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유전자 복제-게놈 프로젝트◈
◈성전환-동성애◈
◈생명의 탄생◈
◈임신 중절◈
◈인공수정◈
◈안락사◈
◈뇌사-장기이식◈
◈에필로그◈
◈유전자 복제-게놈 프로젝트◈
◈성전환-동성애◈
◈생명의 탄생◈
◈임신 중절◈
◈인공수정◈
◈안락사◈
◈뇌사-장기이식◈
◈에필로그◈
본문내용
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임신초기의 영양결핍은 모든 칼로리를 축적하도록 하는 프로그램화를 유발하게 되고 나중에 태아가 성인이 되어 당뇨병, 비만등이 될 확률을 크게 한다.
이 비디오 3편을 감상하면서 눈시울이 붉혀졌던 부분이 있다. 사고로 식물인간이 된 한 여자가 아이를 출산했다는 이야기였는데, 이걸 보면서 생명 탄생의 놀라움과 위대함을 느꼈다. 이렇게 위대한 생명의 아름다움이 한쪽에선 시들어 가고 있다. 우리나라 임신부들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아이가 장애를 가졌다는 것을 알게되면, 바로 낙태를 한다고 한다. 그 장애가 작고 치유가능 한 ‘언청이’라고 할 때 우리나라 사람들은 장애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그 생명은 사라져간다. 외국사람들은 장애라는 이유로 부모가 아이의 살 권리를 뺏을 수 없다고 생각하여 출산하고 수술해준다. 장애인은 나와 다르다는 생각, 나와 다른 사람들에게 배타적인 우리의 태도가 생명탄생의 경의로움을 해치고 있다.
◈임신 중절◈
낙태라고도 불리 우는 ‘임신중절’은 우리가 『생명과 윤리』시간을 통해 다룰 주제 중에서 우리의 일반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접해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드라마에서, 또는 시사프로그램에서, 그리고 가깝게는 우리의 친구나 이웃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재이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터부시되었던 임신중절은 현대사회의 급격한 발달에 따른 여성의 사회진출, 성도덕의 붕괴, 비행청소년의 증가 등으로 이제는 공공연한 비밀로 자리잡았다. 낙태는 아무래도 여성과 관련이 깊은 만큼, 큰 강당을 모두 채운 우리의 학우들이 가장 집중하고 몰입해서 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The walls」라는 비디오는 1952년/1964년/1996년을 배경으로 한 옴니버스 형식으로 낙태에 대한 그 시대의 인식의 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었다. 첫 번째 이야기는 남편의 죽음으로 실의에 빠진 한 여성과 그의 시동생이 한 순간의 실수로 관계를 갖게 되고 결국은 임신이 되어 낙태를 한다는 이야기인데, 그 시절에는 낙태 시술이 불법이었기 때문에 은밀하게 이루어졌고, 전문의가 시술하는 것이 아니라 비위생적이고, 끔찍한 수술도구는 우리를 경악의 도가니에 빠트려 주었다. 두 번째 이야기는 낙태는 살인이라고 주장하는 단체와 낙태는 당연한 여성의 권리라고 부르짖는 단체의 대립을 보여주었다. 세 번째 이야기는 4명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한 여성이 뒤늦게 자신의 꿈을 위해 학업에 열중하고 있는 상황에서 뜻하지 않은 임신이 되어 ‘낳을 것인가, 지울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갈등한다. 자신도 바라지 않은 임신이었고, 모든 가족의 반대와 이제 시작한 자신의 꿈을 접어야 하는 어려운 환경에서도 그 여성은 뱃속에 아이를 지키는 힘든 선택을 한다. 과연 내가 이 상황이라면 모든 것을 버려가면서 아이를 선택할 수 있었을까? 그 여성의 진한 모성애와 생명에 대한 존중에 박수를 보낸다.
다음 비디오는 불법 낙태를 시행하는 병원을 담고 있었고, 유도분만으로 580명의 태아를 수술하고, 거의 아이의 모습을 갖춘 7개월 된 태아를 시술한 것을 밝히고 있었다. 7개월이나 된 태아의 경우 조기 출산해도 충분히 살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명백한 살인인 것이다. 낙태의 이유로는 원하지 않는 임신이 가장 많았는데, 이중 60%가 청소년이라고 한다. 우리는 남자에게 강간당해 임신을 했다거나 했을 때에만 낙태를 할 것이라고 보는 데, 그것은 아주 극소수이다. 나머지 이유로는 경제적인 이유등이 있었는데, 이중 법적으로 허용된 이유는 1%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렇게 청소년의 성문화가 잘못 자리잡은 이유는 많은 것이 있겠으나 우리나라의 성교육 방침에도 큰 문제가 있다. 이론에만 맴도는 ‘수박 겉
이 비디오 3편을 감상하면서 눈시울이 붉혀졌던 부분이 있다. 사고로 식물인간이 된 한 여자가 아이를 출산했다는 이야기였는데, 이걸 보면서 생명 탄생의 놀라움과 위대함을 느꼈다. 이렇게 위대한 생명의 아름다움이 한쪽에선 시들어 가고 있다. 우리나라 임신부들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아이가 장애를 가졌다는 것을 알게되면, 바로 낙태를 한다고 한다. 그 장애가 작고 치유가능 한 ‘언청이’라고 할 때 우리나라 사람들은 장애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그 생명은 사라져간다. 외국사람들은 장애라는 이유로 부모가 아이의 살 권리를 뺏을 수 없다고 생각하여 출산하고 수술해준다. 장애인은 나와 다르다는 생각, 나와 다른 사람들에게 배타적인 우리의 태도가 생명탄생의 경의로움을 해치고 있다.
◈임신 중절◈
낙태라고도 불리 우는 ‘임신중절’은 우리가 『생명과 윤리』시간을 통해 다룰 주제 중에서 우리의 일반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접해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드라마에서, 또는 시사프로그램에서, 그리고 가깝게는 우리의 친구나 이웃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재이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터부시되었던 임신중절은 현대사회의 급격한 발달에 따른 여성의 사회진출, 성도덕의 붕괴, 비행청소년의 증가 등으로 이제는 공공연한 비밀로 자리잡았다. 낙태는 아무래도 여성과 관련이 깊은 만큼, 큰 강당을 모두 채운 우리의 학우들이 가장 집중하고 몰입해서 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The walls」라는 비디오는 1952년/1964년/1996년을 배경으로 한 옴니버스 형식으로 낙태에 대한 그 시대의 인식의 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었다. 첫 번째 이야기는 남편의 죽음으로 실의에 빠진 한 여성과 그의 시동생이 한 순간의 실수로 관계를 갖게 되고 결국은 임신이 되어 낙태를 한다는 이야기인데, 그 시절에는 낙태 시술이 불법이었기 때문에 은밀하게 이루어졌고, 전문의가 시술하는 것이 아니라 비위생적이고, 끔찍한 수술도구는 우리를 경악의 도가니에 빠트려 주었다. 두 번째 이야기는 낙태는 살인이라고 주장하는 단체와 낙태는 당연한 여성의 권리라고 부르짖는 단체의 대립을 보여주었다. 세 번째 이야기는 4명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한 여성이 뒤늦게 자신의 꿈을 위해 학업에 열중하고 있는 상황에서 뜻하지 않은 임신이 되어 ‘낳을 것인가, 지울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갈등한다. 자신도 바라지 않은 임신이었고, 모든 가족의 반대와 이제 시작한 자신의 꿈을 접어야 하는 어려운 환경에서도 그 여성은 뱃속에 아이를 지키는 힘든 선택을 한다. 과연 내가 이 상황이라면 모든 것을 버려가면서 아이를 선택할 수 있었을까? 그 여성의 진한 모성애와 생명에 대한 존중에 박수를 보낸다.
다음 비디오는 불법 낙태를 시행하는 병원을 담고 있었고, 유도분만으로 580명의 태아를 수술하고, 거의 아이의 모습을 갖춘 7개월 된 태아를 시술한 것을 밝히고 있었다. 7개월이나 된 태아의 경우 조기 출산해도 충분히 살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명백한 살인인 것이다. 낙태의 이유로는 원하지 않는 임신이 가장 많았는데, 이중 60%가 청소년이라고 한다. 우리는 남자에게 강간당해 임신을 했다거나 했을 때에만 낙태를 할 것이라고 보는 데, 그것은 아주 극소수이다. 나머지 이유로는 경제적인 이유등이 있었는데, 이중 법적으로 허용된 이유는 1%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렇게 청소년의 성문화가 잘못 자리잡은 이유는 많은 것이 있겠으나 우리나라의 성교육 방침에도 큰 문제가 있다. 이론에만 맴도는 ‘수박 겉
추천자료
[생명윤리][생명윤리학][생명공학]생명윤리학의 성립 배경, 생명공학의 연구와 윤리학, 유전...
[생명윤리][생명][윤리][생명공학]생명윤리 논의를 통한 향후 생명윤리의 방향 설정(현대윤리...
[생명윤리]생명윤리가 현대사회에 등장하게 된 원인, 생명윤리학의 발전, 생명윤리와 인간배...
생명윤리(생명의료윤리)의 정의와 세계화, 생명윤리(생명의료윤리)의 교육, 생명윤리(생명의...
생명윤리(의료윤리)의 정의와 배경, 생명윤리(의료윤리) 존엄성, 생명윤리(의료윤리)와 줄기...
생명윤리(의학윤리, 의료윤리)의 중요성과 배경, 생명윤리(의학윤리, 의료윤리)의 교육과 관...
생명의 의미, 생명과 가치, 생명윤리(생명의료윤리)의 배경, 생명윤리(생명의료윤리)의 이론,...
생명윤리(의료윤리, 의학윤리) 개념과 역사, 생명윤리(의료윤리, 의학윤리) 필요성과 이론, ...
[생명윤리법]생명윤리법(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의 제정과정, 인간배아연구, 생명윤리법(...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