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술동요의 개념
2. 주술동요의 분류
3. 주술동요와 주가
4. 주술적 특징과 주술동요의 내용
5. 구지가
2. 주술동요의 분류
3. 주술동요와 주가
4. 주술적 특징과 주술동요의 내용
5. 구지가
본문내용
이나 초자연과 의사를 소통하는
하나의 매개체적인 구실을 하게 되었다.
② 종교적인간(religious man)으로서의 미개인이나 고대인은 언어나 시가(詩歌)에
어떤 힘이 있다고 사고(思考)했다. 곧 그들은 언어주술관이나 언어영력관(言語靈力觀)을
가지고 생활했다. 따라서 고대 시가는 주술성이 강할 수밖에 없다.
③ 신라 향가 例
서동요, 혜성가, 원가, 처용가, 제망매가, 천수대비가, 도솔가
Ⅲ. 주술동요의 분류
- 주술동요의 기본형 = 반복적 환기 - 명령 - 명령불이행에 따른 보복의 가정
~아, ~아, / ~하여라 / ~않으면 / ~하리라
- 주술동요의 분류
① 원형으로부터의 변이 양상에 따른 특징별 분류
② 제재별 분류
분류
요 명(謠名)
내 용
편수
1) 동물대상
주술요
<109>
01
거북요
거북에게 명령하여
2
02
기러기요
총쏘는 시늉하며
기러기를 바라보며
4
7
03
나비요
나비를 잡으려 하며
2
04
달팽이요
달팽이를 보며
1
05
반딧불요
개똥벌레를 잡으며
2
06
뱀요
뱀을 보며
19
07
소금쟁이요
소금쟁이를 잡으며
1
08
잠자리요
잠자리 잡을 때
67
09
징게요
징게를 보며
1
10
풍뎅이요
풍뎅이를 돌리며
2
11
호랑이
하나의 매개체적인 구실을 하게 되었다.
② 종교적인간(religious man)으로서의 미개인이나 고대인은 언어나 시가(詩歌)에
어떤 힘이 있다고 사고(思考)했다. 곧 그들은 언어주술관이나 언어영력관(言語靈力觀)을
가지고 생활했다. 따라서 고대 시가는 주술성이 강할 수밖에 없다.
③ 신라 향가 例
서동요, 혜성가, 원가, 처용가, 제망매가, 천수대비가, 도솔가
Ⅲ. 주술동요의 분류
- 주술동요의 기본형 = 반복적 환기 - 명령 - 명령불이행에 따른 보복의 가정
~아, ~아, / ~하여라 / ~않으면 / ~하리라
- 주술동요의 분류
① 원형으로부터의 변이 양상에 따른 특징별 분류
② 제재별 분류
분류
요 명(謠名)
내 용
편수
1) 동물대상
주술요
<109>
01
거북요
거북에게 명령하여
2
02
기러기요
총쏘는 시늉하며
기러기를 바라보며
4
7
03
나비요
나비를 잡으려 하며
2
04
달팽이요
달팽이를 보며
1
05
반딧불요
개똥벌레를 잡으며
2
06
뱀요
뱀을 보며
19
07
소금쟁이요
소금쟁이를 잡으며
1
08
잠자리요
잠자리 잡을 때
67
09
징게요
징게를 보며
1
10
풍뎅이요
풍뎅이를 돌리며
2
11
호랑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