에도 ‘가슴’, ‘귀’, ‘심장’에 관련된 표현이 많이 쓰인다. 미움 표현 관용어에는 다른 감정에 비해 ‘쓴맛, 떫은 맛, 신맛’ 등 미각적 표현이 다양하게 쓰인다.
Ⅵ. 결어
일반적으로 관용 표현은 주로 문어체 보다는 구어체에서 많이 쓰이고, 격식체 보다는 비격식체에서 많이 쓰이며, 공적인 대화보다는 사적인 대화에서 많이 쓰이는 경향이 있다. 관용 표현이 구어체에서 더 많이 쓰이는 이유가 언중들의 일상적인 대화에 쓰이는 표현들이 많기 때문이라면, 비격식체에서 많이 쓰이는 이유는 점잖고 우아한 표현들보다는 속어적인 표현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공적인 대화보다는 사적인 대화에서 더 많이 쓰이는 것이다. 즉, 관용 표현은 우리의 일상적인 언어 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재까지 이루어진 관용어에 대한 분류작업들은 다소 주관적일 수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용어 표현들을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음운론, 형태론, 국어 교육학적으로 다방면에 걸친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여러 관용 표현들을 지속적으로 널리 사용해 나갈 수 있을 것이며 우리의 언어 생활 역시 보다 풍요로워 질 것이다.
《참고문헌》
문금현(1999), 『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 태학사.
박영준 최경봉(1996), 『관용어 사전』, 태학사.
박창원 엮음(2003), 『남북의 언어와 한국어 교육』, 태학사.
박영순(2001), 『한국어 문장의미론』, 박이정.
김준기 김향숙(2003), 『현대국어 관용어 연구』, 한국문화사.
이택희(1983), 「관용적 표현의 언외의미 연구」, 전북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관용어에 대한 이해와 성격, 특징, 유형 등 전반적 분석 레포트 (A+레포트)
- 목 차 -
Ⅰ. 관용어란?
Ⅱ. 관용어의 경계
Ⅲ. 관용적 표현의 성격
Ⅳ. 관용어의 유형분류
관용표현의 본질적인 의미 특성
관용 표현의 부차적인 의미 특성
관용 표현의 은어적, 속어적, 전문어적, 유행어적인 특성
관용표현에서 의미의 상관관계
Ⅴ. 감정표현에 관한 관용어
1. 감정의 분류와 감정어 표현 관용어
2. 감정표현 관용어의 특징
Ⅵ. 결어
추천자료
상담을 위한 성격이론 고찰
국문학 개론- 고전소설의 전반적 성격, 전기소설, 몽유소설, 의인소설
인본주의이론 주요개념과 성격발달관점 및 사회복지실천적용 사례
어린이 MMTIC 성격유형별 특성, 학습양식, 교수방법
에니어그램의 힘의 중심, 행동방식, 성격유형 분석
도형상담에 의한 인간성격 분석, 결정 요인, 역사, 정의, 특징, 도형의 일반적 개념, 종류, ...
[교육심리학][성격과 적응]
[정신건강론] 성격이론들을 비교 설명하시오
프로이드(Freud)와 로저스(Rogers)의 성격이론 분석
[교육심리학] 성격과 적응
(정신건강 공통) 성격이론들(정신분석, 행동주의, 인본주의, 특질적관점 포함)에 대해 자...
심리검사는 사람의 성격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가에 대해 논리에 근거하여 서술하시오.
[방통대 유아교육과 4학년 정신건강 공통] 성격의 개념과 제이론, 측정에 대해 자세히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