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해방 운동가, 몽양 여운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족 해방 운동가, 몽양 여운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왜 몽양 여운형에 대해 쓰고자 하는가?
2. 『나의 아버지, 여운형』의 내용
(1) 1919년부터 1930년대 중반 여운형의 활동
(2) 몽양 여운형의 둘째 딸, 여연구
3. 『나의 아버지, 여운형』에 대한 비평
(1) 1919년부터 1930년대 중반 여운형의 활동에 대한 해석
(2) 1919년부터 1930년대 중반 여운형의 활동에 대한 평가

Ⅲ. 결 론
※ 참고논문

본문내용

여 좌절을 맛보았다. 또한 그는 약 3년간의 수감생활 속에서 그의 몸과 마음을 지칠 대로 지쳤으며, 그 와중에도 과거 독립운동 활동의 실패에 대한 원인을 찾았으며, 다시금 독립운동에의 의지를 다졌다. “아버지는 그 이전의 독립운동 실패의 원인으로 첫째, 큰 나라에 의존해서 독립을 하려고 한 것 ··· 둘째, 나라의 독립을 바라는 사람들이 반일독립의 기치 아래 하나로 단결하지 못한 것을 꼽았다.” 여연구, 『나의 아버지, 여운형』, 김영사, 2002, pp. 48~49.
그러나 출감 후 현실은 생각과는 너무나 달랐다. 과거 자신이 믿었던 많은 사람들은 이미 조국을 등진지 오래였던 것이다. 또한 일본의 대륙침략과 더욱더 옥죄어 오는 일제의 감시와 식민지 정책은 여운형으로 하여금 독립운동의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게 하였다. 따라서 그는 사소한 정치적 자유도 완전히 금지된 환경 속에서 합법적인 운동 창구였던 언론을 그의 독립운동 공간으로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독립운동 노선의 변화는 비단 여운형에게서만 발견되어 지는 것이 아니다.
1930년대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이 강해지자, 좌우로 분열되어 있던 독립 운동가들은 당장 일본을 견제하자는 움직임 하에 좌우 합작 운동을 전개시켰다. 따라서 당시 독립 운동가들의 사상을 살펴보면 좌와 우의 사상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살펴 볼 수 있다. 또한 그들은 해방 이후 국가의 정치·경제 체제를 논의하였으며,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동시에 지향하는 정책을 전개하였다. 이렇듯 거대한 담론이 형성되어가는 시기가 바로 1930년대 시기였던 것이다. 이러한 격동의 시기 속에서 당연히 여운형 역시 그러한 물결을 타고 적극적인 독립운동 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훗날 이러한 그의 정치 노선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그를 가리켜 기회주의자라고 일컫는데 이는 당시의 거대 담론의 형성과정을 간과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1930년대를 기점으로 하여 여운형의 독립운동 방법은 변화를 맞이하였다. 그는 일제에 무모한 대항보다는 합법적으로 보이는 틀 안에서 될 수 있는 한 적극적으로 대항할 수 있는 그 나름대로의 방법을 택한 것이었다.
Ⅲ. 결론
민족 해방 운동가 여운형에 대한 평가는 평가자의 이념 혹은 이해관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를 둘러싼 많은 논란과 의혹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과연 어떤 것이 그에 대한 적절한 평가인지에 대하여 논하여 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하여 여운형의 둘째 딸인 여연구의 저술인 『나의 아버지, 여운형』을 중심으로 하여 특정시기 그의 행적을 추적해 보았다. 여연구는 북한 고위급 간부이자 여운형의 혈육으로써 그녀에 의한 여운형의 평가는 주관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여운형은 1919년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 동안 신한청년당 활동, 임시정부 활동, 중국혁명 참여, 고려 공산당 활동, 『조선중앙일보』사장 역임 등 다양한 활동을 하였다. 특히 당시 대내·외적 원인은 그로 하여금 1930년대를 경계로 하여 국외 운동에서 국내 운동으로 전환기를 맞이하게 하였다. 이는 당시 가혹해진 식민지 지배체제가 아마도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리라.
여연구의 『나의 아버지, 여운형』을 읽고 기존의 난무하던 여운형에 대한 평가가 잘못되었다는 생각을 하였다. 그는 당시 조선의 지식인들이 서로 다른 사상과의 타협과 양보를 통하여 새로운 운동방법을 모색하였듯이 그 역시 일제의 무자비에 식민지 정책 속에서 상황에 적절한 독립운동 방법을 모색하였고, 조국과 민족을 배신하지도 않았다. 이는 비단 여연구의 저서 뿐 만이 아니라 여운형에 관한 여러 참고문헌을 통하여 살펴 볼 수 부분이다.
여운형은 독립운동을 전개하면서 조국의 안녕이라는, 그의 목표를 한 번도 잊어본 적이 없는 독립운동가라고 생각한다. 일제 강점기 시기 그에게 있어서 최고의 목표는 조국의 독립이었으며, 광복 후 목표는 분단을 막는 것이었다. 그러나 특정 이해관계에 부합하는 세력들은 그를 가로막았으며, 결국 그를 죽음에 길로 몰아넣었다. 그 결과 여운형에게는 기회주의자라는 이름표가 붙여졌으며, 오랜 시간 동안 조국과 민족으로부터 외면되어 왔다.
그에 관하여 다양한 평가가 있는 가운데 어떤 것이 진정으로 여운형에게 걸맞는 평가일까 라고 생각해 본 결과, 여운형은 기회주의자도 아니고, 공산주의자도 아니고, 사회주의자도 아닌 진보적 민주주의자 혹은 진정한 중도파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는 그가 특정한 세력에 속하지도 않았으며, 극단적인 좌와 우의 연합을 위하여 노력하였기 때문이다.
가장 큰 한 가지 아쉬움은 여운형이 1947년 암살당하지 않았다면 현재 우리나라는 어떠한 상황 속에 있을까 하는 생각이다. 또한 여운형은 한국전쟁이라는 비극적인 상황은 막을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 참고문헌
여연구, 『나의 아버지, 여운형』, 김영사, 2002.
이기형, 『여운형 평전』, 실천 문학사, 2005.
정병준, 『몽양 여운형 평전』, 한울, 1995.
※ 참고논문
노경채, 「우리 역사 바로 알자-임시정부는 얼마나 독립운동을 하였나」, 『역사비평』겨울호, 역사문제연구소, 1990.
박용규, 「여운형의 언론활동에 관한 연구-일제하 《조선중앙일보》사상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vol. 42, 한국언론학회, 1997.
박찬승, 「1910년대 말 ∼ 1920년대 여운형의 민족해방운동론」, 『역사와 현실』vol. 6, 한국 역사 연구회, 1991.
이기형, 「위기시대의 그리운 사람들 7 : 여운형, 새로운 민족지도자를 기다리며」, 『월간 길을 찾는 사람들』, 사회평론, 1993.
이애숙, 「상해 임시정부 참여세력의 대소(對蘇) 교섭-이동휘 국무총리 시기(1919.11.~1921.1.)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vol. 32, 한국 역사 연구회, 1999.
정병준, 「진보적 민주주의자 여운형」, 『내일을 여는 역사』vol. 1, 내일을 여는 역사, 2000.
최상용, 「여운형의 사상과 행동」, 『사상』가을호, 사회과학원, 1992.
홍정자, 「평양에서 만난 여운형의 딸, 여연구」, 『월간 말』vol.38, 월간 말, 1989.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10.05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61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