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지역에 따른 건축사례 (토속 건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후지역에 따른 건축사례 (토속 건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한국의 토속건축
1-1. 한반도의 기후조건
(1)기후구분 (2)기온 (3)강수량 (3)적설량 (4)바람
1-2. 기후환경에 따른 한국의 주거형태
(1)전통가옥의 지역적 특성 (2)남부지방 (3)중부지방
(4)북부지방 (5)도서지방
1-3. 기후환경을 극복하려는 시도
(1)온돌 (2)마루 (3)흙벽 (4)토속건축의 분포
2. 외국의 토속건축
2-1. 세계의 기후조건
(1)기후분포
2-2. 각 지역별 토속건축
(1)고온 다습한 지역 (2)고온 건조한 지역 (3)한랭한 지역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2)기온 (3)강수량 (3)적설량 (4)바람
1-2. 기후환경에 따른 한국의 주거형태
(1)전통가옥의 지역적 특성 (2)남부지방 (3)중부지방
(4)북부지방 (5)도서지방
1-3. 기후환경을 극복하려는 시도
(1)온돌 (2)마루 (3)흙벽 (4)토속건축의 분포
2. 외국의 토속건축
2-1. 세계의 기후조건
(1)기후분포
2-2. 각 지역별 토속건축
(1)고온 다습한 지역 (2)고온 건조한 지역 (3)한랭한 지역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Ⅰ. 서 론
현대의 건축물들은 전통의 건축물에 비해 기후지역에 따른 특징을 찾아보기 힘들다. 그것은 건축설비기술을 통해 자연적인 제약을 최소화 할 수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건축 재료의 발달로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들의 사용이 콘크리트나 철근벽돌과 같이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을 전세계 어디에서나 사용하기 있기에 건축 재료에 의한 특징도 사라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건축의 기후지역에 따른 특징을 알아보고, 외국에서는
어떠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고 어떻게 그 기후에 맞는 건축물을 만들었는지에 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Ⅱ. 본 론
1. 한국의 토속건축
1-1. 한반도의 기후조건
(1) 기후구분
(2) 기온
기온의 연교차 기온의 연교차와 얼음일수 여름 평균기온 겨울평균기온
(3) 강수량
연평균 기온과 강수량 여름 기온과 강수량
여름 강수 집중률 겨울 기온과 강수량
(4) 적설량
최심 적설량
(5) 바람
여름의 계절풍 겨울의 계절풍
1-2. 기후환경에 따른 한국의 주거형태
(1) 전통가옥의 지역적 특성
(2) 남부지방
* 남부지방 농가(1)
안채와 바깥채 두채가 모두 일자형이며 앞뒤에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규모는 호남지방의 중농가에 속하며 안채는 방과 마루 공간이 넓고 바깥채는 광이 많으며 사랑방과 머슴방이 달려있다
* 남부지방 농가(2)
남부지방의 농가로서는 매우 드물게 ㄱ자형으로 안채를 세웠다. 안채, 사랑채, 헛간채 3동이 여유있게 배치되었고, 안채의 대청이 뒤쪽으로 물려진 것이 특이하다.
* 남부지방 소농가
3간을 겨우 넘는 일자형의 소농가이다. 사랑채가 따로 없고 대청 건너편 방이 사랑방이며 따라서 안쪽으로는 벽이 막혀있고 마루공간이 고루 안배되어 남쪽지방 농가 특유의 개방성과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 남부지방 민가
남부지방에서는 흔치 않은 ㄱ자형 안채와 남부 특유의 일자형 아래채가 혼합구성된 민가형식이다. 버들공예를 주업으로 하는 집이어서 대청이 넓고 공방이나 재료 저장고로 쓸 수 있는 방이 많다.
* 남부지방 상류주택
ㄷ자형의 안채와 ㄱ자형의 사랑채, 일자형의 광채, 문간채가 튼 ㅁ자형으로 배치되었으며 규모가 큰 집이다. 마루와 툇마루, 누마루가 고루 배설되어 있으며 아기자기한 공간구성은 여유있는 문화생활의 일면을 보여준다.
(3) 중부지방
* 중부지방 농가 ①
안채와 사랑채를 ㄱ자형으로 마주 배치한 중부지방의 농가로서 행랑채와 방앗간, 마구간등을 고루 갖춘 농가이자 선비집이다.
①방 ②부엌 ③대청 ④광 ⑤헛간 ⑥외양간 ⑦방앗간 ⑧마굿간
* 중부지방 농가 ②
안채는 남부지방 일반형인 일자형의 작은 집이며 아래 윗방에 툇마루가 붙어 있는 간략한 형식이다. 사랑채는 두개의 큰 방과 외양간, 헛간이 있는 양통(겹)집이다. 오른쪽에 위치한 가옥은 마루가 없이 넓은 부엌과 토방이 연속되는 형식으로 모두 중부지방 농가로서는 특이한 구성을 보이는 예이다.
* 중부지방 민가
중부지방 민가로서 안채와 사랑채, 광채가 튼 ㅁ자형으로 되어 있다.
안채의 대청과 사랑채의 툇마루가 잘 갖추어져 있다
(4)북부지방
* 북부지방 농가
중부지방의 일반형인 ㄱ자형 안채와 일자형 문간채 광채가 튼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농가이다.
추운 겨울에 부엌과 방에서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규모가 큰 것이 특징이다.
* 북부지방 민가
일곱채의 집이 특이한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민가이다. 안채와 문간채, 사랑채, 광채 의 4동을 기본으로 튼 ㅁ자형으로 배치하였다. 전반적으로 지붕 높이가 낮고 간살이가 비교적 좁은 것이 특징이다. 문간채와 사랑채 뒤에 변소가 있다.
①방 ②부엌 ③마루 ④광 ⑤헛간 ⑥외양간 ⑦측간
(5) 도서지방
* 제주도가옥
제주도는 거센 바람과 눈, 비가 많다. 집은 낮고, 가옥의 벽면을 돌벽으로 쌓고 지붕은 띠로 덮은 후 동아줄로 총총히 얽어매는 독특한 형식으로 되어 있다. 제주도는 기후가 따뜻한 곳이므로 온돌을 시설하지 않고 부뚜막 없이 솥을 따로 내걸어 음식을 만든다.
* 정낭
* 울릉도 가옥
다설지방은 눈이 많은 것과 동시에 한냉지방이 되기 때문에 한냉과 다설 두가지 특색을 갖추어야 한다. 눈은 보온성이 있으나. 많은 눈은 중량이 매우크다. 그렇기 때문에 그 중량으로 인하여 건물이 파손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눈이 쌓이게 되면 집이 눈에 파묻혀 출입구가 막힐 수도 있고 창문을 눈이 가로막아 집안의 환기에 큰 문제를 줄 수도 있다. 이러한 기후에 대응하기 위하여 우리 옛 선조들은 집을 높게 짓고 특수한 구조를 취하였다. 눈이 자연적으로 지붕에서 떨어지도록 지붕의 경사를 급하게 두기도 하였다. 가장 대표적인 다설지역의 가옥으로 울릉도의 집을 들어보겠다. 울릉도의 집은 귀틀집과 우데기가 특징이다. 귀틀집은 통나무를 포개어 쌓아 만든 집이며, 우데기는 지붕처마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억새풀이나 싸리가지를 이용해 만든 또하나의 벽을 말한다. 이는 많이 쌓인 눈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도록 통나무를 이용해 귀틀집을 짓고, 마당에 눈이 높이 쌓이면 통행하기 어려우므로 방과 방 사이의 통로가 눈으로 막히지 않도록 우데기를 설치한 것이다. 우데기는 방설설계로만 주로 주목되어 왔으나 그 외에도 방풍, 방우, 차양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한랭한 북서풍과 북동풍의 방풍벽도 되었으며, 바람과 함게 들이치는 비를 막기도 하였다. 여름철에는 강한 일사를 차단하는 효과를 주어 토방에 그늘을 만들어 주었고, 겨울에는 많은 풍설에 대비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특징으로 보아 이 지역 주민들이 기후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해낸 건축재료 였음을 알 수 있다. 또 울릉도의 가옥에는 남부형에 속하여 마루가 있으나 또 하나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6.10.13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71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