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목차
1. WTO체제의 출범
1-1.WTO의 성립배경 1)WTO의 성립
1-2 WTO의 특징
2 WTO와 新통상이슈
2-1.WTO의 현황
2-2. WTO협정의 주요내용
2-3. 주요 新통상이슈
2-4.지역주의의 확산과 대응
3 New Round의 현황과 전망
3-1.뉴라운드 논의의 개요
3-2.시애틀 각료회의 평가
3-3.뉴라운드의 현황
1-1.WTO의 성립배경 1)WTO의 성립
1-2 WTO의 특징
2 WTO와 新통상이슈
2-1.WTO의 현황
2-2. WTO협정의 주요내용
2-3. 주요 新통상이슈
2-4.지역주의의 확산과 대응
3 New Round의 현황과 전망
3-1.뉴라운드 논의의 개요
3-2.시애틀 각료회의 평가
3-3.뉴라운드의 현황
본문내용
UR 후속협상의 추진
◈ 1995년 7월 금융서비스 협상타결(29개국만 참여, 미국 불참)
◈ 기본통신부문 협상타결 실패(통신시장 자유화협상 시한 연장)
◈ 해운협상 타결 실패(2000년 이후 다시 협상)
◈ 1995년 7월 25일 인력이동협상 타결
새로운 통상의제의 논의
◈ 무역과 환경 이슈만이 본격적 논의(환경문제 새로운 통상이슈로 대두)
◈ 과제 : 투자와 경쟁정책(노동기준 합의타결 실패)
◦ WTO체제 밖에서 더욱 활발.
◦ WTO에로의 편입 본격적으로 거론되지 않음.
WTO협정의 주요내용
1)시장접근
◈ 시장접근위원회 : UR 관세양허협정의 적용결과 회원국간 상호 통보◦逆통보 , 회원국들이 서로 이행 여부 감시 (중략)
2)섬유 및 의복
◈ ATC (the Agreement on Textiles and Clothing)
: 섬유,의류에 관한협정이 발효됨에 따라 MFA을
다자간규범 속으로 통합시키는 이행과정 시작.
[TMB(Textiles Monitoring Body)에 의해 감독]
◈ TMB 주요 임무 : 과도기적 세이프가드 체제하에 취해진 제반조치와 관련하여 동 기구에 통보된 문제들을 평가
3)농산물
◈ 일반적으로 회원국들이 합의사항 이행 착실히 진행.
◈ 관세 및 수량 합의사항 구체적인 이행방법 통고.
(일반적 논의사항 현재에도 진행 중)
◈ 국내보조금 및 수출보조금에 대한 논의 예정.
(여타 사행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
4)세이프가드
◈ 1995년 1월 1일 발효.
(위원회는 개별국별 입법사항에 대한 평가작업 착수)
◈ 회원국들은 위원회에 ‘灰色地帶’ 조치들을 통보
◈ 1995년 7월 금융서비스 협상타결(29개국만 참여, 미국 불참)
◈ 기본통신부문 협상타결 실패(통신시장 자유화협상 시한 연장)
◈ 해운협상 타결 실패(2000년 이후 다시 협상)
◈ 1995년 7월 25일 인력이동협상 타결
새로운 통상의제의 논의
◈ 무역과 환경 이슈만이 본격적 논의(환경문제 새로운 통상이슈로 대두)
◈ 과제 : 투자와 경쟁정책(노동기준 합의타결 실패)
◦ WTO체제 밖에서 더욱 활발.
◦ WTO에로의 편입 본격적으로 거론되지 않음.
WTO협정의 주요내용
1)시장접근
◈ 시장접근위원회 : UR 관세양허협정의 적용결과 회원국간 상호 통보◦逆통보 , 회원국들이 서로 이행 여부 감시 (중략)
2)섬유 및 의복
◈ ATC (the Agreement on Textiles and Clothing)
: 섬유,의류에 관한협정이 발효됨에 따라 MFA을
다자간규범 속으로 통합시키는 이행과정 시작.
[TMB(Textiles Monitoring Body)에 의해 감독]
◈ TMB 주요 임무 : 과도기적 세이프가드 체제하에 취해진 제반조치와 관련하여 동 기구에 통보된 문제들을 평가
3)농산물
◈ 일반적으로 회원국들이 합의사항 이행 착실히 진행.
◈ 관세 및 수량 합의사항 구체적인 이행방법 통고.
(일반적 논의사항 현재에도 진행 중)
◈ 국내보조금 및 수출보조금에 대한 논의 예정.
(여타 사행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
4)세이프가드
◈ 1995년 1월 1일 발효.
(위원회는 개별국별 입법사항에 대한 평가작업 착수)
◈ 회원국들은 위원회에 ‘灰色地帶’ 조치들을 통보
추천자료
국제통상에 관한 것입니다. 한,칠레 자유무역협정
신자유주의 경제이념과 한국에 미치는 영향
신자유주의와 한국의 경제정책 과제
한일자유무역협정의 정책과 시사점
현대무역의 이해
세계의 블록화, 그리고 한국과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FTA
국제통상 이념과 무역이론
신자유주의 비판
은행 및 금융 시장의 자유화와 한국의 대응 방안
신자유주의를 넘어 사회투자국가로
무역정책의 역사와 한국무역정책의 흐름(A+받은자료)
Union shop협정의 요건과 효력에 대한 법적 검토
중상주의와 신보호무역주의
[무역계약조건] 무역계약서의 유형과 무역계약의 8대 기본조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