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로크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Ⅱ. 신뢰의 정치
ⅰ) 『관용에 관한 시론』
ⅱ) 통치론
ⅲ) 소유권의 문제
Ⅲ. 자유
Ⅳ. 로크 사상의 의의
Ⅱ. 신뢰의 정치
ⅰ) 『관용에 관한 시론』
ⅱ) 통치론
ⅲ) 소유권의 문제
Ⅲ. 자유
Ⅳ. 로크 사상의 의의
본문내용
-관용에 관한 시론, 180
『관용에 관한 시론』은 주권자에게 그가 자신의 자유 재량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를 제시한 논변이다. 그 동안 신의 대역을 하려고 헛되이 주제넘게 노력할 것이 아니라 시민적 질서 유지의 필요성에 대해 엄격하게 주의하는 것이 행정관이 할 일이다.
ⅱ) 통치론(Two Treatises of Government)
『통치론』은 주로 부정의한 권위에 대한 저항권, 즉 최후 수단으로서 혁명권을 주자하기 위해 계획된 저작이다. 이것은 절대 군주제의 주장을 공격했다는 것과 이런 공격으로부터 영국 국왕의 특권적 권력the prerogative power에 대한 헌법적 한계에 관한 확고한 결론을 이끌어냈다는 점은 충분히 명백하다.
그에게 있어 정치적 권리는 정치적 의무로부터 따라 나오며 이둘 - 즉 정치적 권리와 정치적 의무-은 모두 하느님의 의지로부터 파생된다. 1678년에 그는 다음과 같은 수사적 질문을 던졌다.
만일 어떠한 사람이 하느님이 그 자신과 다름 사람들을 사회 없이는 존속할 수 없는 상태에 처하게 했다는 것을 알게 되면, 그는 사회의 보존을 가져오는 규칙들을 따라야만 한다고 또 하느님이 그에게 그렇게 하도록 요구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을까?
-『존 로크의 정치사상』
그의 정치적 견해에 있어서 중요한 변화, 즉 수동적 복종에 대한 공약으로부터 부당한 정치적 권위에 대한 저항권의 옹호로의 변화는 곧 인간들이 자신들의 사회를 보존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어떻게 판단할 수 있고 또 판단해야 하는지에 대한 그의 생각상의 변화였다. 이런 판단을 전적으로 통치자에게 맡겨두는 대신,
『관용에 관한 시론』은 주권자에게 그가 자신의 자유 재량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를 제시한 논변이다. 그 동안 신의 대역을 하려고 헛되이 주제넘게 노력할 것이 아니라 시민적 질서 유지의 필요성에 대해 엄격하게 주의하는 것이 행정관이 할 일이다.
ⅱ) 통치론(Two Treatises of Government)
『통치론』은 주로 부정의한 권위에 대한 저항권, 즉 최후 수단으로서 혁명권을 주자하기 위해 계획된 저작이다. 이것은 절대 군주제의 주장을 공격했다는 것과 이런 공격으로부터 영국 국왕의 특권적 권력the prerogative power에 대한 헌법적 한계에 관한 확고한 결론을 이끌어냈다는 점은 충분히 명백하다.
그에게 있어 정치적 권리는 정치적 의무로부터 따라 나오며 이둘 - 즉 정치적 권리와 정치적 의무-은 모두 하느님의 의지로부터 파생된다. 1678년에 그는 다음과 같은 수사적 질문을 던졌다.
만일 어떠한 사람이 하느님이 그 자신과 다름 사람들을 사회 없이는 존속할 수 없는 상태에 처하게 했다는 것을 알게 되면, 그는 사회의 보존을 가져오는 규칙들을 따라야만 한다고 또 하느님이 그에게 그렇게 하도록 요구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을까?
-『존 로크의 정치사상』
그의 정치적 견해에 있어서 중요한 변화, 즉 수동적 복종에 대한 공약으로부터 부당한 정치적 권위에 대한 저항권의 옹호로의 변화는 곧 인간들이 자신들의 사회를 보존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어떻게 판단할 수 있고 또 판단해야 하는지에 대한 그의 생각상의 변화였다. 이런 판단을 전적으로 통치자에게 맡겨두는 대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