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항조증약
2. 항우울제
3. 항불안제
4. 항정신병약
2. 항우울제
3. 항불안제
4. 항정신병약
본문내용
상하부, 변연계, 뇌간 및 연수중의 postsynaptic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효과 발 현 함.
(4)금기 : 혼수 또는 순환허탈 상태 환자, 조절 되지 않는 심대상부전환자, 바로비탈 약 물· 마취제 등 중추신경억제제의 영향에 있는 환자, 급성 알콜 중독 환자, 혈액 질환 환자, 골수기능 억제환자, 간손상 기왕력자, 협우각형 녹내장 환자.
5)Thiothixene
(1)효능 : 정신분열증, 기타의 정신병
(2)부작용 : 혈압저하, 빈맥, 심계항진, 구갈, 구역, 구토, 변비, 추체외로증상, 지발성 운동 장애, 축동, 산동, 시력불선명, 여성유방화, 유즙분비, 수면장애, 초조, 불안, 발작, 항이뇨호르몬분비이상증후군.
(3)작용기전 : 도파민 수용체 자극제인 아포몰핀 투여 시 발생하는 구토에 대해 억제 작 용을 보이며 암페타민을 투여한 mouse 군의 독성과 자발운동 촉진에 대한 억제작용.
(4)금기 :혼수 또는 순환허탈 상태 환자, 바로비탈 약물· 마취제 등 중추신경억제제의 영 향에 있는 환자, 12세 미만의 유·소아, 에피네프린을 투여 중인 환자, 급성 알콜 중독 환자.
6)Haloperidol
(1)효능 : 정신분열증, 조증, 정신병적 장애의 증상, 뚜렛 증후군, 구역, 딸꾹질.
(2)부작용 : 고혈압, 저혈압, 빈맥, 초조, 불안, 추체외로계 증상, 소양증, 빌진, 피부염, 유 즙분비과다, 고혈당, 저혈당, 저나트륨혈증, 식욕부진, 변비, 설사.
(3)작용기전 : 뇌의 postsynaptic mesolimbic dopaminergic D1 & D2 수용체 차단
(4)금기 : 혼수상태환자, 알콜 중독 환자, 중증의 심부전, 파킨슨 질환 환자, 기관지 폐렴 환자, 지저신경절 손상 환자, 에피네프린 투여 중인 환자, 임부 또는 가임부.
7)bromperidol
(1)효능 : 정신분열증
(2)부작용 : 혈압저하, 고혈압, 빈맥, 추체외로계 증상,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 발진, 식욕 부진, 구역, 구토, 체중증가 또는 감소, 수면장애, 초조감, 우울, 어지러움, 비 틀거림, 지각이상, 경련 발작.
(3)작용기전 : 대뇌 변연계에서 도파민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항정신병 작용을 발현하며 효력은 Haloperidol과 거의 비슷하다.
(4)금기 : 혼수상태 환자, 급성 알콜 중독 환자, 기관지 폐렴, 뇌저 신경절 손상 환자, 파 킨슨 환자, 에피네프린 투여 중인 환자, 임부 또는 가임부.
8)Clozapine
(1)효능 : 약제 내성 정신분열병환자, 심한 추체외로계 부작용을 일으키는 환자.
(2)부작용 : 백혈구 감소증, 체중증가, 졸음, 진정, 시야 흐림, 두통, 진전, 빈맥, 연하 억 제, 호흡 곤란, 변비, 과도한 타액 분비, 간효소 수치 증가, 요실금, 피로, 신 경이완제 악성증후군.
(3)금기 : 중독증 또는 특이 체질에 의한 과립구감소증, 골수 기능이 손상된 환자, 알콜 및 다른 중독성 정신질환, 약물중독, 혼수상태 환자, 모든 형태의 순환성 부전 및 중추신경 억제 환자, 불안정성 간질 환자, 마비성 일레우스 환자.
9)Olanzapine
(1)효능 : 양성적 증상 및 음성적 증상이 나타나는 정신분열병, 정신 질환의 급성치료 및 유지치료, 또한 정신분열병 및 이와 관련된 장애에 일반적으로 수반되는 이차적 증상의 경감.
(2)부작용 : 졸음과 체중증가, 호산구증가증, 알츠하이머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비정상 적인 보행, 저혈압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실신, 변비와 구갈을 포함한 항콜린효과, 간효소의 중가.
(3)작용기전 : 도파민 수용체에 친화성을 나타내는 도파민 길항제로서 항콜린작용과 세로 토닌 차단효과에 의한 급·만성 정신분열증, 정신분열형 장애에 유효하다.
(4)금기 : 본제에 과민한 환자, 폐쇄각 녹내장 환자.
10)Pimozide
(1)효능 : 긴장, 불안, 초조, 정신장애, 정신신경으로 인한 정신분열증
(2)부작용 : 말린증후군, 악성 신경마비 증후군, 추체외로증상, 간효소의 상승, 시에 조절 장애, 배뇨장애, 구갈, 구토.
(3)작용기전 : diphenylbutylpiperidine 유도체로 antidopaminergic 활동을 통해 항정신 병 효과를 나타내는 강력한 신경차단제.
(4)금기 : 선천성 Q-T간격 연장이 있는 환자, 심장 부정맥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 내인성 우울 환자, 파킨슨 증후군 환자 또는 간질 환자.
11)Risperidone
(1)효능 : 양성적 증상 및 음성적 증상이 나타나는 급·만성 정신분열병 및
(4)금기 : 혼수 또는 순환허탈 상태 환자, 조절 되지 않는 심대상부전환자, 바로비탈 약 물· 마취제 등 중추신경억제제의 영향에 있는 환자, 급성 알콜 중독 환자, 혈액 질환 환자, 골수기능 억제환자, 간손상 기왕력자, 협우각형 녹내장 환자.
5)Thiothixene
(1)효능 : 정신분열증, 기타의 정신병
(2)부작용 : 혈압저하, 빈맥, 심계항진, 구갈, 구역, 구토, 변비, 추체외로증상, 지발성 운동 장애, 축동, 산동, 시력불선명, 여성유방화, 유즙분비, 수면장애, 초조, 불안, 발작, 항이뇨호르몬분비이상증후군.
(3)작용기전 : 도파민 수용체 자극제인 아포몰핀 투여 시 발생하는 구토에 대해 억제 작 용을 보이며 암페타민을 투여한 mouse 군의 독성과 자발운동 촉진에 대한 억제작용.
(4)금기 :혼수 또는 순환허탈 상태 환자, 바로비탈 약물· 마취제 등 중추신경억제제의 영 향에 있는 환자, 12세 미만의 유·소아, 에피네프린을 투여 중인 환자, 급성 알콜 중독 환자.
6)Haloperidol
(1)효능 : 정신분열증, 조증, 정신병적 장애의 증상, 뚜렛 증후군, 구역, 딸꾹질.
(2)부작용 : 고혈압, 저혈압, 빈맥, 초조, 불안, 추체외로계 증상, 소양증, 빌진, 피부염, 유 즙분비과다, 고혈당, 저혈당, 저나트륨혈증, 식욕부진, 변비, 설사.
(3)작용기전 : 뇌의 postsynaptic mesolimbic dopaminergic D1 & D2 수용체 차단
(4)금기 : 혼수상태환자, 알콜 중독 환자, 중증의 심부전, 파킨슨 질환 환자, 기관지 폐렴 환자, 지저신경절 손상 환자, 에피네프린 투여 중인 환자, 임부 또는 가임부.
7)bromperidol
(1)효능 : 정신분열증
(2)부작용 : 혈압저하, 고혈압, 빈맥, 추체외로계 증상,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 발진, 식욕 부진, 구역, 구토, 체중증가 또는 감소, 수면장애, 초조감, 우울, 어지러움, 비 틀거림, 지각이상, 경련 발작.
(3)작용기전 : 대뇌 변연계에서 도파민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항정신병 작용을 발현하며 효력은 Haloperidol과 거의 비슷하다.
(4)금기 : 혼수상태 환자, 급성 알콜 중독 환자, 기관지 폐렴, 뇌저 신경절 손상 환자, 파 킨슨 환자, 에피네프린 투여 중인 환자, 임부 또는 가임부.
8)Clozapine
(1)효능 : 약제 내성 정신분열병환자, 심한 추체외로계 부작용을 일으키는 환자.
(2)부작용 : 백혈구 감소증, 체중증가, 졸음, 진정, 시야 흐림, 두통, 진전, 빈맥, 연하 억 제, 호흡 곤란, 변비, 과도한 타액 분비, 간효소 수치 증가, 요실금, 피로, 신 경이완제 악성증후군.
(3)금기 : 중독증 또는 특이 체질에 의한 과립구감소증, 골수 기능이 손상된 환자, 알콜 및 다른 중독성 정신질환, 약물중독, 혼수상태 환자, 모든 형태의 순환성 부전 및 중추신경 억제 환자, 불안정성 간질 환자, 마비성 일레우스 환자.
9)Olanzapine
(1)효능 : 양성적 증상 및 음성적 증상이 나타나는 정신분열병, 정신 질환의 급성치료 및 유지치료, 또한 정신분열병 및 이와 관련된 장애에 일반적으로 수반되는 이차적 증상의 경감.
(2)부작용 : 졸음과 체중증가, 호산구증가증, 알츠하이머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비정상 적인 보행, 저혈압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실신, 변비와 구갈을 포함한 항콜린효과, 간효소의 중가.
(3)작용기전 : 도파민 수용체에 친화성을 나타내는 도파민 길항제로서 항콜린작용과 세로 토닌 차단효과에 의한 급·만성 정신분열증, 정신분열형 장애에 유효하다.
(4)금기 : 본제에 과민한 환자, 폐쇄각 녹내장 환자.
10)Pimozide
(1)효능 : 긴장, 불안, 초조, 정신장애, 정신신경으로 인한 정신분열증
(2)부작용 : 말린증후군, 악성 신경마비 증후군, 추체외로증상, 간효소의 상승, 시에 조절 장애, 배뇨장애, 구갈, 구토.
(3)작용기전 : diphenylbutylpiperidine 유도체로 antidopaminergic 활동을 통해 항정신 병 효과를 나타내는 강력한 신경차단제.
(4)금기 : 선천성 Q-T간격 연장이 있는 환자, 심장 부정맥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 내인성 우울 환자, 파킨슨 증후군 환자 또는 간질 환자.
11)Risperidone
(1)효능 : 양성적 증상 및 음성적 증상이 나타나는 급·만성 정신분열병 및
추천자료
[논문] 정신간호학과 관련된 기초분야
노인정신간호학 상세분석 및 대책
노인정신간호학과 치매에 관한 심층분석과 대책
정신간호학 부티풀 마인드 감상문
정신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포맷
정신건강간호학
정신간호학 - 행동치료 자료, 프레젠테이션
정신간호학 방어기제 완벽 요약 정리 (이것만 보고 공부하면 되요)
정신간호학-치료적의사소통과 비치료적의사소통 완벽 요약 정리
정신간호학 이상행동의 이해
정신건강간호학) 치료적 의사소통(모형, 과정, 유형)
정신건강간호학) 환자관리 A+
정신간호학 조현병 케이스스터디
정신간호학 조현병 schizophrenia 간호과정 ,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