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방당한 자의 시선 을 읽고 -디아스포라 와 한국의 민족주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추방당한 자의 시선 을 읽고 -디아스포라 와 한국의 민족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디아스포라

2.한국에서의 민족주의 전개

3.민족주의 논쟁

4. 재일조선인의 눈으로 민족주의 논쟁 바라보기

5. 맺음말

본문내용

없다는 것이다. 이런 현실을 두고 그저 비판만 하는 것은 현실을 해결하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다. 5. 글을 맺으며
민족주의 논쟁은 다양한 층위에서 논의되고 많은 논쟁점을 안은 채 전개되고 있다. 최근 민족주의 비판을 통해서 민족주의에 내재된 부정적인 면이 많이 규명되었고 많은 공감이 있어왔다. 하지만 신자유주의와 세계화의 확산이라는 현실 속에서 그것을 어떻게 다루어야할 지에 대해선 아직 합의점이 정해진 바 없다. 중요한 점은 합의점의 모색이 한국 내부의 논의로서 결정지어져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민족이라는 개념은 허구이고 상상된 것에 불과하다라는 주장 베네딕트 앤더슨, 윤형숙 옮김, <<상상의 공동체: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 나남, 2002
을 받아들일지라도 그것이 지닌 현실적 힘을 무시해서는 안된다. 재일조선인, 조선족들은 한국의 민족주의 향방에 따라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존재들이다. 이들의 입장을 고려해야할뿐더러 이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듣는 자세가 필요하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다수자들이 고정되고 안정적이라고 믿는 사물이나 관념이 실제로는 유동적이고 불안정한 것이라는 사실이, 소수의 논에는 보이”기 때문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8.12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1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