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화상에 대한 이해
Ⅱ. 화상환자와 가족의 심리사회적 특성
Ⅲ. 주요개입방법
Ⅱ. 화상환자와 가족의 심리사회적 특성
Ⅲ. 주요개입방법
본문내용
것이다.
③ 문제 해결 기법-구체적인 문제 해결 기법을 제시하고, 성원들이 문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면 문제 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6)프로그램 평가
가. 매회 프로그램 평가
나. 프로그램 전체 평가-척도 이용 -척도의 종류
① 스트레스 척도 ② 불안 척도 ③ 우울 척도 ④ 외상 후 스트레스 척도 ⑤ 문제해결 능력 척도 ⑥ 대인관계 척도 ⑦ 스트레스 대처 척도
다. 프로그램 전체 평가-질적 척도 개발 -성원수가 적어 통계적 프로그램을 돌리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단 될 경우 프로그램 시 간, 간격, 횟수, 만족도 등을 포함하여 질적 척도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3)화상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부모역할 프로그램
1)화상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부모역할은 왜 필요한가
① 아동은 앞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때문에 향후 화상 부위에 대한 성형수술을 필요로 한다.
② 화상은 치료 후 재활을 위해서 지속적인 운동을 요하기 때문에 환자의 의지와 동기가 매우 중요한데, 아동은 이에 대한 통 찰력이 전혀 없다.
③ 화상 아동 부모는 아동에 대한 양육을 책임지고 있는 사람으로서 화상을 입고 고통스러워하는 자녀를 보고 심한 죄책감을 느끼게 된다.
④ 화상 부위가 넓을 경우 아동이 자라면서 겪게 되는 문제(화상 흉터, 이로 인한 부적응, 대인관계상의 문제 등)로 인해 부모들은 많은 걱정을 하게 된다.
-위의 네 가지 같은 특성으로 인해 화상 아동의 부모들은 아동에 대해 과잉 관심을 갖게 되고 더 많은 정보, 더 많은 애정을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모님들을 위해 현재 부모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무엇이고, 아동을 위해 부모가 무엇을 해 줄 수 있는지를 같이 토론하고 해결책을 찾아가는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집단을 통해 서로의 고통을 나눌 수 있고 아동에게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를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2)프로그램 구성
4. 자조집단 만들기
(1) 자조집단의 구성- 자조집단 구성 방법
① 환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자조집단 구성
② 사회복지사의 권유를 통해 자조집단을 구성
③ 집단 프로그램을 통해 자조집단을 구성
(2) 자조집단 구성하기
① 자조모임 이름 정하기
② 임원진 선출하기
③ 회칙 작성하기-모임의 목적, 모임시기, 회비 등 ④ 발족식 일정 정하기
(3) 자조집단의 활동 내용
① 단합대회
② 후원행사
③ 회지발간
③ 문제 해결 기법-구체적인 문제 해결 기법을 제시하고, 성원들이 문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면 문제 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6)프로그램 평가
가. 매회 프로그램 평가
나. 프로그램 전체 평가-척도 이용 -척도의 종류
① 스트레스 척도 ② 불안 척도 ③ 우울 척도 ④ 외상 후 스트레스 척도 ⑤ 문제해결 능력 척도 ⑥ 대인관계 척도 ⑦ 스트레스 대처 척도
다. 프로그램 전체 평가-질적 척도 개발 -성원수가 적어 통계적 프로그램을 돌리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단 될 경우 프로그램 시 간, 간격, 횟수, 만족도 등을 포함하여 질적 척도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3)화상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부모역할 프로그램
1)화상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부모역할은 왜 필요한가
① 아동은 앞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때문에 향후 화상 부위에 대한 성형수술을 필요로 한다.
② 화상은 치료 후 재활을 위해서 지속적인 운동을 요하기 때문에 환자의 의지와 동기가 매우 중요한데, 아동은 이에 대한 통 찰력이 전혀 없다.
③ 화상 아동 부모는 아동에 대한 양육을 책임지고 있는 사람으로서 화상을 입고 고통스러워하는 자녀를 보고 심한 죄책감을 느끼게 된다.
④ 화상 부위가 넓을 경우 아동이 자라면서 겪게 되는 문제(화상 흉터, 이로 인한 부적응, 대인관계상의 문제 등)로 인해 부모들은 많은 걱정을 하게 된다.
-위의 네 가지 같은 특성으로 인해 화상 아동의 부모들은 아동에 대해 과잉 관심을 갖게 되고 더 많은 정보, 더 많은 애정을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모님들을 위해 현재 부모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무엇이고, 아동을 위해 부모가 무엇을 해 줄 수 있는지를 같이 토론하고 해결책을 찾아가는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집단을 통해 서로의 고통을 나눌 수 있고 아동에게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를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2)프로그램 구성
4. 자조집단 만들기
(1) 자조집단의 구성- 자조집단 구성 방법
① 환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자조집단 구성
② 사회복지사의 권유를 통해 자조집단을 구성
③ 집단 프로그램을 통해 자조집단을 구성
(2) 자조집단 구성하기
① 자조모임 이름 정하기
② 임원진 선출하기
③ 회칙 작성하기-모임의 목적, 모임시기, 회비 등 ④ 발족식 일정 정하기
(3) 자조집단의 활동 내용
① 단합대회
② 후원행사
③ 회지발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