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지역축제와 지방자치, 그리고 문학 마케팅
2. 본 론
1) 소설 「메밀꽃 필 무렵
2)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3) 지역축제의 정의
4) 효석 문화제: 메밀꽃 축제
① 효석 문화제의 개최배경
② 효석 문화제의 추진과정
③ 효석 문화제의 개최내용
a. 효석문화제의 기본방향
b. 효석문화제의 행사내용
④ 효석문화제의 지역활성화 영향
a. 직접 소득 창출
b. 사회, 문화적 효과
c. 환경, 지역 이미지 효과
⑤ 효석문화제의 문제점과 과제
3. 결 론
지역축제와 지방자치, 그리고 문학 마케팅
2. 본 론
1) 소설 「메밀꽃 필 무렵
2)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3) 지역축제의 정의
4) 효석 문화제: 메밀꽃 축제
① 효석 문화제의 개최배경
② 효석 문화제의 추진과정
③ 효석 문화제의 개최내용
a. 효석문화제의 기본방향
b. 효석문화제의 행사내용
④ 효석문화제의 지역활성화 영향
a. 직접 소득 창출
b. 사회, 문화적 효과
c. 환경, 지역 이미지 효과
⑤ 효석문화제의 문제점과 과제
3. 결 론
본문내용
녀를 만났다. 성 서방네는 파산(破産)을 한 터여서 처녀는 신세 한탄을 하며 눈물을 보였다. 그런 상황 속에서 허 생원은 처녀와 관계를 맺었고, 그 다음날 처녀는 빚쟁이를 피해서 줄행랑을 놓는 가족과 함께 떠나고 말았다.
그런 이야기 끝에 허 생원은 \'동이\'가 편모만 모시고 살고 있음을 알게 된다. 발을 빗디딘 허 생원은 나귀 등에서 떨어져 물에 빠지고 그걸 \'동이\'가 부축해서 업어 준다. 허 생원은 마음에 짐작되는 데가 있어 \'동이\'에게 물어 보니 그 어머니의 고향 역시 봉평임을 확인한다. 그리고 어둠 속에서도 \'동이\'가 자기처럼 \'왼손잡이\'임을 눈여겨 본다.
이 작품을 읽으면 무엇보다도 한 폭의 수채화와 같은 정경이 떠오른다. 하얀 달빛 아래 흐드러지게 피어 있는 메밀꽃, 그리고 물레방아간의 풍경이 떠오른다. 이 작품은 이러한 시간적 공간적 배경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적 배경은 우선 남녀 간의 사랑을 아름답게 부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실 허 생원과 성 서방네 처녀의 인연은 어떻게 보면 한갓 하룻밤의 애욕에 불과할 수도 있다. 그러나 메밀꽃이 핀 달밤에 정취가 있기에 허 생원은 그날 밤의 인연을 평생 잊지 못하고 살아가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 작품을 읽으면 무엇보다도 한 폭의 수채화(서양화에서, 물감을 물에 풀어서 그린 그림)와 같은 정경이 떠오른다. 하얀 달빛 아래 흐드러지게 피어 있는 메밀꽃, 그리고 물레방아간의 풍경이 떠오른다. 이 작품은 이러한 시간적 공간적 배경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적 배경은 우선 남녀 간의 사랑을 아름답게 부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실 허 생원과 성 서방네 처녀의 인연은 어떻게 보면 한갓 하룻밤의 애욕에 불과할 수도 있다. 그러나 메밀꽃이 핀 달밤에 정취가 있기에 허 생원은 그날 밤의 인연을 평생 잊지 못하고 살아가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것이 소설에 큰 매력이며 또한 배경이 전체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작품을 서정적이고, 시적인 경지로 승화시키는 구실을 하고 있다. 이 작품의 핵심적 모티브는 \'혈육 찾기\'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작품의 배경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봉평 장터와 봉평에서 대화로 가는 길의 달빛과 메밀꽃 그리고 개울은 하나의 산수화를 연상시킨다. 따라서 공간적 배경은 자연과 인간의 친화 또는 조화를 의미하는 낭만적 공간이다. 시간적 배경은 현재의 시간에 허 생원의 과거와 동이와 그의 어머니의 과거가 삽입되고 거기에 다시 동이와 허 생원 그리고 조 선달의 미래가 중첩되어 나타나는 일상적 시간이다. 특히, 자연적 배경이 중심을 이루는데, 달이 비치는 메밀밭과 산길이 향토적 서정이라는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면서 순박한 인물들과 조화를 이루어 허 생원과 동이를 결합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공간적 배경은 강원도 봉평 장터와 봉평에서 대화에 이르는 메밀꽃이 흐드러진 밤길. 메밀꽃 핀 개울가는 단순한 자연적 정경에 그치는 배경이 아니라, \'인생의 인연\'을 상징하여 작품 주제에 직접 관여하고 있다. 그리고, 메밀꽃 핀 산길의 달밤은 낭만적인 자연 배경으로, 허 생원의 옛이야기를 꺼내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봉평\'은 허 생원과 동이 어머니를 만나게 한 곳이면서도 허 생원과 동이를 만나게 한 공간으로 구성상 중요한 구실을 하고 있다. 이런 낭만적인 배경은 작품의 주제를 애수에 찬 그리움으로 이끌어 가고 이러한 시적인 표현은 메밀꽃 축제의 근간이 되는 것이다.
2)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봉평면은 강원도 평창군의 7개면 중 하나로 읍 소재지는 창동리이고 면적은 217.41㎢, 19개 리와 78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는 작은 읍이다. 인구는 총 5070명의 매우 작은 규모의 마을이다. 강원도 평창군의 전체인구가 46,531명이라는 것에 비해면 매우 작은 규모의 읍이다. (봉평면 홈페이지)
북쪽으로 홍천군 내면(內面), 서쪽으로 홍천군 서석면과 횡성군 둔내면, 남쪽으로 방림면, 동쪽으로 진부면·대화면에 접한다. 본래 교주강릉도에 속해 있었으며, 현재의 진부·대화 지역을 포함한 대관령일대의 중심지였다. 원래 기풍면이라 부르다가 1757년 봉평면으로 개칭하였다. 1857년(철종 8) 다시 기풍면으로 개칭하였다가 1877년(고종 14) 봉평면으로 고쳤으며, 1906년 강릉군에서 평창군으로 편입되었다.
북쪽에 흥정산·회령봉, 서쪽에 태기산 등 높은 산이 솟아 있다. 덕거천과 흥정천이 원길리에서 합류하여 창동리를 지나 평창강으로 흘러들면서 유역에 약간의 평지를 이룬다. 고랭지채소·호프·한우·약초·싸리꿀·잣·굴피 등이 산출된다.
국도가 지나서 교통은 편리하다. 평촌리는 이이의 태임지로 그 유적인 봉산서재가 있다. 남안동은 소설가 이효석의 고향으로 그의 생가터와 문학비가 있다. 진조리 일대에는 1995년 개장된 스키장이 있다. 문화재로는 봉산서재, 팔석정, 팔각정, 태기산 성터 등이 있다.
[그림1. 평창군 전체 지도] [그림2. 봉평면 지도]
3) 지역축제의 정의
지역축제의 개념은 일정한 지리적 범위내에서 지역의 정체성과 공동체성을 회복하고 지역의 동질성과 자립을 추구하는 문화적 활동을 총괄하는 의미로 전통적인 축제의 개념과는 대별되는 의미를 지닌다.
지역축제를 예전에는 향토문화제, 향토축제라는 용어를 사용했고 지금도 농촌지역에서 개최되는 고유한 축제를 향토축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향토축제라는 용어가 고향이라는 선입견으로 인해 고장중심의 이해관계에 빠질수 있고 자기고장중심적 문화는 지역갈등과 지역감정의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어 최근에는 지역축제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지역축제는 전통적 의미로 지역과의 역사적인 상관성속에 생성, 전승된 전통적인 문화유산을 축제화한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다 현실적 차원에서 지역축제를 지역사회의 문화적 정체성에 근원을 두고 대중적이며 주제가 있는 행사 또는 볼거리, 먹거리, 놀거리, 배울거리등을 관광객에게 제공하여 욕구를 충족시키고 관광객들이 실제 다양한 경홈을 할 수 있는 제반의 행사로 인식하여야 한다.
지역축제의 주요기능은 문화의 보전, 지역의 일체감조성, 지역의 이미지 강화, 경제적 파급효과, 관광산업 활성화등의 기능이 있기
그런 이야기 끝에 허 생원은 \'동이\'가 편모만 모시고 살고 있음을 알게 된다. 발을 빗디딘 허 생원은 나귀 등에서 떨어져 물에 빠지고 그걸 \'동이\'가 부축해서 업어 준다. 허 생원은 마음에 짐작되는 데가 있어 \'동이\'에게 물어 보니 그 어머니의 고향 역시 봉평임을 확인한다. 그리고 어둠 속에서도 \'동이\'가 자기처럼 \'왼손잡이\'임을 눈여겨 본다.
이 작품을 읽으면 무엇보다도 한 폭의 수채화와 같은 정경이 떠오른다. 하얀 달빛 아래 흐드러지게 피어 있는 메밀꽃, 그리고 물레방아간의 풍경이 떠오른다. 이 작품은 이러한 시간적 공간적 배경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적 배경은 우선 남녀 간의 사랑을 아름답게 부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실 허 생원과 성 서방네 처녀의 인연은 어떻게 보면 한갓 하룻밤의 애욕에 불과할 수도 있다. 그러나 메밀꽃이 핀 달밤에 정취가 있기에 허 생원은 그날 밤의 인연을 평생 잊지 못하고 살아가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 작품을 읽으면 무엇보다도 한 폭의 수채화(서양화에서, 물감을 물에 풀어서 그린 그림)와 같은 정경이 떠오른다. 하얀 달빛 아래 흐드러지게 피어 있는 메밀꽃, 그리고 물레방아간의 풍경이 떠오른다. 이 작품은 이러한 시간적 공간적 배경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적 배경은 우선 남녀 간의 사랑을 아름답게 부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실 허 생원과 성 서방네 처녀의 인연은 어떻게 보면 한갓 하룻밤의 애욕에 불과할 수도 있다. 그러나 메밀꽃이 핀 달밤에 정취가 있기에 허 생원은 그날 밤의 인연을 평생 잊지 못하고 살아가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것이 소설에 큰 매력이며 또한 배경이 전체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작품을 서정적이고, 시적인 경지로 승화시키는 구실을 하고 있다. 이 작품의 핵심적 모티브는 \'혈육 찾기\'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작품의 배경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봉평 장터와 봉평에서 대화로 가는 길의 달빛과 메밀꽃 그리고 개울은 하나의 산수화를 연상시킨다. 따라서 공간적 배경은 자연과 인간의 친화 또는 조화를 의미하는 낭만적 공간이다. 시간적 배경은 현재의 시간에 허 생원의 과거와 동이와 그의 어머니의 과거가 삽입되고 거기에 다시 동이와 허 생원 그리고 조 선달의 미래가 중첩되어 나타나는 일상적 시간이다. 특히, 자연적 배경이 중심을 이루는데, 달이 비치는 메밀밭과 산길이 향토적 서정이라는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면서 순박한 인물들과 조화를 이루어 허 생원과 동이를 결합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공간적 배경은 강원도 봉평 장터와 봉평에서 대화에 이르는 메밀꽃이 흐드러진 밤길. 메밀꽃 핀 개울가는 단순한 자연적 정경에 그치는 배경이 아니라, \'인생의 인연\'을 상징하여 작품 주제에 직접 관여하고 있다. 그리고, 메밀꽃 핀 산길의 달밤은 낭만적인 자연 배경으로, 허 생원의 옛이야기를 꺼내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봉평\'은 허 생원과 동이 어머니를 만나게 한 곳이면서도 허 생원과 동이를 만나게 한 공간으로 구성상 중요한 구실을 하고 있다. 이런 낭만적인 배경은 작품의 주제를 애수에 찬 그리움으로 이끌어 가고 이러한 시적인 표현은 메밀꽃 축제의 근간이 되는 것이다.
2)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봉평면은 강원도 평창군의 7개면 중 하나로 읍 소재지는 창동리이고 면적은 217.41㎢, 19개 리와 78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는 작은 읍이다. 인구는 총 5070명의 매우 작은 규모의 마을이다. 강원도 평창군의 전체인구가 46,531명이라는 것에 비해면 매우 작은 규모의 읍이다. (봉평면 홈페이지)
북쪽으로 홍천군 내면(內面), 서쪽으로 홍천군 서석면과 횡성군 둔내면, 남쪽으로 방림면, 동쪽으로 진부면·대화면에 접한다. 본래 교주강릉도에 속해 있었으며, 현재의 진부·대화 지역을 포함한 대관령일대의 중심지였다. 원래 기풍면이라 부르다가 1757년 봉평면으로 개칭하였다. 1857년(철종 8) 다시 기풍면으로 개칭하였다가 1877년(고종 14) 봉평면으로 고쳤으며, 1906년 강릉군에서 평창군으로 편입되었다.
북쪽에 흥정산·회령봉, 서쪽에 태기산 등 높은 산이 솟아 있다. 덕거천과 흥정천이 원길리에서 합류하여 창동리를 지나 평창강으로 흘러들면서 유역에 약간의 평지를 이룬다. 고랭지채소·호프·한우·약초·싸리꿀·잣·굴피 등이 산출된다.
국도가 지나서 교통은 편리하다. 평촌리는 이이의 태임지로 그 유적인 봉산서재가 있다. 남안동은 소설가 이효석의 고향으로 그의 생가터와 문학비가 있다. 진조리 일대에는 1995년 개장된 스키장이 있다. 문화재로는 봉산서재, 팔석정, 팔각정, 태기산 성터 등이 있다.
[그림1. 평창군 전체 지도] [그림2. 봉평면 지도]
3) 지역축제의 정의
지역축제의 개념은 일정한 지리적 범위내에서 지역의 정체성과 공동체성을 회복하고 지역의 동질성과 자립을 추구하는 문화적 활동을 총괄하는 의미로 전통적인 축제의 개념과는 대별되는 의미를 지닌다.
지역축제를 예전에는 향토문화제, 향토축제라는 용어를 사용했고 지금도 농촌지역에서 개최되는 고유한 축제를 향토축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향토축제라는 용어가 고향이라는 선입견으로 인해 고장중심의 이해관계에 빠질수 있고 자기고장중심적 문화는 지역갈등과 지역감정의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어 최근에는 지역축제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지역축제는 전통적 의미로 지역과의 역사적인 상관성속에 생성, 전승된 전통적인 문화유산을 축제화한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다 현실적 차원에서 지역축제를 지역사회의 문화적 정체성에 근원을 두고 대중적이며 주제가 있는 행사 또는 볼거리, 먹거리, 놀거리, 배울거리등을 관광객에게 제공하여 욕구를 충족시키고 관광객들이 실제 다양한 경홈을 할 수 있는 제반의 행사로 인식하여야 한다.
지역축제의 주요기능은 문화의 보전, 지역의 일체감조성, 지역의 이미지 강화, 경제적 파급효과, 관광산업 활성화등의 기능이 있기
추천자료
사업계획서-사상의학을 이용한 외식사업의 문화마케팅 전략 연구 및 실천 매뉴얼
신한은행의 문화마케팅 사례분석 및 전략
기업의 문화마케팅과 사례 연구
[디지털][디지털시대][디지털문화][디지털경제][디지털컨텐츠][디지털산업]디지털시대의 디지...
KT&G의 사례를 통해 알아본 기업과 문화마케팅
소니 문화 마케팅 전략 보고서
기업의 문화 마케팅 전략과 역효과
[문화산업]문화산업의 현황 통계, 문화산업의 영화산업 통계, 문화산업의 애니메이션산업 통...
한류컨텐츠 문화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기업의 문화예술 마케팅 전략의 이해 및 사례분석
[공연문화][공연문화 대상][공연문화 장소][공연문화 현황][공연문화 문제점][공연문화 활성...
[현대의 서양문화 C형] 공공조형물은 그것이 세워지는 지역이나 장소의 역사적 사회적 의미와...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 금기어의 분석과 여성 대상 금기어의 분류 - 금기의 정의와 금기어...
고전 소설 연구와 문화 컨텐츠화 [박씨전 해설 박씨전 분석 박씨전 문화 컨텐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