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볼링 용어해설
2. 경기 규칙
3. 스코어 기록방법
2. 경기 규칙
3. 스코어 기록방법
본문내용
(spare)
첫 번째 투구에서 쓰러뜨리지 못하고 남은 핀. 또는 그 핀을 두 번째 투구에서 모두 쓰러뜨리는 것. 스페어의 종류는 1023가지나 된다.
- 스트라이크 (strike)
첫 번째 투구로 10개의 핀을 모두 쓰러뜨리는 것.\'더블(double), \'터키(turkey)\'등이 있다
- 더블 스트라이크 (double strike)
스트라이크를 연속적으로 내는 일.
- 터키 (truket)
스트라이크가 3번 연속해서 일어나는 것
- 스트라이크 포켓 (strike picket)
스트라이크 코스, 즉 오른손 볼러가 1번핀과 3번핀 사이로, 왼손 볼러가 1번핀과 2번핀 사이로 볼을 던지는 것
- 드레싱 오일 (dressing oil)
볼과 레인의 마찰을 막고 또 레인을 보호하기 위해 레인 위에 뿌리는 기름.
\'레인 컨디셔너(lane conditioner)\'라고도 한다.
- 드롭 볼 (drop ball)
옆에 떨어뜨리는 볼.
- 로프트 볼 (loft ball)
레인에 구르지 않고 공중으로 던져져 파울 라인을 넘어 레인에 강하게 떨어지는 볼
- 롤링 (rolling)
투구한 볼의 회전
- 리그 (league)
매주 정해진 요일과 시간에 세 게임 이상씩을 2~3개월에 걸쳐 24 ~30게임을 진행하는 경기 방식. 게임의 총 득점으로 우열을 가린다.
- 리버스 피티 (reverse pitch)
볼 구멍 중심의 연장선이 볼의 중심점에서 1/8인치 떨어져 있는 경우. 후위형.
- 릴리스 (release)
볼을 쥐고 있다가 던지는 순간.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 릴리수 포인트 (released point)
볼이 손을 떠나 바닥에 닿은 후 구르기 시작하는 지점.
- 리스크 타이 (wrist tie)
손목이 뒤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볼링용 장갑. \'아대\'라고도 한다.
- 리스트 턴 (list turn)
릴리스시에 손목을 시게방향의 반대로 약간 돌림으로써 볼에 회전을 가하는 것. 또는 그 방법.
- 리스트 & 턴 (list and turn)
혹 볼의 투구 방법 중 하나로서, 오른손 볼러가 투구 시 손목을 순간적으로 왼쪽으로 돌리는 것.
- 마이볼 (my ball)
자신의 손가락과 손바닥의 크기, 그리고 자기 특유의 투구법을 감안하여 고른, 자신에게 꼭 맞는 자기만의 볼
- 메이저 (major)
볼러의 볼에 대한 수치 등을 기록한 표
- 미스 (miss)
두 번째 투구에서 남아 있는 핀을 하나도 쓰러뜨리지 못하는 경우를 이르는 말.
\'에러\'라고도 한다.
- 백스윙 (back-swing)
투구하기 위해 볼을 아래에서 뒤로 들어 올린 일.
- 백업 릴리스 (back-up release)
오른손잡이 볼러가 던진 볼이 왼쪽으로 휘지 않고 오른쪽으로 휘는 경우
- 백업 볼 (back-up ball)
백업 릴리스 된 볼
- 볼 트랙 (ball track)
투구에 의해 볼의 표면에 생기는 상처의 흔적.\'회전 궤적\'이라고도 한다.
- 브루클린 사이드( brooklyn side)
1번핀과 2번핀 사이. 즉 1-2포켓(오른손 볼러의 경우)
- 브루클린 포켓 (brooklyn pocket)
오른손 볼러에게 있어 1-3코스의 반대쪽이 되는 1-2 코스
- 브리지 (bridge)
중지의 구멍과 약지의 구멍과의 거리
- 샌딩 (sanding)
볼의 표면을 가공하는 것. 주로 사포를 이용한다.
- 섀도볼링 (shadow-bowling)
가상의 레인 위에서 볼을 손에 쥐지 않은 채 스윙 연습을 하는 일.
정확한 표현은 \'드라이 런(dry run)\'
- 세미핑커 그립 (semifinger grip)
중.약지의 제 1관절과 제 1관절 사이로 볼을 쥐는 그립 방법
- 스탠스 포지션 (stance position)
최초의 출발 위치
- 스트라이크 어저스팅 (strike adjusting)
오일의 양에 따라서 스트라이크 코스를 변경하는 일.
- 스팬 (span)
엄지손가락의 구멍과 중지와 약지의 구멍까지의 거리.
- 오버 턴 릴리스 (over turn release)
릴리스 시에 손목을 시계 방향의 반대로 꺾는 것. 또는 그 방법
- 웨이트 블록 (weight block)
볼에 구멍을 파서 감소된 무게만큼 그 반대쪽에 얹어주는 무게를 갖는 구조물.
- 인사이드 앵글 (inside angle)
레인의 중앙부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크게 휘돌아 들어가는 볼. 또는 그 방법.\'부풀리는 앵글\'이라고도 한다.
- 인스텝 (in-step)
딜리버리를 할 때 앞꿈치로부터 착지하는 거. 4보 딜리 버리나 5보 딜리버리의 마지막 스텝을 이 방식으로 한다.
- 피치 (pitch)
볼에는 엄지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을 넣는 구멍이 3개가 있으며 이 손가락 구멍의 경사도를 피치라 한다.
- 인워드 피치 (inward pitch)
볼 구멍 중심의 연장선이 볼의 중심점에서 제로를 기점으로 하여 안쪽으로 있는 경우를 일컫는 말. 사실 이 표현을 잘못된 것이다.
포워드 피치(forword pitch)\' 또는 \'리버스 피치(reverse pitch)\'라고 표현해야 한다.
- 제로 피치 (zero pitch)
볼 구멍 중심의 연장선이 볼의 중심선에 맞닿아 있는 경우
- 커브 볼 (curve ball)
각이 없이 곡선으로 휘는 성질의 볼
- 컨벤셔널 그립 (conventional grip)
볼의 구멍에 중지와 약지를 보통 제 2관절, 즉 둘째 마디 부근까지 깊숙이 넣어서 볼을 잡는 법. 일반적으로 누구에게나 맞는 그립니다.
- 키 핀 (key pin)
스페어 중 가장 가까이에 있는 핀.
- 나인 핀 볼링 (ninepin bowling)
아홉 개의 핀을 사용하는 볼링. 중세 유럽에 주로 유행했음.
- 텐 핀 볼링 (tenpin bowling)
열 개의 핀을 사용하는 볼링. 근대이후에 유명했다.
- 토너먼트 (tournament)
세 게임을 하나의 단위로 해서 1시리즈로 하면, 3시리즈의 총 득점으로 우열을 가리는 경기 방식.
- 톱 웨이트 (top weight)
볼에서 구멍이
첫 번째 투구에서 쓰러뜨리지 못하고 남은 핀. 또는 그 핀을 두 번째 투구에서 모두 쓰러뜨리는 것. 스페어의 종류는 1023가지나 된다.
- 스트라이크 (strike)
첫 번째 투구로 10개의 핀을 모두 쓰러뜨리는 것.\'더블(double), \'터키(turkey)\'등이 있다
- 더블 스트라이크 (double strike)
스트라이크를 연속적으로 내는 일.
- 터키 (truket)
스트라이크가 3번 연속해서 일어나는 것
- 스트라이크 포켓 (strike picket)
스트라이크 코스, 즉 오른손 볼러가 1번핀과 3번핀 사이로, 왼손 볼러가 1번핀과 2번핀 사이로 볼을 던지는 것
- 드레싱 오일 (dressing oil)
볼과 레인의 마찰을 막고 또 레인을 보호하기 위해 레인 위에 뿌리는 기름.
\'레인 컨디셔너(lane conditioner)\'라고도 한다.
- 드롭 볼 (drop ball)
옆에 떨어뜨리는 볼.
- 로프트 볼 (loft ball)
레인에 구르지 않고 공중으로 던져져 파울 라인을 넘어 레인에 강하게 떨어지는 볼
- 롤링 (rolling)
투구한 볼의 회전
- 리그 (league)
매주 정해진 요일과 시간에 세 게임 이상씩을 2~3개월에 걸쳐 24 ~30게임을 진행하는 경기 방식. 게임의 총 득점으로 우열을 가린다.
- 리버스 피티 (reverse pitch)
볼 구멍 중심의 연장선이 볼의 중심점에서 1/8인치 떨어져 있는 경우. 후위형.
- 릴리스 (release)
볼을 쥐고 있다가 던지는 순간.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 릴리수 포인트 (released point)
볼이 손을 떠나 바닥에 닿은 후 구르기 시작하는 지점.
- 리스크 타이 (wrist tie)
손목이 뒤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볼링용 장갑. \'아대\'라고도 한다.
- 리스트 턴 (list turn)
릴리스시에 손목을 시게방향의 반대로 약간 돌림으로써 볼에 회전을 가하는 것. 또는 그 방법.
- 리스트 & 턴 (list and turn)
혹 볼의 투구 방법 중 하나로서, 오른손 볼러가 투구 시 손목을 순간적으로 왼쪽으로 돌리는 것.
- 마이볼 (my ball)
자신의 손가락과 손바닥의 크기, 그리고 자기 특유의 투구법을 감안하여 고른, 자신에게 꼭 맞는 자기만의 볼
- 메이저 (major)
볼러의 볼에 대한 수치 등을 기록한 표
- 미스 (miss)
두 번째 투구에서 남아 있는 핀을 하나도 쓰러뜨리지 못하는 경우를 이르는 말.
\'에러\'라고도 한다.
- 백스윙 (back-swing)
투구하기 위해 볼을 아래에서 뒤로 들어 올린 일.
- 백업 릴리스 (back-up release)
오른손잡이 볼러가 던진 볼이 왼쪽으로 휘지 않고 오른쪽으로 휘는 경우
- 백업 볼 (back-up ball)
백업 릴리스 된 볼
- 볼 트랙 (ball track)
투구에 의해 볼의 표면에 생기는 상처의 흔적.\'회전 궤적\'이라고도 한다.
- 브루클린 사이드( brooklyn side)
1번핀과 2번핀 사이. 즉 1-2포켓(오른손 볼러의 경우)
- 브루클린 포켓 (brooklyn pocket)
오른손 볼러에게 있어 1-3코스의 반대쪽이 되는 1-2 코스
- 브리지 (bridge)
중지의 구멍과 약지의 구멍과의 거리
- 샌딩 (sanding)
볼의 표면을 가공하는 것. 주로 사포를 이용한다.
- 섀도볼링 (shadow-bowling)
가상의 레인 위에서 볼을 손에 쥐지 않은 채 스윙 연습을 하는 일.
정확한 표현은 \'드라이 런(dry run)\'
- 세미핑커 그립 (semifinger grip)
중.약지의 제 1관절과 제 1관절 사이로 볼을 쥐는 그립 방법
- 스탠스 포지션 (stance position)
최초의 출발 위치
- 스트라이크 어저스팅 (strike adjusting)
오일의 양에 따라서 스트라이크 코스를 변경하는 일.
- 스팬 (span)
엄지손가락의 구멍과 중지와 약지의 구멍까지의 거리.
- 오버 턴 릴리스 (over turn release)
릴리스 시에 손목을 시계 방향의 반대로 꺾는 것. 또는 그 방법
- 웨이트 블록 (weight block)
볼에 구멍을 파서 감소된 무게만큼 그 반대쪽에 얹어주는 무게를 갖는 구조물.
- 인사이드 앵글 (inside angle)
레인의 중앙부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크게 휘돌아 들어가는 볼. 또는 그 방법.\'부풀리는 앵글\'이라고도 한다.
- 인스텝 (in-step)
딜리버리를 할 때 앞꿈치로부터 착지하는 거. 4보 딜리 버리나 5보 딜리버리의 마지막 스텝을 이 방식으로 한다.
- 피치 (pitch)
볼에는 엄지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을 넣는 구멍이 3개가 있으며 이 손가락 구멍의 경사도를 피치라 한다.
- 인워드 피치 (inward pitch)
볼 구멍 중심의 연장선이 볼의 중심점에서 제로를 기점으로 하여 안쪽으로 있는 경우를 일컫는 말. 사실 이 표현을 잘못된 것이다.
포워드 피치(forword pitch)\' 또는 \'리버스 피치(reverse pitch)\'라고 표현해야 한다.
- 제로 피치 (zero pitch)
볼 구멍 중심의 연장선이 볼의 중심선에 맞닿아 있는 경우
- 커브 볼 (curve ball)
각이 없이 곡선으로 휘는 성질의 볼
- 컨벤셔널 그립 (conventional grip)
볼의 구멍에 중지와 약지를 보통 제 2관절, 즉 둘째 마디 부근까지 깊숙이 넣어서 볼을 잡는 법. 일반적으로 누구에게나 맞는 그립니다.
- 키 핀 (key pin)
스페어 중 가장 가까이에 있는 핀.
- 나인 핀 볼링 (ninepin bowling)
아홉 개의 핀을 사용하는 볼링. 중세 유럽에 주로 유행했음.
- 텐 핀 볼링 (tenpin bowling)
열 개의 핀을 사용하는 볼링. 근대이후에 유명했다.
- 토너먼트 (tournament)
세 게임을 하나의 단위로 해서 1시리즈로 하면, 3시리즈의 총 득점으로 우열을 가리는 경기 방식.
- 톱 웨이트 (top weight)
볼에서 구멍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