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임춘의 국순전과 이규보의 국선생전 비교 연구(소논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문학] 임춘의 국순전과 이규보의 국선생전 비교 연구(소논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가전체 소설의 개념과 특징
2.「국순전」과「국선생전」작품 비교
3. ‘술’을 소재로 한 이유는 무엇일까?

Ⅱ. 본 론
1.「국순전」을 통해 본 임춘의 삶과 작품의식
2.「국선생전」을 통해 본 이규보의 삶과 작품의식

Ⅲ. 결 론

본문내용

존에 있던 작품과 반대인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 그 대비효과를 위해 소재를 같게 하였을 것이다. 또한 기록을 보면 이규보는 시술거문고를 즐겨 삼혹호 선생이라 자칭되었다고 하는데 평소 술을 즐긴 그가 술에게서 많은 영감을 받은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닐까
Ⅱ. 본 론
1. 「국순전」을 통해 본 임춘의 삶과 작품의식
1-1. 임춘의 생애
그의 무신란 이전 생애에 대한 자료는 많이 찾아볼 수 없다. 다만 그가 유교적 학식과 문학적 교양으로 사회적 지위를 이룩한 집안의 출신이었으며 또한 그가 자신의 어릴 때를 회고하며, 문장으로 이름을 얻었다고 서하집
서하선생집 고려 명종때 선비 임춘의 시문집
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을 보아 당시의 그는 학업수련에 힘을 기울였으며 학문을 통하여 현실에서의 영달을 구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한 생각으로 살아가던 그는 1170년에 일어난 무신의 난으로 하루아침에 현실진출에의 발판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그는 이인로, 오세제, 조통 등과 함께 죽림고회 竹林高會 고려 명종(明宗)∼신종(神宗) 연간에 무신(武臣)의 집권으로, 정치에 대한 뜻을 버리고 강호(江湖)에 은거하며 청담(淸 談)을 즐긴 7인의 문사들 모임. 이인로(李仁老)·오세재(吳世才)·임춘(林椿)·조통(趙通)·황보 항(皇甫抗)·함순(咸淳)·이담지(李湛之) 등 일곱 사람을 중국 진(晉)나라의 죽림칠현(竹林七賢)에 비교하여, 해좌칠현(海左七賢)이라 일컬은 것인데, 한국 청담의 풍 은 이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를 이루며 칩거하였다.
그는 구 문신 귀족층의 후예로 그와 처지가 같았고 비슷한 사고를 지니고 있었던 친우들의 대부분이 당시의 사회 여건 아래에서 지식인이 경제적 기반을 이룰 수 있는 유일한 길인 관료사회로 진출하는데 성공하였으나 그만은 끝까지 관료 사회의 진출이라는 현실세계에서의 생활 안정을 이루지 못하고 삶을 마쳤다.
1-2. 국순전이 쓰여진 시기의 예상
국순전은 물론 국선생전도 그 쓰여진 시기가 명확하지 않다. 다만 국선생전이 이규보가 약관 때 썼다는 기록이 있다. 이규보의 생몰 연대는 1168년에서 1242년까지이며 약관은 20세를 뜻한다. 실제로 그 비슷한 나이 때를 일컫는 말이므로 18-22세 사이로 추측했다. 그러면 국선생전이 쓰여진 시기는 (한국의 나이는 태어나면서 1살이 되므로) 1185년에서 1189년 정도로 보인다. 국선생전이 국순전에서 영향을 받아 쓰여 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국선생전은 적어도 1189년 전에는 쓰여 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임춘의 생몰 연대는 앞서 밝혔듯이 분명하지 않지만 그와 함께 죽림고회를 이루었던 이인로의 생몰 연대가 1152년에서 1220년이며 임춘의 유고집인 「서하선생집」이 이인로에 의해 엮어졌다는 점에서 아마 이인로 보다 더 많은 연배이거나 적어도 비슷한 연대가 아닐까 추측을 한다. 그렇다면 1185년에는 34세 이후이며 1189년에는 38세 이후가 된다. 따라서 국순전은 임춘의 나이 적어도 34세 이후에 쓰여 졌을 것이라 예상이 된다.
1-3. 임춘의 의식세계(그의 시를 중심으로)
임춘의 의식세계에 대한 탐구를 하자면 그것만으로도 한 편의 논문이 될 정도로 방대하며 또한 그에 관련된 연구들도 상당히 찾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그것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하자면 그 자체로 많은 시간과 지면이 할당되기 때문에 시 한편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장험행
우습도다 문장이란 값이 나가지 않는 것
천자가 언제 <자허부>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 사마상여(司馬相如:BC 179∼BC 117)가 지은 산문부(散文賦).
를 읽었던가
많고 많은 세상의 더러운 놈들아
치질 핥고도 서른대 수레 얻는구나
내 너희들 얼굴에 침

키워드

가전체,   국순전,   국선생전,   ,   임춘,   이규보,   국문학,   문학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8.22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