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적 영성의 흐름을 평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적 영성의 흐름을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께 하셨다. 여기에 성경은 '객관적 계시'이고, 성령은 '주관적 계시'임을 알 수 있다. 말씀은 그 뿌리가 예수 그리스도이신데, 이것은 제자들을 통하여 여러 사람들에게 동시에 전달된다. 성령은 이것을 개개인의 심령 속에서 감동되도록 역사하신다. 이것을 오늘 우리가 읽고 우리에게 믿어질 때 성경이 기록될 상시의 성령의 역사가 동일하게 일어난다. 성경의 '객관적 계시'와 성령의 '주관적 계시'가 합쳐져서 구원의 역사가 이루어졌다. 곽선희, 영성신학, p.139
하나님은 자신과 자신의 목적과 길들을 보여주기 위하여 성령을 통해서 성경 말씀, 기도, 환경 그리고 교회를 방편으로 하여 말씀하신다. 그리고 이렇게 말씀하시어 하나님의 일에 동참하도록 우리를 초청하시는 것이다. 하나님은 지금도 성령을 통해서 말씀하시는데, 성경말씀과 기도와 환경 그리고 교회 가운데 어느 한 가지 방편만으로 말씀하시기보다는 여러 방편들이 서로 일치하게 말씀하신다. 나용화, 영성과 경건, p.51.
현대적 영성의 흐름 평가
현대 교회가 진정한 사랑이 실천되어지고 있는가 하는 질문을 한다면 모두가 아니라고 대답할 것이다. 영적 성숙은 결핍되어졌고 목사라는 신분은 극도로 격하되어졌으며 교회의 끊임없는 분열은 지금도 연속이다.
영성이 소멸된 복음주의는 우리가 실행해야 할 영성이 종교개혁의 영성을 전승한 청교도에서 꽃을 피워 존속되어진 분명한 개신교의 어휘였음에도 불구하고, 영성의 어휘가 가톨릭이 사용하는 용어라 하여 도리어 영성에 대하여 더 많은 방치와 냉소와 간과한 사실에 대하여 부인할 수 없다. 그로 말미암아 현대 교회에 미쳐진 지대한 악영향은 현대 목회자들로부터 신학을 배제하게 하였고, 대용품 복음을 선호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영성을 도리어 현대 교회의 양적 성장을 위해 새롭게 개발한 하나의 시대적 학문으로 왜곡 전락시켰다.
영성에 대한 그러한 왜곡은 또한 신학적 부재와 결핍에서 빚어진 결과로서, 후-근대의 세속에 휩쓸린 시대적 흐름에서 신학의 필요성을 강력히 부정하며 이를 배제하게 되었다. 그러한 결과는 영성에 대한 결핍을 낳고 이는 기독교 세계관을 혼동 시켜 기독교인의 생활 방향을 혼동 시켰다. 그리하여 영적 전통들의 특징인 금욕주의도 사라졌으며 신앙의 인격화도 기독교역사와 함께 사라졌음을 인지 할 때, 교회 생활의 명백화는 우리의 역사적 토대에서 하나님을 향한 거룩을 위한 성화에서 기독교인의 인격 형성을 초점화 하는 경건 생활이야말로 기독교영성과 경건의 관계적 일원화의 절대적 필요의중요성을 그냥 지나쳐서는 아니 되겠다. 그러므로 영성은 재건의 현대에서 가장 중요한 최우선 순위의 당면 과제가 아닐 수 없으며, 이는 교회 개혁을 위한 근본이다. 이완재, 영성신학탐구, pp.431-439.
나오는 말
‘그리스도에 대한 말씀은 성령의 신비한 역사를 통해 우리에게 유익을 준다.’는 칼빈의 주장에 동의한다. 또한, 이러한 성령의 역사는 우리를 좀 더 긍정적이고 거룩에 가깝게 한다는 점에도 생각이 같다. 그러나 오늘날 그리스도인에게 말씀이 아닌 말만이 살아있는듯 하다. 우리는 말씀에 의존하여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아야 할진대 그렇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영성을 강조함에 있어서 본질이 빠진 모양만을 추구한다는 것으로 결론지어진다. 위에서 봤듯이 영성에 있어 말씀과 성령은 함께 가야한다. 한쪽에 극단적으로 치우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고로, 우리는 성경의 권위를 인정하면서 동시에 성령의 인도하심으로 올바른 경건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Abraham Kuyper, 김해연 역, 성령의 사역, 서울 1998.
Sinclair B. Ferguson, 김재성 역, 성령, 서울 1999.
Andrew Murry, 강연준 역, 성령론, 서울 2002.
Donald G. Bloesch, 이용원 역, 말씀과 성령의 신학, 서울 2000.
John Calvin. 김종흡 외, 기독교 강요 中, 생명의 말씀사 1986.
John R. W. Stott, 정옥배 역, 진정한 기독교, 서울 1997.
Cornelius van til, 이승구 역, 개혁주의 신학 서론, 서울 1999.
나용화, 영성과 경건, 기독교문서선교회 1999.
하워드 L. 라이스, 황성철 역, 개혁주의 영성,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95.
제임스 M. 고든, 임승환 역, 복음주의 영성,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99.
곽선희, 영성신학, 서울 1999.
홍성주, 21세기 영성신학, 서울 1995.
이완재, 영성신학탐구, 성광문화사 2000.

키워드

영성,   성령,   개혁,   유태화,   기독신학,   말씀,   칼빈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9.22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47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