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건물에 필수적이라고 생각되는 측정의 기본을 손가락, 손바닥, 발, 팔과 같은 인체의 구성요소에 의거하였다고 설명하고 있다.
2장 : 신전의 분류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구성 방법에 따라 신전을 분류하고 그 특징을 서술하고 있다.
3장 : 기둥과 기둥 간격의 비례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기둥 지름과 기둥 간격에 EK라 다섯가지로 분류하고 특징과 그 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시선에 따라 보이는 높이가 달라 기둥의 중간 부분을 부풀리는 방식인 엔타시스 방식을 설명하고 있다.
4장 : 신전의 기초와 하부구조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지반이 굳은 곳에 축조하라고 설명하고 있고 견고하지 못한 경우는 인위적으로 견고하게 하라고 충고하고 있다.
5장 : 이오니아식 기둥의 주초, 주두, 엔타블레츄어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4장에서 설명한 작업이 완료되면 그 장소에 주초를 놓게 되는데 이오니아식 기둥에 관하여 정확한 수치까지 기록하면서 설명해 나가고 있다.
4서 - 도리아식과 코린트식 형태의원칙과 차이점, 특성을 설명하였다.
1장 : 세가지 기둥의 기원 및 코린트식 주두의 비례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이오니아식과 비교하여 주두가 길기 때문에 기둥의 높이가 길어져 외관이 가늘어 보인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가장 먼저 생겨난 도리아식의 유래를 설명하고 그것이 남자의 발자욱을 신장에 비교했을 때 1/6이란 것을 적용하여 주신의 상부를 6배만큼하여 주두를 포함한 기둥의 높이로 하였다고 하며, 그래서 도리아식 기둥은 남자의 신체 비례와 강건함, 아름다움을 나타낸다고 설명하였다. 이오니아식은 발자욱을 여인의 가는 몸에
2장 : 신전의 분류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구성 방법에 따라 신전을 분류하고 그 특징을 서술하고 있다.
3장 : 기둥과 기둥 간격의 비례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기둥 지름과 기둥 간격에 EK라 다섯가지로 분류하고 특징과 그 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시선에 따라 보이는 높이가 달라 기둥의 중간 부분을 부풀리는 방식인 엔타시스 방식을 설명하고 있다.
4장 : 신전의 기초와 하부구조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지반이 굳은 곳에 축조하라고 설명하고 있고 견고하지 못한 경우는 인위적으로 견고하게 하라고 충고하고 있다.
5장 : 이오니아식 기둥의 주초, 주두, 엔타블레츄어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4장에서 설명한 작업이 완료되면 그 장소에 주초를 놓게 되는데 이오니아식 기둥에 관하여 정확한 수치까지 기록하면서 설명해 나가고 있다.
4서 - 도리아식과 코린트식 형태의원칙과 차이점, 특성을 설명하였다.
1장 : 세가지 기둥의 기원 및 코린트식 주두의 비례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이오니아식과 비교하여 주두가 길기 때문에 기둥의 높이가 길어져 외관이 가늘어 보인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가장 먼저 생겨난 도리아식의 유래를 설명하고 그것이 남자의 발자욱을 신장에 비교했을 때 1/6이란 것을 적용하여 주신의 상부를 6배만큼하여 주두를 포함한 기둥의 높이로 하였다고 하며, 그래서 도리아식 기둥은 남자의 신체 비례와 강건함, 아름다움을 나타낸다고 설명하였다. 이오니아식은 발자욱을 여인의 가는 몸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