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 만전춘별사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가요 만전춘별사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머리말

Ⅱ.어석풀이

Ⅲ.‘南山·玉山·錦繡山’시어의 상징적 의미

Ⅳ.滿殿春別詞의 구조 분석

Ⅴ.맺음말

본문내용

로 사용되었으며, 「미」는 「」의 주격형임.
③오리오>오겠느냐, 올 것인가
「오(來到)」에 末來時相 「리」와 의문형어미 「오」의 연결형임.
末來時相 「리」의 본체는 어간의 관형사형어미 [ㄹ]과 추상명사 「이」의 합성형의 굳어진 형 이며, 어간의 관형사형어미 [ㄹ]자체가 末來時相을 나타낸다.
2-2. 西窓을 여러니 桃花ㅣ 發두다
①여러니>열으니
「열으니여러]는 열「開」의 부사형. 「」는 34조의 음률에 맞추기 위해 한 음절을 더 넣 은 것으로 고가요에 많이 사용됨.
②桃花ㅣ>桃花가
「ㅣ」는 주격조사.
③發두다>發하도다.
「두다」와 「도다」의 양형이 있는데, 「두다」를 원형으로 봄.
김주태- 감탄의 어미 「도다」는 흔히 「두다」로 음변한다고 봄.
양주동- 「두다」를 「도다」의 俗音. 「도-두」호전은 毋論 음운적 현상이나 조동사의 원 형이 「」곧, 「도-두」는 그 아형이라고 함.
2-3. 桃花 시름업시 笑春風다 笑春風다
①시름업시>시름 없이
「시름」은 「憂愁」의 뜻임
②다>한다, 하는구나
옛말에 있어 현재형은 윗말의 받침이 있고 없고를 막론하고 「다」였음. 「다」형은 흔히 노래에서 감탄형으로 사용되기도 함.
3-1. 넉시라도 님을 녀닛景 너기다니
①넉시>넋이
「넋(魂)」의 주격임.
②님을 >임과 한곳에
「님을」은 「니믈」의 俗綴로 「님과, 임과」의 뜻임.
「니믈」아래에 語義上 「녀져」가 생략되어 있음.
③녀닛景>남의 景況
「녀니」는 관형용사 「녀느(他)」와 인칭대명사 「ㅣ]와 합성된 「녀느이>녀니」형으로 「 (他人)」의 뜻으로, 사잇소리 [ㅅ]이 들어간 「의」의 뜻임. 「景」은 경기체가에 흔히 쓰이는 字로 여기서는 「景況」의 뜻임
④너기다니>여기더니
「너기」는 「擬思」에 과거회상보조어간 「다」와 어간「니」의 연결형.
「다니」는 「더니」의 古體임.
3-2. 벼기더시니 뉘러시잇가 뉘러시잇가
①벼기더시니>어기던 사람이
「벼기」는 「固執抗言」의 뜻임.
「더시니」는 「더신이」로 더(과거회상선어말어미) + 시(존칭선어말어미) + ㄴ(관형사형어미) + 이(인칭대명사)
②뉘러시니잇가>누구였습니까
「뉘」는 「누(誰)」의 서술격형.
「러시니잇가」는 ‘더시니잇가’가 원형. 「더」(어간말음 모음 ‘ㅣ’아래에서 ‘ㄷ>ㄹ’로 바뀌어, ‘러’가 됨) + 시(존칭선어말어미) + 니잇가(존칭의문형종결어미)
4-1. 올하 올하 아련 비올하
①올하>오리야
「올하」는 「올(鴨)」의 호격. 「올」은 ㅎ종성체언으로 「올ㅎ」이며, 거기에 명사형접미사 「ㅣ」의 연결로 명사로 굳어진 형으로, 「올ㅎ>올히>올이>오리」의 변천을 겪음.
②아련>연약한
「아련」은 「여리(弱軟)」의 ablaut형 「야리」에 어간모음 「어」를 취하여 관형사형어미 [ㄴ]과 연결된 형으로, 즉 「야리어ㄴ>야련>아련」의 변천 과정을 겪음.
양주동 - 「어린」의 歌唱的 俗轉으로 봄
③비올하>비오리야
「비올」은 「빗올(花鴨)」의 속음.
4-2. 여흘란 어듸두고 소해 자라 온다
①여흘란>여울을랑
「여흘」은 「灘瀨」의 뜻임.
「란」은 목적지적조사 「ㄹ란」의 [ㄹ]음 생략으로 봄.
②어듸>어디
「어(何處)」의 처격형이 명사로 굳어진 형.
③소해>소에, 늪에
「소」는 「沼」의 음기. 「소」는 ㅎ종성체언 「소ㅎ」이기 때문에 처격「애>해」를 취함.
김주태 - ‘소’를 「沼」의 음기로 보지 않고, 우리의 固有語로 봄.
④자라 온다>자러 오느냐
「자라」는 「자(寢)」에 지향을 뜻하는 연결어미 「라」가 붙음.
「온다」는 「오(來)」에 의문형어미 「ㄴ다」의 연결형임.
4-3. 소콧 얼면 여흘도 됴니 여흘도 됴니
①소콧>소 곧
「소」는 沼임. ㅎ종성체언으로 조사 「곳」은 「콧」으로 됨.
②얼면>얼면
「얼(凍)」에 연결어미 「면」이 붙음.
③됴니>좋으니, 좋습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9.05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0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