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내용정리>
Ⅰ.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아이들
Ⅱ 학력을 묻는다.
< 나오며 >
<내용정리>
Ⅰ.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아이들
Ⅱ 학력을 묻는다.
< 나오며 >
본문내용
보다 높은 교육수준과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였다. 그러나 압축된 근대화의 종언으로 사태가 역전하여 학교교육을 통해 높은 교육수준과 사회적 지위를 획득할 수 없게 된 것이다. 학력신화의 붕괴, 즉 학력이라는 통화의 폭락이다.
학력과 사회의 갭
⇒ 학력저하라는 공격을 받고 있는 문부과학성의 여유교육을 중심으로 한 교육정책은 신보수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추진된 정책이라는 말이다. 이런 전개에서도 알 수 있듯이 ‘동아시아형 교육’의 학력은 국가와 학교 사이에서도 골을 깊게 하고 있다.
따라서 학력문제의 핵심은 동아시아형 교육을 극복하여 새로운 사회에 대응할 학력을 재정의하고 학력의 실질가치를 어떻게 되찾을 수 있는가에 있다.‘공부’에서 ‘배움’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4. 기초학력의 복고주의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기초학력이란 무엇인가
⇒ 기초학력을 정의한다면 리터러시개념으로 정의하는 것이 타당하다. 요즘에는 거의 전원이 고등학교를 졸업하므로 고등학교 졸업정도의 교양을 기초학력=리터러시라고 설정해야 할 것이다. 평생교육시대임을 감안하면 고등학교 졸업정도의 교양을 기초학력=리터러시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학력은 밑에서부터’라는 이미지
⇒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아이들과 청년들은 시대변화에 민감하다. 아이들과 청년들 사이에 퍼지고 있는 배움으로부터의 도주는 커다란 사회변화 속에서 미래의 희망을 찾지 못한 데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5. 수준별 학습지도, 소집단지도는 유효한가.
효과가 의심스러운 수준별 학습지도
⇒ 아이들을 저학력으로부터 구하는 것은 블룸이 연구한 수준별 학습지도 프로그램이나 지도법이 아니라 아
학력과 사회의 갭
⇒ 학력저하라는 공격을 받고 있는 문부과학성의 여유교육을 중심으로 한 교육정책은 신보수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추진된 정책이라는 말이다. 이런 전개에서도 알 수 있듯이 ‘동아시아형 교육’의 학력은 국가와 학교 사이에서도 골을 깊게 하고 있다.
따라서 학력문제의 핵심은 동아시아형 교육을 극복하여 새로운 사회에 대응할 학력을 재정의하고 학력의 실질가치를 어떻게 되찾을 수 있는가에 있다.‘공부’에서 ‘배움’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4. 기초학력의 복고주의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기초학력이란 무엇인가
⇒ 기초학력을 정의한다면 리터러시개념으로 정의하는 것이 타당하다. 요즘에는 거의 전원이 고등학교를 졸업하므로 고등학교 졸업정도의 교양을 기초학력=리터러시라고 설정해야 할 것이다. 평생교육시대임을 감안하면 고등학교 졸업정도의 교양을 기초학력=리터러시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학력은 밑에서부터’라는 이미지
⇒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아이들과 청년들은 시대변화에 민감하다. 아이들과 청년들 사이에 퍼지고 있는 배움으로부터의 도주는 커다란 사회변화 속에서 미래의 희망을 찾지 못한 데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5. 수준별 학습지도, 소집단지도는 유효한가.
효과가 의심스러운 수준별 학습지도
⇒ 아이들을 저학력으로부터 구하는 것은 블룸이 연구한 수준별 학습지도 프로그램이나 지도법이 아니라 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