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선택요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실선택요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1.현실 요법의 이해
1.1. 현실 요법의 개요
1.2. 현실 요법의 발달과정
1.3. 현실요법과 선택이론
1.4 현실요법과 다른 치료 방법의 비교

2.현실요법의 적용과 진행 절차
2.1. 현실요법의 원리
2.2. 현실요법의 진행 절차

3. 현실요법의 적용 실제
3.1. 가족치료와 현실요법
3.2. 개인치료과 현실요법

4. 내담자의 회복단계에 따르는 현실요법의 적용
4.1. 과도기적 단계(transition stage)
4.2. 고정화 단계(stabiliation stage)
4.3. 회복초기 단계(early recovery stage)
4.4. 회복중기 단계(middle recovery stage)
4.5. 회복후기 단계(late recovery stage)
4.6. 회복유지 단계(maintenance stage)

5. 현실요법의 공헌과 제한점
5.1. 현실요법의 공헌
5.2. 현실요법의 한계점
5.3. 현실요법의 평가

나오는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사인 윌리암 글래써(William Glasser) W.Glasser(1925 - ) : 윌리암 글래써는 1925년 Ohio. 주의 Cleveland 에서 태어나 공업전문학교를 졸업하고 19세에 화공기사가 되었으나, 심리학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23세에 임상심리전문가가 되었다. 그 후 다시 Ohio주 Cleveland에 있는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28세가 되던 해에 정신과 의사가 되었다.
UCLA와 Los Angeles의 재향군인병원에서 정신과 수련의 과정과 전문의 과정을 밟았는데, 그 동안에는 전통적인 정신분석치료방법으로 훈련받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정신분석치료의 이론과 기법, 그리고 효과에 불만족을 느끼게 되면서부터 오늘의 현실치료를 발전시키게 된 것이다.
그는 개인상담 이외에도 재활센터와 청소년 감화원 등에서 정신치료를 하였으며, 1963년부터 California 주의 공립학교들을 위한 자문위원으로서 학급실정에 맞는 현실치료를 적용한 치료적 접근으로 <낙오자 없는 학교 만들기>를 위해 광법위하게 일을 했다.
1967년에 현실치료를 위한 연구소를 Los Angeles에 개설하여 현재까지 연구소의 소장과 재단운영 위원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초기의 연구소 활동은 미국과 캐나다에 국한되었으나, 현재는 아일랜드, 유고슬라비아, 호주, 일본, 노르웨이와 한국 등을 비롯한 전세계로확장 일로에 있다.
그는 선택이론과 현실치료 강의와 훈련 과정 지도에도 적극적으로 참가하고 있으며, 그의 현실치료 연구소(1996년 5월에 <윌리암 글래써 연구소>라고 명칭을 바꿈) 에서는 의사, 간호사 ,심리학자 목회자 사회사업가, 법률가, 교사들을 위한 현실치료 집중훈련과정에 필요한 교재와 기타 정보를 제공해 왔으며, 그의 주요 관심사는 선택이론의 개념을 발달시키고 보급하는 것이며, 보람있는 삶을 추구하는데 이 개념들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일반인들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현실치료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은 1964년 4월 , 라는 논문을 통해서였으며, 1965년에는 이 접근에 대한 그때까지의 개념들을 발전시켜 를 저술하였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정신건강과 정신병>(Mental Health and Mental Illness. 1960), <현실치료>(Reality Therapy,1965), <낙오자가 없는 학교>(Schools without Failure,1969),(1972), <긍정적 중독>(Positive Addiction,1976), (1980), (1980), (1981), <당신의 삶은 누가 통제하는가>(Control Theory,1985), <교실에서 적용되는 통제이론>(Contol Theory in the classroom,1986), (1990), (1998),(1993), <결혼의 기술>(Staying Togeter,1995), <행복의 심리>(Choice Theory, 1998)등이 있다. 김영순, 현실치료의 이론과 실제 적용, HTTP//www.counpia.com, 2006. ; 대학상담학회, 상담의 이론과 실제, 홍경자, 현실요법적 상담, 중앙적성출판사, 19994, 275~278.
에 의해 창시되었다. 대학상담학회, 상담의 이론과 실제, 홍경자, 현실요법적 상담, 중앙적성출판사, 19994, 275
글래써는 정신의학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고통은 근본적인 무능감(無能感)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자기를 둘러싸고 있는 세상의 현실을 부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자기 자신에게 필수적으로 충족 되어야 할 욕구를 제대로 충족되지 않을 때 그 증상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그들이 세상을 부정하는 것을 포기하고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인식할 뿐만 아니라, 주어진 현실 내에서 그들의 욕구가 성공적으로 충족되면 그 증상은 사라진다는 것이다. 참조 : William Glasser, 홍경자역, 현실요법, 중앙적성출판사, 1993, 13~14.
이처럼 내담자들을 유형(有形)무형(無形)의 현실 세계를 파악하는 방향으로, 즉, 현실로 인도하는 현실(現實)지향(指向)의 치료라는 뜻에서 “현실요법”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참조 : William Glasser, 홍경자역, 현실요법, 중앙적성출판사, 1993, 14.
이 현실요법의 접근에서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욕구를 현실적인 방법으로 자신이나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충족시키도록 도와준다. 상담자는 내담자 자신들의 행동을 평가하도록 도와줌으로 책임 있는 행동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성공적인 정체감(sucess identity)을 획득하도록 하여 자기의 세계와 자신을 통제할 수 있도록 원조한다. 참조 : Reymond J.Corsini, 김정희, 이장호 역, 현대심리치료, 중앙적성출판사, 1994, 411 ; 대학상담학회, 상담의 이론과 실제, 홍경자, 현실요법적 상담, 중앙적성출판사, 19994, 275
현실 치료는 경미한 정서적 혼란에서부터 완전한 정신병적 퇴각에 이르기까지 어떤 종류의 심리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Reymond J.Corsini, 김정희, 이장호 역, 현대심리치료, 중앙적성출판사, 1994, 411
1.2. 현실 요법의 발달과정
1.2.1 현실요법의 잉태기 : 1958-1962
1958년 글래써는 로스엔젤레스에 있는 캘리포니아 대학과 웨스트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원호병원에서 훈련을 받으면서, 현실요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처음 생각하게 되었다. 메닝거 크리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6.09.21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47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