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한국 의료사회사업의 연원
Ⅱ. 한국 의료사회사업의 선구자들
Ⅲ. 한국 의료사회사업의 발달
Ⅱ. 한국 의료사회사업의 선구자들
Ⅲ. 한국 의료사회사업의 발달
본문내용
【 한국 의료사회사업의 발달과정 】
Ⅰ. 한국 의료사회사업의 연원
1. 중세이전
고대의 우리나라에서는 상호부조나, 통치자가 어진 정치를 베푸는 방편으로 구제사업을 행하여 왔으나, 병약자를 보호치료하기 위하여 처음 마련된 의료구제행동체계는 중세 고려조에 이르러 찾아보 수 있다.
고려조는 불교의 영향을 받아 서기 1049년(고려조 제 11대 문종 3년)에 빈민의 의료구제기관으로서 개경의 동, 서 두 곳에 동서대비원을 설치하였고, 서경에도 분사 1원을 설치하였는데, 이곳에는 사ㆍ부사ㆍ녹사 등의 정식 관원과 의술을 맡아보는 관리가 있어서 병자, 굶주린자, 행려자들을 치료해 주며 음식과 의복등을 주어 구제하였다.
1112년(제16대 예종 7년)에는 일반서민에게 의약의 혜택을 널리 펴기 위하여 혜민국을 두었으며, 이는 1391년(공양왕 3년) 혜민전약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관원으로는 판관 4명을 두었다.
한편, 대비원, 혜민국에 각각 구급사무를 관장하는 제위보를 두어 구급과 시료를 겸하였는데, 이들 의료시설, 구급시설에는 대부분 훈련을 받은 승렬르 두어 자선의 뜻으로 사업에 종사하게 하였던 것은 주목할 만하다.
2. 근세이후
그 이후 근세 조선에서도 대비원, 제위보, 혜민국, 활인서, 제생원, 혜민서, 광제원, 월령의 등 다양한 종류의 의료구제가 환자들을 위해 시행되었다(김만두 외, 1993:122-122).
대표적으로, 동서대비원은 고려의 제도를 계승하여 건국 초부터 도성의 병자를 구호하기 위하여 시가와 멀리 떨어져 있는 동ㆍ서소문밖에 설치된 의료구제기관으로서, 일반 의료 활동 이외에도 무의탁환자 수용하였으며, 전염병이 발새하였을 때에는 환자를 격리 수요아여 간호하고 음식과 옷, 약 등을 주어 치료와 구로를 겸하였고, 사망자가 있을 때에는 매장까지 담당하였다. 대비원은 1414년(조선 제3대 태종14년)에 활인원, 1466년(제4대 세조 12년)에는 활인서로 바뀌었으며, 1882년(제26대 고종 19년) 폐지되었다.
그리고 제생원은 1397년(태조 6년)에 설치한 구료기관으로서, 서울과 지방 빈민의 치료와 서울에서 발생한 미아의 보호도 맡아보았다. 서울에서는 특히 동활인서에 수용된 빈곤한 환자의 치료를 맡았으며, 부인들의 질병을 치료하는 여의사를 양성하였는데, 1459년(세조 5년) 혜민서에 병합되어
Ⅰ. 한국 의료사회사업의 연원
1. 중세이전
고대의 우리나라에서는 상호부조나, 통치자가 어진 정치를 베푸는 방편으로 구제사업을 행하여 왔으나, 병약자를 보호치료하기 위하여 처음 마련된 의료구제행동체계는 중세 고려조에 이르러 찾아보 수 있다.
고려조는 불교의 영향을 받아 서기 1049년(고려조 제 11대 문종 3년)에 빈민의 의료구제기관으로서 개경의 동, 서 두 곳에 동서대비원을 설치하였고, 서경에도 분사 1원을 설치하였는데, 이곳에는 사ㆍ부사ㆍ녹사 등의 정식 관원과 의술을 맡아보는 관리가 있어서 병자, 굶주린자, 행려자들을 치료해 주며 음식과 의복등을 주어 구제하였다.
1112년(제16대 예종 7년)에는 일반서민에게 의약의 혜택을 널리 펴기 위하여 혜민국을 두었으며, 이는 1391년(공양왕 3년) 혜민전약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관원으로는 판관 4명을 두었다.
한편, 대비원, 혜민국에 각각 구급사무를 관장하는 제위보를 두어 구급과 시료를 겸하였는데, 이들 의료시설, 구급시설에는 대부분 훈련을 받은 승렬르 두어 자선의 뜻으로 사업에 종사하게 하였던 것은 주목할 만하다.
2. 근세이후
그 이후 근세 조선에서도 대비원, 제위보, 혜민국, 활인서, 제생원, 혜민서, 광제원, 월령의 등 다양한 종류의 의료구제가 환자들을 위해 시행되었다(김만두 외, 1993:122-122).
대표적으로, 동서대비원은 고려의 제도를 계승하여 건국 초부터 도성의 병자를 구호하기 위하여 시가와 멀리 떨어져 있는 동ㆍ서소문밖에 설치된 의료구제기관으로서, 일반 의료 활동 이외에도 무의탁환자 수용하였으며, 전염병이 발새하였을 때에는 환자를 격리 수요아여 간호하고 음식과 옷, 약 등을 주어 치료와 구로를 겸하였고, 사망자가 있을 때에는 매장까지 담당하였다. 대비원은 1414년(조선 제3대 태종14년)에 활인원, 1466년(제4대 세조 12년)에는 활인서로 바뀌었으며, 1882년(제26대 고종 19년) 폐지되었다.
그리고 제생원은 1397년(태조 6년)에 설치한 구료기관으로서, 서울과 지방 빈민의 치료와 서울에서 발생한 미아의 보호도 맡아보았다. 서울에서는 특히 동활인서에 수용된 빈곤한 환자의 치료를 맡았으며, 부인들의 질병을 치료하는 여의사를 양성하였는데, 1459년(세조 5년) 혜민서에 병합되어
추천자료
뇌졸중에 대한 의료사회사업론 발표자료(사례관리 포함) 파워포인트
의료사회사업프로포절
의료사회사업론 사례분석-골수이식 환자에 대한 개입,집단프로그램을 통한 절단환자에 대한 개입
의료사회사업론 사례분석-알코올 중독 환자에 대한 개입,뇌내출혈 환자의 퇴원계획에 대한 개...
(의료사회사업론) 정신장애인과 가족을 위한 사회사업가의 역할 파워포인트 PPT
의료사회사업- 질환정리, 의료사사,
의료사회사업론 - 윤리적인 딜레마의 상황을 가정해보고, 거기서 사회복지사로서 어떠한 역할...
의료사회복지(의료사회사업, 의료사회복지사) 요약정리
2013년 2학기 의료사회사업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우리나라 의료급여제도)
[의료사회사업론 A형] 우리나라 노인보건복지 현황, 노인복지시설 및 인력, 제도의 개선방...
[의료사회사업론2B]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개요, 노인장기요양 인정신청, 등급판정, ...
[방통대 의료사회사업론] 의료사회사업론 A형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우리나라 국민기초생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