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H(지주막하출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AH(지주막하출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서 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본 론
▶문헌고찰

Ⅲ.간호과정
▶ 간호사정
-신경학적 검사
-임상검사
-약물
▶간호과정 적용

III. 결론
느낀점

참고

본문내용

4T) 8 IU 1*Mixfl -인슐린 요법이 요구되는 당뇨병
Netilmicin Inj 150mg 1T) 1# IV
-비뇨생식기 감염증, 피부 및 피부조직 감염증, 기관지염 폐렴 등 하기도 감염증, 패혈증
Cefirad Inj 2Vial 1T) 1* IV -패혈증, 수막염, 화상, 수술창 등의 2차 감염
Water For 20ml Inj .25 Btl 1T) 1* IV
[주사(IV)]
03/26
03/27
03/25일에서
Netilmicin Inj 150mg 1T) 1# IV
Cefirad Inj 2Vial 1T) 1* IV
Water For 20ml Inj .25 Btl 1T) 1* IV 제외
추가: *Triaxone Inj 1g 1Vial 1*IV
-호흡기계감염증, 이비인후과 감염증, 생식기감염증, 패혈증
추가:
*Water For 20ml Inj .25 Btl 2T) 2* IV
*Water For 20ml Inj . 5Btl 2T) 2* IV
▶간호과정 적용
1) 객담배출 능력저하와 관련된 비효과적인 기도 청결
S:""
O: 의식상태: STUPOR
기침을 잘하시지 못하며 노란색의 가래를 배출됨
간호진단: 객담배출 능력저하와 관련된 비효과적인 기도 청결
목표
스스로 객담을 배출한다.
효율적으로 기침을 한다.
간호계획
(의학적 근거)
- 대상자의 호흡상태를 자주 check한다.
(비효율적인 기도청결은 호흡수와 리듬의 변화를 가져온다.)
-기침을 자극시키고 필요에 따라 suction을 제공하여 깨끗한 기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suction은 기침을 자극하고 기도청결을 유지하게 한다.)
-매일 체위를 경(semi-fowler position)을 하여 상지를 지지해주며 호흡과 가슴확장을 돕는다.
(호흡과 가슴을 확장을 돕고 혀가 기도를 막는 것을 방지한다.)
-수분섭취를 증가시키고 적절한 습도를 유지한다.
(적절한 습도는 분비물을 묽게 한다.)
수행
-대상자의 호흡상태를 4시간마다 check하였다.
-대상자를 semi-fowler체위를 취하게 하였다.
-가습기를 제공하여 적절한 습기를 유지하였다.
-O2 3l/min를 공급하였다.
-suction을 시행 하였다.
평가
환자는 스스로 원활한 객담을 배출하지 못한다.
2)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S:" "
O: 의식상태: STUPOR
거동장애로 많은 시간을 침대에 누워있다.
간호진단: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목표
환자의 피부가 정상이며 환자의 침상은 깨끗하다.
간호계획
(의학적 근거)
-1~2시간마다 체위변경 및 등 마사지를 실시한다.
(체위 변경은 한 조직에 압력이 계속 가해지는 것을 감소시키며 피부 순환을 증진 시킨다.)
-쉽게 보이지 않는 신체부위의 욕창을 발견하기 위해 침상교환 시 매일 피부를 관찰한다.
(피부변화의 조기 발견은 피부손상을 최소화 한다.)
-발꿈치와 뼈 돌출부위를 보호하는 (물주머니, 패드, 베개, 담요)를 사용한다.
-피부를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하며 옷과 이불의 구김이 없게 유지한다.
-욕창의 증상에 대하여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용변후 깨끗이 처리하도록 한다.
수행
-하루 3-4회 체위변경과 등마사지를 실시하였다.
-체위변경과 등마사지시 환자의 피부를 관찰하였다.
-발꿈치 부위에 물주머니를 사용하였다.
-하루에 한번 침상 정리를 하였다.
-욕창의 증상에 대하여 보호자에게 설명하였다.
-용변후 물티슈로 깨끗하게 닦아 드렸으며 피부를 건조하게 하였다.
평가
욕창이 발견되지 않았다.
환자의 침상은 깨끗하고 주름이 없으며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기저귀 착용하고 있으며 변은 많은 양은 아니지만 설사를 보시며 옷과 시트가 땀에 젖어 구겨져 있으며 피부는 땀에 젖어있다.
3) 환경변화와 관련된 영양 부족
S:" "
O: 의식상태: STUPOR
스스로 음식섭취를 할수없음.
구강상태가 좋지 않으며 L-tube feeding
입원시 70Kg-> 03/30일 59Kg 체중감소 11Kg
간호진단: 환경 변화와 관련된 영양 부족
목표
환자는 환자의 상태에 적절한 식이를 섭취한다.
간호계획
(의학적 근거)
-대상자의 의식상태를 매일 check한다.
(대상자의 의식상태를 check 함으로 대상자의 현재상태를 파악한다.)
-매일 열량 섭취및 수분섭취량, 배설량을 check한다.
(열량 섭취및 수분섭취량, 배설량을 check는 잠재적인 불균형을 예방)
-환자에게 적절한 경관 영양을 제공한다.
-Feeding에 대하여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잘못된 경관 영양 제공은 소화활동을 감소시키고 장경련의 원인이 되므로 보호자의 교육이 필요하다.)
-매일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식사전 후 30분동안 휴식시간을 제공한다.
(대상자의 연하와 소화를 돕는다.)
수행
-대상자의 의식상태를 check하였다.
-매 일 Intake와 output을 check하였다.

-경관영양을 제공 하였다. (당뇨그린베이 -> 메디푸드)
-Feeding에 대하여 보호자에게 교육하였으며 Feeging시 천천히 주입하며 억지로 밀어 넣지 않도록 하였다.
-매일 구강간호를 실시하였다.
-식사전 후 30분동안 휴식을 취하도록 하였다.
평가
환자에게 적절한 경관식을 위해 영양상태를 평가하여 새로운 식이를 제공하게 되었다.
III. 결론
느낀점
이 연구를 통하여 신경계 손상 환자의 증상과 간호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또한 신경계 손상을 사정할 때에는 여러 가지 사정 도구들 익히고 응용하였던 점이 뜻 깊었다. 이 대상자 사례연구를 통하여 중환자들에 대한 간호를 배울 수 있었고 처음부터 끝까지를 도와줌으로써 간호의 참 보람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앞으로 보다 나은 간호환경이 되어 간호의 본질을 잘 수행 하여 어디서나 간호의 참 보람을 느꼈으면 한다.
참고
http://user.chol.com/~nshhj/aneurysm.htm -건강과 질환
http://provider.healthkorea.net/hi/disease/hangle_list/122.htm
http://www.kimsonline.co.kr
서울대학교병원,간호진단과 계획
이광옥 외, 최신 임상간호메뉴얼(1997) 수문사
CASE STUDY
지주막하출혈(SAH)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9.03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28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