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Standards of Medical Care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Classification, Diagnosis, and Screening
-Type 1 diabetes
-Type 2 diabetes
-Other specific types of diabetes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Diagnosis
Screening
Table 3 - Criteria for Testing for Diabetes in Asymptomatic Adult Indivisuals
Table 4 - Testing for type 2 diabetes in children
-Criteria
-시작시기
-빈도
-Test :
Detection and Diagnosis of GDM
-One-step approach :
-Two-step approach :
-나이
-임신전 정상체중
Recommendations
A-Level evidence
Expert cosensus
Initial Evaluation
Table 5 - Components of the Initial Visit
Medical history
Physical history
Laboratory evaluation사
Referrals
Management plan
당뇨에 걸린 사람이라면 의료인과 연합된 team으로부터 내과적 치료를 반드시 받아야 한다.
...
-Glycemic control
...
Table 6 - Glycemic control for nonpregnant individuals with diabetes
...
-Referral for diabetes management
Intercurrent illness
Recommendations
A-Level evidence
B-Level
Expert consensus
Assessment of glycemic control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SMBG)
Recommendation
Expert consensus
A1C
Recommendation
Expert consensus
MNT
MNT는 당뇨 치료 그리고 당뇨 치료 교육의 통합된 부분이다. 모든 당뇨를 가진 삶에 적용되는 MNT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2)
3)
4)
Recommendation
B-Level evidence
Physical activity
Recommendation
B-level evidenc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IABETES COMPLICATIONS
Cardiovascular disease : management of risk factors need screening for CAD
Blood pressure control
Recommendations
Screening and Diagnosis
Expert consensus
Treatment
A-Level evidence
B-Level evidence
C-Level evidence
Expert consensus
Lipid management
Recommendations
General recommendations
A-Level evidence
B-Level evidence
Goals
B-Level evidence
C-Level evidence
Screening
Expert consensus
Treatment
A-Level evidence
Aspirin therpy in diabetes
Recommendation
A-Level evidence
B-Level evidence
Smoking Cessation
Recommendations
A-Level evidence
B-Level evidence
CHD screening and treatment
Recommendations
Expert consensus
SCREENING AND MANAGEMENT OF OTHER COMPLICATION
Nephropathy screening and treatment
Table 8 - Definition of abnormalities in albumin excretion
Recommendations
General recommendations
A-Level evidence
?Nephropathy의 진행을 늦추고 위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glucose조절을 최적화하라.
?Nephropathy의 진행을 늦추고 위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혈압조절을 최적화하라.
Screening
Expert consensus
Treatment
A-Level evidence
B-Level evidence
Expert consensus
Foot care
?
?
?
?
?
?
?
Recommendations
A-Level evidence
B-Level evidence
C-Level evidence
Expert consensus
Diabetic retinopathy screening and treatment
Recommendations
General Recommendations
A-Level evidence
Screening
B-Level evidence
Treatment
A-Level evidence
PREVENTIVE CARE
Preconception care
Recommendations
B-Level evidence
C-Level evidence
Expert consensus
Immunization
Recommendations
C-Level evidence
SPECIAL CONSIDERATIONS
Care of older adults with diabetes
Children and adolescents
참고 문헌
?Diabetes Care, Volume 25, Supplement 1, January 2002,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Classification, Diagnosis, and Screening
-Type 1 diabetes
-Type 2 diabetes
-Other specific types of diabetes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Diagnosis
Screening
Table 3 - Criteria for Testing for Diabetes in Asymptomatic Adult Indivisuals
Table 4 - Testing for type 2 diabetes in children
-Criteria
-시작시기
-빈도
-Test :
Detection and Diagnosis of GDM
-One-step approach :
-Two-step approach :
-나이
-임신전 정상체중
Recommendations
A-Level evidence
Expert cosensus
Initial Evaluation
Table 5 - Components of the Initial Visit
Medical history
Physical history
Laboratory evaluation사
Referrals
Management plan
당뇨에 걸린 사람이라면 의료인과 연합된 team으로부터 내과적 치료를 반드시 받아야 한다.
...
-Glycemic control
...
Table 6 - Glycemic control for nonpregnant individuals with diabetes
...
-Referral for diabetes management
Intercurrent illness
Recommendations
A-Level evidence
B-Level
Expert consensus
Assessment of glycemic control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SMBG)
Recommendation
Expert consensus
A1C
Recommendation
Expert consensus
MNT
MNT는 당뇨 치료 그리고 당뇨 치료 교육의 통합된 부분이다. 모든 당뇨를 가진 삶에 적용되는 MNT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2)
3)
4)
Recommendation
B-Level evidence
Physical activity
Recommendation
B-level evidenc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IABETES COMPLICATIONS
Cardiovascular disease : management of risk factors need screening for CAD
Blood pressure control
Recommendations
Screening and Diagnosis
Expert consensus
Treatment
A-Level evidence
B-Level evidence
C-Level evidence
Expert consensus
Lipid management
Recommendations
General recommendations
A-Level evidence
B-Level evidence
Goals
B-Level evidence
C-Level evidence
Screening
Expert consensus
Treatment
A-Level evidence
Aspirin therpy in diabetes
Recommendation
A-Level evidence
B-Level evidence
Smoking Cessation
Recommendations
A-Level evidence
B-Level evidence
CHD screening and treatment
Recommendations
Expert consensus
SCREENING AND MANAGEMENT OF OTHER COMPLICATION
Nephropathy screening and treatment
Table 8 - Definition of abnormalities in albumin excretion
Recommendations
General recommendations
A-Level evidence
?Nephropathy의 진행을 늦추고 위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glucose조절을 최적화하라.
?Nephropathy의 진행을 늦추고 위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혈압조절을 최적화하라.
Screening
Expert consensus
Treatment
A-Level evidence
B-Level evidence
Expert consensus
Foot care
?
?
?
?
?
?
?
Recommendations
A-Level evidence
B-Level evidence
C-Level evidence
Expert consensus
Diabetic retinopathy screening and treatment
Recommendations
General Recommendations
A-Level evidence
Screening
B-Level evidence
Treatment
A-Level evidence
PREVENTIVE CARE
Preconception care
Recommendations
B-Level evidence
C-Level evidence
Expert consensus
Immunization
Recommendations
C-Level evidence
SPECIAL CONSIDERATIONS
Care of older adults with diabetes
Children and adolescents
참고 문헌
?Diabetes Care, Volume 25, Supplement 1, January 2002,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본문내용
pneumococcal 감염의 혈행성 감염형태의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고 50%에 이르는 높은 사망률의 병원감염성 균혈증의 높은 위험도를 가진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은 이러한 질환의 심각한 합병증의 위험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어 효과적이다. 당뇨환자가 이런 백신에 대해 적절한 혈청학적, 임상적 반응을 보인다는 충분한 증거가 많다. Disease Control\'s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 센터에서는 65세 이상의 모든 성인과 어떤 나이라도 당뇨환자에게는 influenza와 pneumococcal 백신을 추천하고 있다.
Recommendations
C-Level evidence
6개월 이상의 당뇨 환자에게는 매년 influenza 백신을 주어야 한다.
당뇨가 있는 성인환자에게는 적어도 평생에 한번 pneumococcal 백신을 주어야 한다. 65세전에 5년 전에 백신을 했다면 64세가 지나면 한번 더 재 백신을 주어야 한다. 재 백신의 적응증은 신증후군, 만성 신질환, 장기이식 후와 같은 다른 면역저하 상태를 포 함한다.
SPECIAL CONSIDERATIONS
Care of older adults with diabetes
당뇨는 고령에 있어 중요한 건강문제이다; 65세이상 환자의 10%가 당뇨병을 가지고 있다. 당뇨가 있는 노인의 수는 10년마다 급속히 증가한다. 불행히도 65세 이상환자의 정확한 혈당조절의 이익을 나타내는 장기간 연구는 없다. 노인에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노화과정의 다양성에 대한 사고적이고 개인적인 접근법이 시행되었어야 한다. 그러나, 누가 10-20년에 걸친 장기간 연구에 부합되게 오래 살거라 기대되겠으며 누가 활동적이고 인지능력이 정상이며 자가 관리의 반응을 수행할 의지가 있는가를 권해져야 한다.
진행된 당뇨 합병증, 생명에 제한적인 동반질환, 인지능이나 기능적 결함이 있는 환자를 위해 고도의 목표를 정하는 것은 합당하다. 이러한 환자들은 미세혈관 합병증 감소로부터의 이득이 적으며 저혈당으로 인하 심각한 비가역적 효과로 훨씬 고통받는 듯 하다. 만성 고혈당은 이화 상태를 야기하며 영양실조, 기능적 결함,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증상을 초래한다. 그래서 잘 조절되지 못한 당뇨에서는 hyperglycemic hyperosmolar coma같은 급성 당뇨 합병증이 발생하기 쉽다. 합리적인 목표는 공복시 혈당 < 140 mg/dl, 식후 혈당 < 200-220 mg/dl이다.
노인환자는 젊은 성인과 같은 종류의 약을 사용하면 되나 약물치료의 처방과 모니터를 위해 특별한 관리가 요구된다. Metformin은 신부전과 심부전의 이유로 종종 금지된다. Sulfonylurea와 다른 인슐린 분비제는 저혈당을 일으킬 수 있다. 인슐린도 환자의 좋은 시각적 운동적 기술과 인지능을 요구하는 만큼 저혈당을 일으킬 수 있다. Thiazolidinediones은 울혈성 심부전(NYHA Class3, 4)이 있는 환자에게서 사용하면 안된다. α-Glucosidase inhibitor는 안전하지만 단독요법만큼 효과적이지 않거나 잘 적응하지 못한다. 약제는 최소량으로 시작하고 목적이 달성되거나 부작용이 생길 때까지 점차 증가시킨다.
심혈관계 위험요인 감소는 젊은 환자에게서만큼 중요하다; 노인에서의 고혈압치료에 대한 임상시험의 강력한 증거가 있다. 당뇨환자는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성이 높아 비적응증이 아니라면 지질이나 아스피린 치료가 합리화됨에도 불구하고 지질 감소치료나 아스피린치료에 대한 증거는 빈약하다.
Children and adolescents
Type 1 DM 의 새로 진단되는 경우의 3/4은 18세 이전의 아이에게 발생한다. 이 그룹의 치료에는 아이, 청소년, 그 가족의 복잡한 신체적 감정적 성장 요구와 당뇨치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아이와 이 연령그룹의 당뇨치료는 전문 내과, 교육, 영양, 행동을 다루는 팀에 의해 이뤄져야 한다.
초기 진단당시에 치료의 목표를 세우는 것과 당뇨 자가 관리 교육을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개인과 가족이 당뇨 자가 관리에 있어 점차 독립적이 되도록 하기 위해 확고한 교육적 바탕이 제공되어야 한다. 6,7세 이전의 대부분의 아이가 저혈당 증상에 대해 무지하여 저혈당 합병증의 위험도를 가지게 되므로 혈당목표치는 조절될 필요성이 있다.
어린 아이에게는 간헐적 질병이 더 흔하다. 모든 질병에 ketosis가 동반되므로 아플 때 치료 방침은 심각한 고혈당증을 방지하고 입원을 요하면서 심각한 사망률과 연관된 DKA를 예방하는 것을 포함해야 한다. MNT는 진단당시나 성장기 어린이의 영양요구량과 청소년 식이의 행동주제에 따라 적어도 그후 매년 제공되어야 한다. 아주 어린 나이에 과도한 식이요법을 피하라고 주의해야 한다. 생활방식 요구에 따라 가능하다면 당뇨치료법의 변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융통성을 요구하는 청년은 3-4회 인슐린 주사법이나 지속적 피하 인슐린 주사법(CSII)으로 변환되었어야 한다.
이 연령그룹에 있어 중요한 것은 친밀감이다. 그러므로 아이나 청소년을 치료하는 건강관리자는 치료효과의 증대에 방해되는 행동, 감정, 정신적 요인을 평가한 후 개인과 가족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거나 적절한 목표로 변환해야 한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type2 DM 발생율은 증가되고 있다. 치료의 이상적인 목표는 혈당치와 A1C수치의 정상화에 있다. 이런 환자에서 적절한 치료를 결정하기 위해 DM의 정확한 진단과 분류가 중요하다. 다수의 환자들은 초기에 MNT와 운동으로 치료되나 대부분은 결국 약물요법을 필요로 한다. 고혈압이나 고지혈증 같은 질환의 성공적 조절은 역시 중요하다.
학교관계자가 학생 당뇨 진단과 저혈당증의 증상, 증후, 치료에 대해 알게하기 위해 정보는 학교나 일일치료소에 제공되어야 한다. 비정상적인 혈당 수치를 보이면 점심시간 전에 학교나 일일 치료소에서 혈당 테스트가 수행되어야 한다.
참고 문헌
Diabetes Care, Volume 25, Supplement 1, January 2002,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은 이러한 질환의 심각한 합병증의 위험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어 효과적이다. 당뇨환자가 이런 백신에 대해 적절한 혈청학적, 임상적 반응을 보인다는 충분한 증거가 많다. Disease Control\'s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 센터에서는 65세 이상의 모든 성인과 어떤 나이라도 당뇨환자에게는 influenza와 pneumococcal 백신을 추천하고 있다.
Recommendations
C-Level evidence
6개월 이상의 당뇨 환자에게는 매년 influenza 백신을 주어야 한다.
당뇨가 있는 성인환자에게는 적어도 평생에 한번 pneumococcal 백신을 주어야 한다. 65세전에 5년 전에 백신을 했다면 64세가 지나면 한번 더 재 백신을 주어야 한다. 재 백신의 적응증은 신증후군, 만성 신질환, 장기이식 후와 같은 다른 면역저하 상태를 포 함한다.
SPECIAL CONSIDERATIONS
Care of older adults with diabetes
당뇨는 고령에 있어 중요한 건강문제이다; 65세이상 환자의 10%가 당뇨병을 가지고 있다. 당뇨가 있는 노인의 수는 10년마다 급속히 증가한다. 불행히도 65세 이상환자의 정확한 혈당조절의 이익을 나타내는 장기간 연구는 없다. 노인에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노화과정의 다양성에 대한 사고적이고 개인적인 접근법이 시행되었어야 한다. 그러나, 누가 10-20년에 걸친 장기간 연구에 부합되게 오래 살거라 기대되겠으며 누가 활동적이고 인지능력이 정상이며 자가 관리의 반응을 수행할 의지가 있는가를 권해져야 한다.
진행된 당뇨 합병증, 생명에 제한적인 동반질환, 인지능이나 기능적 결함이 있는 환자를 위해 고도의 목표를 정하는 것은 합당하다. 이러한 환자들은 미세혈관 합병증 감소로부터의 이득이 적으며 저혈당으로 인하 심각한 비가역적 효과로 훨씬 고통받는 듯 하다. 만성 고혈당은 이화 상태를 야기하며 영양실조, 기능적 결함,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증상을 초래한다. 그래서 잘 조절되지 못한 당뇨에서는 hyperglycemic hyperosmolar coma같은 급성 당뇨 합병증이 발생하기 쉽다. 합리적인 목표는 공복시 혈당 < 140 mg/dl, 식후 혈당 < 200-220 mg/dl이다.
노인환자는 젊은 성인과 같은 종류의 약을 사용하면 되나 약물치료의 처방과 모니터를 위해 특별한 관리가 요구된다. Metformin은 신부전과 심부전의 이유로 종종 금지된다. Sulfonylurea와 다른 인슐린 분비제는 저혈당을 일으킬 수 있다. 인슐린도 환자의 좋은 시각적 운동적 기술과 인지능을 요구하는 만큼 저혈당을 일으킬 수 있다. Thiazolidinediones은 울혈성 심부전(NYHA Class3, 4)이 있는 환자에게서 사용하면 안된다. α-Glucosidase inhibitor는 안전하지만 단독요법만큼 효과적이지 않거나 잘 적응하지 못한다. 약제는 최소량으로 시작하고 목적이 달성되거나 부작용이 생길 때까지 점차 증가시킨다.
심혈관계 위험요인 감소는 젊은 환자에게서만큼 중요하다; 노인에서의 고혈압치료에 대한 임상시험의 강력한 증거가 있다. 당뇨환자는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성이 높아 비적응증이 아니라면 지질이나 아스피린 치료가 합리화됨에도 불구하고 지질 감소치료나 아스피린치료에 대한 증거는 빈약하다.
Children and adolescents
Type 1 DM 의 새로 진단되는 경우의 3/4은 18세 이전의 아이에게 발생한다. 이 그룹의 치료에는 아이, 청소년, 그 가족의 복잡한 신체적 감정적 성장 요구와 당뇨치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아이와 이 연령그룹의 당뇨치료는 전문 내과, 교육, 영양, 행동을 다루는 팀에 의해 이뤄져야 한다.
초기 진단당시에 치료의 목표를 세우는 것과 당뇨 자가 관리 교육을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개인과 가족이 당뇨 자가 관리에 있어 점차 독립적이 되도록 하기 위해 확고한 교육적 바탕이 제공되어야 한다. 6,7세 이전의 대부분의 아이가 저혈당 증상에 대해 무지하여 저혈당 합병증의 위험도를 가지게 되므로 혈당목표치는 조절될 필요성이 있다.
어린 아이에게는 간헐적 질병이 더 흔하다. 모든 질병에 ketosis가 동반되므로 아플 때 치료 방침은 심각한 고혈당증을 방지하고 입원을 요하면서 심각한 사망률과 연관된 DKA를 예방하는 것을 포함해야 한다. MNT는 진단당시나 성장기 어린이의 영양요구량과 청소년 식이의 행동주제에 따라 적어도 그후 매년 제공되어야 한다. 아주 어린 나이에 과도한 식이요법을 피하라고 주의해야 한다. 생활방식 요구에 따라 가능하다면 당뇨치료법의 변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융통성을 요구하는 청년은 3-4회 인슐린 주사법이나 지속적 피하 인슐린 주사법(CSII)으로 변환되었어야 한다.
이 연령그룹에 있어 중요한 것은 친밀감이다. 그러므로 아이나 청소년을 치료하는 건강관리자는 치료효과의 증대에 방해되는 행동, 감정, 정신적 요인을 평가한 후 개인과 가족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거나 적절한 목표로 변환해야 한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type2 DM 발생율은 증가되고 있다. 치료의 이상적인 목표는 혈당치와 A1C수치의 정상화에 있다. 이런 환자에서 적절한 치료를 결정하기 위해 DM의 정확한 진단과 분류가 중요하다. 다수의 환자들은 초기에 MNT와 운동으로 치료되나 대부분은 결국 약물요법을 필요로 한다. 고혈압이나 고지혈증 같은 질환의 성공적 조절은 역시 중요하다.
학교관계자가 학생 당뇨 진단과 저혈당증의 증상, 증후, 치료에 대해 알게하기 위해 정보는 학교나 일일치료소에 제공되어야 한다. 비정상적인 혈당 수치를 보이면 점심시간 전에 학교나 일일 치료소에서 혈당 테스트가 수행되어야 한다.
참고 문헌
Diabetes Care, Volume 25, Supplement 1, January 2002,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