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원문과 풀이
3. 작품해석
- 남녀중창
- 이별하는 남녀
- 불교적 노래
- 임금께 바치는 노래
4. 이상곡에 나타나는 쟁점
- 작가
- 행의 분절
- 어구해석
5. 나오며...
2. 원문과 풀이
3. 작품해석
- 남녀중창
- 이별하는 남녀
- 불교적 노래
- 임금께 바치는 노래
4. 이상곡에 나타나는 쟁점
- 작가
- 행의 분절
- 어구해석
5. 나오며...
본문내용
履霜曲에 관하여...
1. 들어가면서...
이상곡은 쌍화점, 만전춘별사와 더불어 고려시대 남녀상열지사라 하여 조선시대에 배척되었던 대표적인 고려가요이다. 충숙왕 때 채홍철이 지은 노래라는 설이 있으며 ‘악장가사’에 가사가 ‘대악후보’에 음악이 전하고 있다. 조선 성종 때에 이르러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라 하여 곡조만 남았다가 그 시기에 완성된 <악학궤범>에서는 ‘履霜’이라는 노래의 제목마저 삭제되었다.
남녀상열지사란 고려 속요가 그 내용이 매우 진솔하며, 남녀간의 뜨거운 사랑을 읊은 것이 많고, 더러는 표현이 노골적인 것도 있어서, 조선조의 유학자들이 음악을 정리할 때 이를 비방했던 말로, ‘남녀가 서로 좋아하는 내용의 가사’라는 뜻이다. 또 다른 말로 ‘음사(淫詞)’, ‘비리지사(鄙俚之詞)’, ‘음설지사(淫褻之詞)’라 하는데 유교 윤리에 젖은 이들 학자들의 비위를 거슬리는 속된 노래는 싣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리부재(詞俚不載)’라는 말을 쓰기도 하였다. 대부분의 노래는 이 때문에 사멸되었지만 앞에서 말한 세 노래는 악학궤범에 일부, 또는 변형된 부분이 전해져 내려와 그 원전을 짐작케 한다.
이 노래의 가사는 여자가 묻고 남자가 답하고, 마지막으로 여자가 다짐하는 것으로 짜여져 있어, 여자와 남자가 서로 번갈아 가면서 부르는 형식을 띄고 있다. 이상곡은 남녀상열지사의 작품의 일반적인 모습처럼 고려시대 사람들의 자유로운 연애관과 감정표현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비록 조선시대때 남녀상열지사로 배척되었지만 현대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고려시대의 분위기를 추측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자료이다. 또한 그 언어가 수세기에 걸쳐 변화되어왔기 때문에 후렴구인 ‘다롱디우셔 마득사리 마득너즈세 너우지’를 비롯, 많은 부분에서 해석의 논쟁을 불러오는 작품이기도 하다.
2. 원문과 풀이
<원문>
비 오다가 개야 아 눈하 디신 나래
서린 석석사리 조 곱도신 길헤
다롱디우셔 마득사리 마득너즈세 너우지
잠 간 내 니믈 너겨
깃 열명 길헤 자라오리잇가.
죵죵 벽력함타무간(霹靂生陷墮無間)
고대셔
1. 들어가면서...
이상곡은 쌍화점, 만전춘별사와 더불어 고려시대 남녀상열지사라 하여 조선시대에 배척되었던 대표적인 고려가요이다. 충숙왕 때 채홍철이 지은 노래라는 설이 있으며 ‘악장가사’에 가사가 ‘대악후보’에 음악이 전하고 있다. 조선 성종 때에 이르러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라 하여 곡조만 남았다가 그 시기에 완성된 <악학궤범>에서는 ‘履霜’이라는 노래의 제목마저 삭제되었다.
남녀상열지사란 고려 속요가 그 내용이 매우 진솔하며, 남녀간의 뜨거운 사랑을 읊은 것이 많고, 더러는 표현이 노골적인 것도 있어서, 조선조의 유학자들이 음악을 정리할 때 이를 비방했던 말로, ‘남녀가 서로 좋아하는 내용의 가사’라는 뜻이다. 또 다른 말로 ‘음사(淫詞)’, ‘비리지사(鄙俚之詞)’, ‘음설지사(淫褻之詞)’라 하는데 유교 윤리에 젖은 이들 학자들의 비위를 거슬리는 속된 노래는 싣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리부재(詞俚不載)’라는 말을 쓰기도 하였다. 대부분의 노래는 이 때문에 사멸되었지만 앞에서 말한 세 노래는 악학궤범에 일부, 또는 변형된 부분이 전해져 내려와 그 원전을 짐작케 한다.
이 노래의 가사는 여자가 묻고 남자가 답하고, 마지막으로 여자가 다짐하는 것으로 짜여져 있어, 여자와 남자가 서로 번갈아 가면서 부르는 형식을 띄고 있다. 이상곡은 남녀상열지사의 작품의 일반적인 모습처럼 고려시대 사람들의 자유로운 연애관과 감정표현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비록 조선시대때 남녀상열지사로 배척되었지만 현대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고려시대의 분위기를 추측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자료이다. 또한 그 언어가 수세기에 걸쳐 변화되어왔기 때문에 후렴구인 ‘다롱디우셔 마득사리 마득너즈세 너우지’를 비롯, 많은 부분에서 해석의 논쟁을 불러오는 작품이기도 하다.
2. 원문과 풀이
<원문>
비 오다가 개야 아 눈하 디신 나래
서린 석석사리 조 곱도신 길헤
다롱디우셔 마득사리 마득너즈세 너우지
잠 간 내 니믈 너겨
깃 열명 길헤 자라오리잇가.
죵죵 벽력함타무간(霹靂生陷墮無間)
고대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