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적
시료
기기와 기구
실험방법
결과
결론 및 토의
토의 문제
1. 동물성 섬유와 식물성 섬유 및 열가소성 섬유의 연소성질을 비교하시오,
2. 섬유감별시 연소법의 한계점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3. 아세테이트섬유가 연소하면서 식초냄새를 내는 이유는 무엇인가?
4. 실험결과와 부록 8의 결과를 비교해 보시오.
토의 문제
1.실험에 사용한 시료 중에서 어떤 섬유직물이 연소할 때 가장 유독한 가스를발생시키는가? 그 이유를 쓰시오.
2. 시판되는 방염가공직물의 섬유조성을 확인해보고, 똑같은 섬유로 된 미가공직물과의 방염성을 비교해 보시오.
3. 여러 가지 직물의 방염도 혹은 연소성 시험방법의 특징을 서술하고 적용 가능한 섬유직물의 예를 드시오.
4. 화재예방과 사람의 안정을 위해 용도에 따라 방염성이 요구되는 의류 및 실내장식용 섬유제품이 있다.,그 예를 들어보시오.
5. 방염복의 경우 소재의 방염성만이 강조될 경우, 의류를 착용했을 때 어떤 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가?
6. 섬유의 자기소화성(自己消火性) 의 정의는 무엇인가?
7. <한국 소방복 복제 규정>에서 소방수의 근접복(방수복)과 진입복(방화복)의 요구조건, 소재의 종류와 방염성 및 방염성 측정방법을 알아보시오.
시료
기기와 기구
실험방법
결과
결론 및 토의
토의 문제
1. 동물성 섬유와 식물성 섬유 및 열가소성 섬유의 연소성질을 비교하시오,
2. 섬유감별시 연소법의 한계점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3. 아세테이트섬유가 연소하면서 식초냄새를 내는 이유는 무엇인가?
4. 실험결과와 부록 8의 결과를 비교해 보시오.
토의 문제
1.실험에 사용한 시료 중에서 어떤 섬유직물이 연소할 때 가장 유독한 가스를발생시키는가? 그 이유를 쓰시오.
2. 시판되는 방염가공직물의 섬유조성을 확인해보고, 똑같은 섬유로 된 미가공직물과의 방염성을 비교해 보시오.
3. 여러 가지 직물의 방염도 혹은 연소성 시험방법의 특징을 서술하고 적용 가능한 섬유직물의 예를 드시오.
4. 화재예방과 사람의 안정을 위해 용도에 따라 방염성이 요구되는 의류 및 실내장식용 섬유제품이 있다.,그 예를 들어보시오.
5. 방염복의 경우 소재의 방염성만이 강조될 경우, 의류를 착용했을 때 어떤 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가?
6. 섬유의 자기소화성(自己消火性) 의 정의는 무엇인가?
7. <한국 소방복 복제 규정>에서 소방수의 근접복(방수복)과 진입복(방화복)의 요구조건, 소재의 종류와 방염성 및 방염성 측정방법을 알아보시오.
본문내용
섬유제품의 연소성 시험에 적당하다.
* 연소속도시험법
시료의 연소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얇은 섬유제품의 연소성 시험에 적당하다
(KS K 0586)
4. 화재예방과 사람의 안정을 위해 용도에 따라 방염성이 요구되는 의류 및 실내장식용 섬유제품이 있다.,그 예를 들어보시오.
- 소방복, 화재의 위험이 있는 작업장의 보호복, 화재에 대해 방어 능력이 없는 어린이 노인 장애자의 잠옷, 카펫과 커튼 등의 실내 가정용품, 텐트 침구류 자동차 시트커버 항공기 내장재, 자동차경주용 보호복등이 있다.
5. 방염복의 경우 소재의 방염성만이 강조될 경우, 의류를 착용했을 때 어떤 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가?
방염성을 강조하다 보면 의류를 착용하였을 때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방염가공법으로는 붕산염ㆍ인산염ㆍ암모늄염 같은 용융성 염으로 처리하여, 가열 되었을 때 이들 염이 용융되어 산소 공급을 차단하고 불꽃 발생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들 염이 수용성이기 때문에 세탁에 대한 내구성이 좋지 못하다. 하지만 THPC, THPOH 와 같은 인을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을 섬유와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항구적인 방염성을 지니게 할 수 있다. 또다른 문제점 중 하나가 방염복은 기능성 작업복으로 일반 작업복에 비해 착용감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착용시 땀흡수와 통풍이 잘 안되며, 구김이 잘가고 다림질이 안되어 단정하지가 않으며 원단 자체가 어두워 세탁 후에도 산뜻해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땀 흡수성 제고가 필요한데 물 흡착성 개선을 위한 발수가공 처리 (땀 등 수분의 침투가 잘됨)를 통해 이를 개선 시킬 수 있다.
6. 섬유의 자기소화성(自己消火性) 의 정의는 무엇인가?
플라스틱이 화염에 접하고 있을 때는 타지만, 화염을 제거하면 자연히 소화하는 성질이다. 내연성시험은 도면과 같이 시험편을 스탠드에 설치하고, 규정의 길이의 버너 화염을 30℃경사시켜서 30초간 접촉한 뒤, 화염을 제거하면 동시에 스톱위치로 시간을 읽고, 화염이 꺼질 때까지를 연소시간으로 한다. 180초 이상 화염이 꺼지지 않을 때는 불어서 끄고, 可燃性으로 한다. 消炎後(소염후) 시험편의 연소한 길이를 하단에서 측정하고,연소거리로서 ㎜단위로 내연성을 표시한다. 연소거리가 25㎜이하의 경우는 불연성 25㎜를 초과 100㎜이하의 경우를 자기소화성(自己消火性)으로 한다.
7. <한국 소방복 복제 규정>에서 소방수의 근접복(방수복)과 진입복(방화복)의 요구조건, 소재의 종류와 방염성 및 방염성 측정방법을 알아보시오.
* 근접복(방수복)
- 구성 : 겹침부위, 날개 개구부를 통한 통기
반사 tape(가시성) 내연성 fastener, 실이 필요
* 소방복
- 방수복 : 화재물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호스나 다른 방비를 조작하는 등 정상적인 진화작업을 할 때 착용.
- 근접복 : 화염에 접근해서 작업 - 방열복
알루미늄 coating - 복사열 반사
- 진입복 : 화염 속에 진입하여 작업 - 방열복
Ni coating Fiberglass Al 단열재 Kynol 안감
소재 : 내열, 방염성 소재
수증기 물 차단벽 : 고무, 네오프렌
통기성 : Gore tex film
내열성 : PBI, Nomex
방염성 : 방염가공 면, Rayon
- 방화복의 섬유
내열성이 있는 방향쪽 폴리아미드, 난염처리한 면ㆍ양모등 이 쓰인다. 요구되는 내열성뿐 아니라 의복으로의 착용감까지 고려해야한다. 직물의 구성은 주로 단면인 것과 이중으로 되어있고 이것은 단면인 것을 직물의 표면에 합성고무와 알루미늄 분말을 혼합하여 코팅한것으로 복사열을 반사시켜주며 방수성이 있다. 이중인 것은 겉같은 내열섬유소재로 되어 있고 안감은 방수성과 단열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 단열성능 측정법
복사 가열 시험, 대류 가열 시험, 접촉 가열 시험...이런 가열 시험은 방화복 착용시 화재 현장에서 나타나는 가열현상의 각 열전달 형태에 따른 단열성능을 측정. 즉, 각각의 가열현상의 각 연전달 형태에 대하여 시험편을 통과해서 피부에 유입되는 열량을 열류계로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피부 온도가 약 45°가 되면 화상. 모의적으로 측정한 피부로의 유입열량의 크기로 화상이 일어나는 시간 또는 화상이 일어날 때까지의 시간을 추정하여 직물의 단열성을 평가할 수 있다.
* 사람이 방화복을 착용한 상태에서의 단열 성능을 측정 - 써모마네킹 실험
: 열류계가 많이 연결되어 있어서 마네킹으로의 유입 열량의 방포를 측정.
직물의 시험편으로 얻을 수 없는 신체 전체의 화상분포 측정
* 연소속도시험법
시료의 연소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얇은 섬유제품의 연소성 시험에 적당하다
(KS K 0586)
4. 화재예방과 사람의 안정을 위해 용도에 따라 방염성이 요구되는 의류 및 실내장식용 섬유제품이 있다.,그 예를 들어보시오.
- 소방복, 화재의 위험이 있는 작업장의 보호복, 화재에 대해 방어 능력이 없는 어린이 노인 장애자의 잠옷, 카펫과 커튼 등의 실내 가정용품, 텐트 침구류 자동차 시트커버 항공기 내장재, 자동차경주용 보호복등이 있다.
5. 방염복의 경우 소재의 방염성만이 강조될 경우, 의류를 착용했을 때 어떤 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가?
방염성을 강조하다 보면 의류를 착용하였을 때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방염가공법으로는 붕산염ㆍ인산염ㆍ암모늄염 같은 용융성 염으로 처리하여, 가열 되었을 때 이들 염이 용융되어 산소 공급을 차단하고 불꽃 발생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들 염이 수용성이기 때문에 세탁에 대한 내구성이 좋지 못하다. 하지만 THPC, THPOH 와 같은 인을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을 섬유와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항구적인 방염성을 지니게 할 수 있다. 또다른 문제점 중 하나가 방염복은 기능성 작업복으로 일반 작업복에 비해 착용감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착용시 땀흡수와 통풍이 잘 안되며, 구김이 잘가고 다림질이 안되어 단정하지가 않으며 원단 자체가 어두워 세탁 후에도 산뜻해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땀 흡수성 제고가 필요한데 물 흡착성 개선을 위한 발수가공 처리 (땀 등 수분의 침투가 잘됨)를 통해 이를 개선 시킬 수 있다.
6. 섬유의 자기소화성(自己消火性) 의 정의는 무엇인가?
플라스틱이 화염에 접하고 있을 때는 타지만, 화염을 제거하면 자연히 소화하는 성질이다. 내연성시험은 도면과 같이 시험편을 스탠드에 설치하고, 규정의 길이의 버너 화염을 30℃경사시켜서 30초간 접촉한 뒤, 화염을 제거하면 동시에 스톱위치로 시간을 읽고, 화염이 꺼질 때까지를 연소시간으로 한다. 180초 이상 화염이 꺼지지 않을 때는 불어서 끄고, 可燃性으로 한다. 消炎後(소염후) 시험편의 연소한 길이를 하단에서 측정하고,연소거리로서 ㎜단위로 내연성을 표시한다. 연소거리가 25㎜이하의 경우는 불연성 25㎜를 초과 100㎜이하의 경우를 자기소화성(自己消火性)으로 한다.
7. <한국 소방복 복제 규정>에서 소방수의 근접복(방수복)과 진입복(방화복)의 요구조건, 소재의 종류와 방염성 및 방염성 측정방법을 알아보시오.
* 근접복(방수복)
- 구성 : 겹침부위, 날개 개구부를 통한 통기
반사 tape(가시성) 내연성 fastener, 실이 필요
* 소방복
- 방수복 : 화재물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호스나 다른 방비를 조작하는 등 정상적인 진화작업을 할 때 착용.
- 근접복 : 화염에 접근해서 작업 - 방열복
알루미늄 coating - 복사열 반사
- 진입복 : 화염 속에 진입하여 작업 - 방열복
Ni coating Fiberglass Al 단열재 Kynol 안감
소재 : 내열, 방염성 소재
수증기 물 차단벽 : 고무, 네오프렌
통기성 : Gore tex film
내열성 : PBI, Nomex
방염성 : 방염가공 면, Rayon
- 방화복의 섬유
내열성이 있는 방향쪽 폴리아미드, 난염처리한 면ㆍ양모등 이 쓰인다. 요구되는 내열성뿐 아니라 의복으로의 착용감까지 고려해야한다. 직물의 구성은 주로 단면인 것과 이중으로 되어있고 이것은 단면인 것을 직물의 표면에 합성고무와 알루미늄 분말을 혼합하여 코팅한것으로 복사열을 반사시켜주며 방수성이 있다. 이중인 것은 겉같은 내열섬유소재로 되어 있고 안감은 방수성과 단열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 단열성능 측정법
복사 가열 시험, 대류 가열 시험, 접촉 가열 시험...이런 가열 시험은 방화복 착용시 화재 현장에서 나타나는 가열현상의 각 열전달 형태에 따른 단열성능을 측정. 즉, 각각의 가열현상의 각 연전달 형태에 대하여 시험편을 통과해서 피부에 유입되는 열량을 열류계로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피부 온도가 약 45°가 되면 화상. 모의적으로 측정한 피부로의 유입열량의 크기로 화상이 일어나는 시간 또는 화상이 일어날 때까지의 시간을 추정하여 직물의 단열성을 평가할 수 있다.
* 사람이 방화복을 착용한 상태에서의 단열 성능을 측정 - 써모마네킹 실험
: 열류계가 많이 연결되어 있어서 마네킹으로의 유입 열량의 방포를 측정.
직물의 시험편으로 얻을 수 없는 신체 전체의 화상분포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