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평가 관능평가 용어정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품평가 관능평가 용어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되었을 때 구강내에서 느끼는 특징적인 감각. 구강상피가 수축되거나 조임으로 인해 나타나며 입안에서 오랫동안 건조한 느낌을 유발한다.
attitude(태도) 어떤 부류의 대상에 대해 일관된 양상으로 반응하게 되는 취득된 소질. 어떤 대상이나 대상의 수준에 대해 있는 그대로가 아닌 인지되도록 된 방향으로 반응하게 되는 일관된 준비상태.
attitude scale(태도척도) 태도나 의견을 측정하는 척도.
attribute(특성) 자극에 대한 질적 또는 특징적 묘사.
basic taste(기본맛) 설탕, 구연산, 소금 또는 quinine(퀴닌)에 의해 특정지어지는 단맛, 신맛, 짠맛, 또는 쓴맛 감각.
bias(편견) 버릇, 선입견 또는 편견적 판단.
bite(압각) 온도, 맛, 냄새와 무관하게 혀에서 느끼는 물리적 감각. 탄산수와 같은 물질에 노출시 느끼는 찌르는 듯한 화학적 감각. 이 감각은 보통 오래 남아 있다.
bitter(쓴맛) 혀 뒷부분의 성곽형 파필라에서 인지되는 카페인, 퀴닌 및 특정 alkaloids 용액에 의해 나타나는 기본맛 중의 하나
bland(순한) 독특한 맛이나 냄새가 없는.
blended(혼합된) 향미 측면에서 여러 특성이 잘 조화되고, 적합한 순서로 감지되며, 불쾌한 후미가 없는 부드러운 향미.
blind test(비정체 검사) 시료의 정체가 실험자에게만 알려진, 기호만 표시된 시료의 평가.
body(풍부함) 단단함, 텍스처의 밀집성, 충만감, 맛의 풍부함과 관련된 식품이나 음료의 특성.
boredom(심리적 권태) 특별한 자극이 없이 발생하는 피로.
bouquet(술 따위의 향기, 방향) 방향제, 포도주, 맥주, 정제된 알코올 등의 독특한 냄새.
brackish(소금기 있는) 짜고 알칼리 맛을 지닌.
brightness contrast(밝기 대조) 절대적 밝기의 차이와 더 큰 밝기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는 두 대상물의 상대적 밝기.
briny(짠) 짠맛과 신맛이 복합된 맛.
brisk(상쾌한) 새로 만든 차의 상쾌한 향미. 맥주의 거품이 많이 이는.
brittle(부서지기 쉬운) 쉽게 부서지고, 부서진 자리가 날카롭게 남는 텍스처 특성.
burning(타는 듯한) 고추나 겨자 및 다른 강한 조미료들과 같은 물질에 의하여 발생하는 뜨거운 느낌. 촉감으로 느끼며, 아픔과 온도에 관련된 특성.
burnt flavor(탄 향미) 연기나 타르 향미.
caramelized(캐러멜화된) 당이 가열되거나 산처리 되었을 때 생성되는 색과 향미. 그 효과는 저장중에 나타나는 당과 단백질 사이의 마이야르 반응과는 다르다.
chalky(텁텁한) 입안에서 건조하고 가루와 같이 느껴지는 텍스처 특징.
character notes(특성) 묘사분석시 단순물질에 대해 개인 또는 패널에 의해 감지되는 개별적인 맛과 향의 특성.
chemoreceptors(화학감수체) 화학적 자극에 반응하는 수용체. 미뢰와 코의 점막에 있는 말초신경들.
chewy(졸깃졸깃한) 쉽게 파괴되거나 용해되지 않고 입안에서 잔류하려는 경향. 저작을 요구하는.
chroma(색채도) 먼셀 표시법에서 색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세 가지 기준 중의 하나로, 포화정도 또는 순도를 뜻한다.
clear(맑은) 액체나 음료의 시각적 특성으로, 혼탁상태가 없는.
cloudyg(혼탁한) 맑지 않은.
cloying(음식에 물리는) 만족스러운 정도 이상으로 자극되는 맛감각. 종종 과도하게 단 물질의 묘사에 사용한다.
coarse(거친) 미세한 것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큰 입자로 구성된. 또는 술에서 좋지 못한 향미의 개념으로, harsh와 유사한 표현.
coating(피막을 형성하는) 혀와 치아에 막을 형성하는 것. 때때로 음식의 탄닌과 침 속의 단백질이 결합하여 나타나기도 한다.
coding(부호화) 시료의 표시방법으로, 보통 문자나 숫자로 표현되는 특정한 기호의 지정.
cofficient of concordance(일치게수) 검사자들이 여러 제품에 대해 지정한 순위들의 일치정도를 나타내는 계수
cohesiveness(응집성) 자극체의 분자구조적인 측면에서 내부 결합강도와 관련된, 혀나 치아에서 감지되는 텍스처 특성의 일종. 응집성이 있는 물질은 서로 교착되어 있어 힘이 주어졌을 때 부서지지 않는다
color blindness(색맹)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색을 뚜렷하게 구별할 수 없는 능력.
comparative judgement(비교평가) 한 자극을 강도나 선호 측면에서 다른 것과 직접비교하여 평가하는 것.
comparison stimulus(비교자극) 일정하고 표준화된 자극과 각각 비교되는 일련의 자극.
compensation(상쇄) 여러 자극이 있을 때 각 자극이 상호작용에 의해서, 단독으로 있을
때 보다 그 강도가 약하게 감지되는 것.
complementary color(보색) 혼합되었을 때 무채색을 나타내는 두 가지 색.
condiment(향신료) 음식에 gdal를 증진시키거나 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후추나 겨자 같은 첨가제.
conditioned response(조건반응) 이미 경험한 자극이 주어질 때 표현되는 반사적 반응.
consistency(점조도 ,균일성) ① 견고성, 비중, 점도와 같이 입에서 느끼는 촉감. ② 각 부분들의 일치나 조화 ; 균일
constant stimulus(동일자극) 단독, 한 쌍, 또는 여러 번에 걸쳐 제시되는 동일한 결과강도를 지닌 자극의 제시.
consumer(소비자) 상품을 구입하고 사용하는 개인.
consumer panel(소비자 패널) 행위 측정이 요구되는 특정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집단.
continuum(연속체) 감지할 수 없을 정도의 일련의 변화 중에서 기본적인 공통특성을 감지할 수 있는 어떤 것. 예) 감각 연속체.
contrast(대조) 대조되는 특성을 강화하거나 강조하기 위해서 두 가지의 다른 감각을 나란히 놓음. 대조에는 자극이 제시된 시점에 따라 ① 동시자극, ② 연속자극의 두 종류가 있음.
contrast effect(대조효과) 서로 다른 기호도(또는 품질) 수준을 가진 시료의 평가시, 한 시료의 평가가 반대 품질수준을 지니는 시료의 다음에 평가될 때, 돌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6.10.26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88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