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세 수 도 원 운 동 의 윤 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 세 수 도 원 운 동 의 윤 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서론----------------------------------- 1
제1절 문제의 제기----------------------------------1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2

제 2 장 수도원 운동의 역사와 문제점---------------- 4
제1절 수도원 운도의 역사-------------------- 4
1. 수도원 설립의 사회적 배경-------------------- 4
2. 수도원의 역사------------------------------ 6
제2절 수도원 운동의 문제점------------------ 7
1. 수도원의 부의 축적과 지도자의 부패------------ 7
2. 지나친 금욕주의와 은둔생활------------------- 8

제 3장 청 빈--------------------------------- 10
제1절 청빈에 대한 윤리적 분석---------------------- 10
제2절 청빈의 생활화----------------------------- 15
제3절 청빈과 부의 축척----------------------- --- 19
제4절 청빈과 검약의 정신------------------------- 22

제 4 장 순 결--------------------------------- 25
제1절 순결에 대한 윤리적 분석--------------------- 25
제2절 순결의 실천 방법--------------------------- 29
제3절 순결과 노동과의 관계------------------------ 30
제4절 순결과 오늘의 성 윤리----------------------- 32

제 5 장 복 종-------------------------------- 33
제1절 복종애 대한 윤리적 분석--------------------- 33
제2절 복종과 겸손------------------------------- 38
제3절 복종과 권위------------------------------- 39
제4절 복종과 성김의 정신------------------------- 40

제 6 장 종합적 고찰--------------------------- 43
제1절 수도원 운동의 윤리적 평가-------------------- 43
제2절 세 덕목과 영성의 상관 관계------------------- 45
제3절 개신교에 있어서의 덕목의 전개---------------- 47

제 7 장 결 론-------------------------------- 49
제1절 요 약------------------------------------ 49
제2절 평 가------------------------------------ 50

본문내용

인용한 것을 다시 간단히 요약한 것이다.
초기 기독교는 종말을 기다리는 소극적이며 완전주의 적인 윤리적 입장을 위했으나, 이제는 이런 자세로서는 현실 세계에 응답할 수 없었으며, 보편적 가치를 상실하게 되었다. 그리고 세상을 악의 세력으로 보던 자세에서 이제는 로마의 정치 권력을 통한 정의의 실현을 추구하려 하게 되었다. 종말이 지연됨에 따라 현세적 삶에 충실한 필요를 느껴, 직업과 생업을 향한 노력을 경주하게 되었다. 또한 교회는 성장과 발전을 위하여 자신이 지니고 있었던 완전주의적 이상이 약화되고 있는 현실을 받아 들여야 했다.
경건한 신앙으로 살아가던 이들에게 있어서 이러한 교회의 윤리적 태도 변화는 사실상 일종의 세상과의 타협으로 간주될 수밖에 없었다. 그들은 이런 타협주의, 적응주의적 태도를 경계하였다.
일부 경건한 사람들의 눈에는 ‘교회는 세계를 장악했지만 그 대가로 영혼을 지불한’. W.Beach and H. R. Nieuhr.기독교 윤리학 김중기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5), p. 127.
것으로 보였다.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순수한 종말론적 열정을 공통 분모로하여 모였던 소규모의 신앙 공동체는 세상을 멀리하고, 세상과는 다른 윤리적 태도를 견지하게 되었다. 독실한 신앙인들은 ‘세상을 버리고, 하나님의 상실된 비젼을 회복하기 위하여’ Ibid. , p. 127.
엄격한 금욕 생활과 경건 생활의 운동을 하게 되었다.
이와같이 수도원 운동의 이면에는 초대 교회의 윤리적 이상이 비현실적으로 간주되어 가는 새로운 정황 속에서, 세상과 타협하지 않고 초대 교회의 윤리적 이상을 실천하려는 동기가 깊이 내재되어 있었던 것이다.
수도원이 설립하게 된 배경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정한 한가지의 이유 때문이라기 보다는 교회 내적으로 외적으로 시대와 사상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함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목표는 하나의 이상적인 공동점을 내포한데, 그것은 신앙의 발전과 영적인 성숙을 통하여 보다 그리스도에게 가까이 접근하고자 함이었다.
2. 수도원의 역사
기독교 수도원의 시조는 중앙 이집트의 코마(Koma)에서 250년 경 출생한 성 안토니우스(St. Antonius : 251-356경)를 들 수 있다.
실로 이집트는 수도사들이 생활하기에 적합한 곳이었다. 이집트의 지형과 기후는 독자적 생활이든 공동체 생활이든간에 수도사에게 적합했다. 나일강의 비옥한 계곡은 양편이 사막에 접해 있는 ‘리본’(a Ribbon)과 같았으며 비가 오는 일이 드물었다. 고행자들은 별로 은신처가 없더라도 필요한 약간의 양시긍ㄹ 마을에서 구하든가 혹은 자신의 조그만 밭에서 직접 경작하든가 하면서 흔자 살아갈 수 있었던 것이다. Ibid. p. 223.
그가 첫 독수자는 아니었으나 그의 영향이 제일 컸기 때문에 그를 은수생활(隱修生活)의 창시자 및 모든 수도자들의 아버지라고 부른다.한국수도자 장상연합회 양성위원회 편, 오늘의 수도자들 (왜관:분도출판사, 1983), p. 15
이후 동방 교회의 수도원 생활은 거의 대부분 개인적이고 금욕적이었다. 한편 서방 교회의 수도원 운동은 수도사들이 함께 모여 세상을 포기 하고 사회적인 규율 아래 하나의 단체를 조직하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었다.
서방 교회 수도원 운동의 윤리적 이상의 성지요 상징은 베네딕트 수도원이다. W. Beach and H. R. Niebuhr, op. cit. , p.127.
누르시아이 베네딕트(Benedict of Nursia : 480 -543)의 위대성은 무엇보다도 그가 공동체를 위해 작성하였던 “수도 규칙”에 있다. 이 문서는 단순하고 소박한 것이지만, 그 후 수세기에 걸쳐 서방 교회 수도원 운동의 기본적인 모습을 결정하게 되었다. J. Gonzalez, [중세교회사] 서영일 역 (서울:도서출판은성, 1993), p.26.
수도원 운동의 그 후 역사는 주기적인 부패와 개혁으로 이어지는 순환운동이었다. 수도원이 세속화되면서 그 후 경건한 수도자들에 의한 “수도 규칙”으로 , 그 다음에 또 다른 쇠퇴가 있어왔다. 이러한 개혁 운동 중 대표적인 것이 10세기말의 클루니(Cluniac) 수도회, 12세기 시스터시안(Cistercian) 수도회, 13세기 도미니크(Dominican) 수도회와 프랜시스(Fraciscan) 수도회의 개혁 운동 등이었다. 심창섭. 박상봉, [핵심요해 교회사 가이드], (서울:아가페 문화사, 1994), pp. 140-145. 내용 요약
제 2 절 수도원 운동의 문제점
1. 수도원의 부의 축적과 지도자들의 부패
제 10 - 11세기와 일부 기간동안은 수도원이 영주의 세력에서와 왕의 세력으로부터 빠져 나와 수도원들이 교황의 직접적인 지배 아래 있게 했다. 지방적으로 일어나는 모든 세속적 또는 교회적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웠다.
그 수도원들에 대한 완전한 그리스도적 삶을 추구 할 수 있는 자유를 보증하기 위한 이러한 운동이 적어도 제13세기까지 지속했다. 즉, 기독교적인 이념을 개인적으로나 단체적으로나 방해받지 않고 완전히 추구하고 있었다. Kenneth S. Latourette, [基督敎史], 윤두혁 역, (서울:생명의 말씀사, 1992) p.629.
번성하던 수도원 운동도 1350년이 도기 2 -3년 전에 일어난 흑사병은 유럽 전역에 확산되어 북유럽 인구의 1/3을 감소시켰고 영국 인구 1/2의 생명을 희생시켰다. 흑사병은 프란시스칸과 도미니칸의 고위성직자들을 죽음으로 몰아넣었으니 선교와 이 승단들의 질이 많이 저하되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승단들은 질이 낮은 수도승들을 받아들임으로써 승단의 질을 더욱 저하시켰다.
1350 -1500년 어간의 수도원은 대부분 생동성을 상실했다. 이들은 게으르고 사치하고 무기력하고 해이해졌고 부도덕했다. 이형기, [세계교회사], (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pp. 672-673.
수도원이 부요하기 시작하였는데 그 이유는 수도사들의 노동으로 나오는 물건들을 팔아서 나오는 수익금과, 신자들이 죽으면서 수도원에 재산을 기증하므로 말이암아 청빈을 덕으로 삶고 살아야 할 수도원이 부요 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수도원의 본래의 수도원의 모습은
  • 가격3,000
  • 페이지수45페이지
  • 등록일2006.09.21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46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