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가 수트라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요가 수트라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요가 수트라 란?

Ⅱ. 윤리적인 계율(금계 禁戒--야마Yama)

Ⅲ. 윤리적 수행인 권계(勸戒 니야마 Niyama)

Ⅳ. 8지(支) 요가 란?-세번째 Asana

Ⅴ. 프라나야마(Pranauama - 호흡법)

Ⅵ.프라띠야하라(Pratyahara - 감각억제)

Ⅶ.다라나(Darana - 집중)

Ⅷ. 디야나(Dhyana - 선정)

Ⅸ. 사마드히(Samadhi - 삼매)

본문내용

이 명료한 의식이 모든 순간에 지속되면서 그 대상에 관한 의식의 영역이 확대되어 가는 상태다. 그러므로 집중의 대상은 단순 할수록 좋고, 선정의 심리활동은 복잡 할수록 좋다. 이러한 관념은 이성적 사유가 배제된 직관적인 의식의 일정한 흐름이다. 이 선정에 의해 마음에 남아 있는 미세한 작용이 제거된다.(요가수트라 2.2)
Ⅸ. 사마드히(Samadhi - 삼매)
선정의 단계에서는 수행자의 의식이 아직 남아 있다. 이것은 집중하려는 의지나 집중하는 자신, 또는 집중된 대상에 대한 의식이다. 이러한 의식이 있는 한, 마음 작용은 계속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이 계속되는 가운데 자자의식이나 또는 집중 한다는 의식도 없어진 무의식 상태가 일어난다. 이것이 수행의 마지막 단계인 삼매(Samadhi)다. 삼매는 그 선정의 대상만이 마음속에서 빛나서 선정에 든 자신조차 없어진 것과 같은 상태이다.(요가수트라 3.3) 이렇게 삼매는 선정과 같은 대상에서 이어지는 의식 상태이다. 그러나 이 둘의 의식상태는 전혀 다른 것이며 둘 사이에는 연속 될 수없는 단절의 벽이 있다. 일본의 학자 사호다 선생은 다음과 같이 선정과 삼매를 구분한다. 주관과 객관이 대립하는 선정의 세계와 주관과 객관의 구별이 없는 삼매의 세계 사이에서 연속의 원리는 완전히 거부 된다. 선정이 삼매로 되는 것은 비약적인 초월이라고 밖에 할 수없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를 초입(超入) 이라든가 초승(超勝)이라는 불교용어로 고찰하는 것은 적당하지 않다. 왜냐하면 넘다(超)라고 할 때는 여전히 주관적 의지가 포함된 능동적 의미가 들어 있기 때문이다. 선정은 의지적인 노력에 의해서 주체적으로 하는 것이나, 삼매의 경지는 자발적으로 그 자체에서 갑자기 아무 전조 없이 나타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집중하는 주체와 집중되는 객체가 구별되지 않는다. 물론 집중하는 \"나\"는 자아의식도 없다. 즉 선정의 상태가 깊어져서 반성적 사고가 사라지고 오직 대상만이 홀로 남은 상태다. 삼매의 심리는 현대어로 말하면 직관(直觀 Anschauung)이다. 직관은 일반적으로 판단이나 추리 등의 사고 작용을 첨가하지 않고, 대상을 직접 파악하는 것으로 작용으로 정의된다. 사고나 판단 등의 반성의식은 주관과 객관이 대립하는 상태에서 성립된다. 반면에 직관은 주객이 분화 되지 않는 의식으로서, 이때 객관내용은 의식대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주관에서 완전히 독립한 그 무엇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삼매의 단계는 집중, 선정과 함께 하나의 대상에서 끊어지지 않고 일어난다. 삼매는 일상적 의식과는 물론 집중이나 선정과도 전혀 다른 심리 상태이다. 삼매는 마음에 한 대상이 주어지지 않거나, 또는 그 대상이나 주관의 어느 하나에 머물러서 더 이상 다른 마음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다. 이때의 마음작용은 자발적이고 수동적으로 전개하면서 소멸되어 간다. 인도의 철학자 라다크 리슈난은 이러한 마음 작용을 다음과 같이 비유한다. 요가에서 인간의 마음은 맷돌과 같다. 맷돌에 밀을 넣으면 맷돌은 밀을 갈아 밀가루를 만든다. 그러나 아무 것도 넣지 않으면 맷돌은 자신을 갈아서 없어질 때 까지 계속해서 돈다. 마찬가지로 마음에서 마음의 동요를 빼버리면, 마음작용은 멈추고 절대적인 수동 상태가 된다. 그때 외부 세계의 끝없는 동요로부터 벗어난 침묵 속으로 들어간다.(Indian Philosophy)
실제 수행에서는 집중에서 삼매에 이르기까지 한 순간의 틈도 없이 이어져 있다. 왜냐하면 마음에 있는 활동 잠재력과 억제 잠재력이 한 마음 속에서 매 순간마다 일어나는데(요가뱌샤 2.9) 이 단계에서는 억제 잠재력만이 작용하는 삼매전변이 찰나마다 일어나기 때문이다.(요가뱌샤 3.11)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10.09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65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