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타액선의 구조
1. 해부학적 구조
2. 타액선의 혈관 및 신경분포
3. 미세구조
Ⅱ. 타액의 일반적 성질
1. 점도
2. 완충능
Ⅲ. 타액 분비
1. 안정시 타액 분비
2. 타액 분비의 무조건 반사
3. 타액 분비의 조건반사
4. 타액 분비의 신경성 조절
5. 타액 분비의 중추신경 조절
Ⅳ. 타액의 형성과 분비 기전
1. 선포 세포에서 일차 타액분비 기전
2. 타액 용액의 분비
3. 분비관에서 원타액 조성의 조절 기전
4. 원타액의 흐름과 속도
Ⅴ. 타액의 성분
1. 유기성분
2. 무기성분
Ⅵ. 타액의 기능
1. 보호기능
2. 소화작용
3. 수분대사의 조절
4. 배설작용
5. 용매작용
1. 해부학적 구조
2. 타액선의 혈관 및 신경분포
3. 미세구조
Ⅱ. 타액의 일반적 성질
1. 점도
2. 완충능
Ⅲ. 타액 분비
1. 안정시 타액 분비
2. 타액 분비의 무조건 반사
3. 타액 분비의 조건반사
4. 타액 분비의 신경성 조절
5. 타액 분비의 중추신경 조절
Ⅳ. 타액의 형성과 분비 기전
1. 선포 세포에서 일차 타액분비 기전
2. 타액 용액의 분비
3. 분비관에서 원타액 조성의 조절 기전
4. 원타액의 흐름과 속도
Ⅴ. 타액의 성분
1. 유기성분
2. 무기성분
Ⅵ. 타액의 기능
1. 보호기능
2. 소화작용
3. 수분대사의 조절
4. 배설작용
5. 용매작용
본문내용
actoperoxidase 등이 있으며 면역단백질로는 분비성 IgG, IgM, IgA가 있다. mucin도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물질로 알려져 있다.
(4) 혈액 응고작용 촉진
타액내에 포함되어 있는 응고인자가 혈액의 응고를 촉진시켜 주기 때문에 발치 후에 발치창 표면의 혈액 응고가 쉽게 일어난다.
(5) 치아의 성숙
치아 표면의 hydroxyapatite는 체액내의 이온들과 치환되거나 새로운 결정체를 형성함으로써 산에 대한 치아 표면의 저항성을 높여준다.
(6) 완충작용
타액내의 중탄산이온은 산형성으로 인한 pH의 감소를 방지하는 완충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치아 표면에서 탈회가 일어나더라도 pH가 알칼리성으로 되면 재석회화가 일어난다.
2. 소화작용
소화효소는 아밀라아제가 중요한데, 가열하여 가공된 녹말을 이당류인 맥아당으로 분해한다.
3. 수분대사의 조절
타액은 하루에 1.5l 정도 분비되고 과호흡, 구호흡시에는 구강을 통해 수증기를 내보냄으로 수분대사에 매우 중요하다. 탈수로 인해 세포외 체액량이 감소하면 타액분비량이 감소하여 구강내가 건조되면 갈증을 느끼게 되고, 물을 섭취함으로써 수분 수지를 유지한다.
4. 배설작용
요소, 암모니아 등과 분자량이 작은 물질은 타액선 세포막을 통과하며, 납, 수은 같은 중금속에 중독되면 타액 내로 이들이 배설된다.
5. 용매작용
타액의 수분은 음식물 속에 포함된 여러 물질의 용매작용을 하며, 이러한 물질은 용해는 미각을 느끼는데 필수적 과정이다.
[참고] 구강생리학, 이종흔/김중수 공저, 군자출판사
치의학을 위한 생리학, 전국치과대학생리학교수협의회, 대한나래출판사
(4) 혈액 응고작용 촉진
타액내에 포함되어 있는 응고인자가 혈액의 응고를 촉진시켜 주기 때문에 발치 후에 발치창 표면의 혈액 응고가 쉽게 일어난다.
(5) 치아의 성숙
치아 표면의 hydroxyapatite는 체액내의 이온들과 치환되거나 새로운 결정체를 형성함으로써 산에 대한 치아 표면의 저항성을 높여준다.
(6) 완충작용
타액내의 중탄산이온은 산형성으로 인한 pH의 감소를 방지하는 완충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치아 표면에서 탈회가 일어나더라도 pH가 알칼리성으로 되면 재석회화가 일어난다.
2. 소화작용
소화효소는 아밀라아제가 중요한데, 가열하여 가공된 녹말을 이당류인 맥아당으로 분해한다.
3. 수분대사의 조절
타액은 하루에 1.5l 정도 분비되고 과호흡, 구호흡시에는 구강을 통해 수증기를 내보냄으로 수분대사에 매우 중요하다. 탈수로 인해 세포외 체액량이 감소하면 타액분비량이 감소하여 구강내가 건조되면 갈증을 느끼게 되고, 물을 섭취함으로써 수분 수지를 유지한다.
4. 배설작용
요소, 암모니아 등과 분자량이 작은 물질은 타액선 세포막을 통과하며, 납, 수은 같은 중금속에 중독되면 타액 내로 이들이 배설된다.
5. 용매작용
타액의 수분은 음식물 속에 포함된 여러 물질의 용매작용을 하며, 이러한 물질은 용해는 미각을 느끼는데 필수적 과정이다.
[참고] 구강생리학, 이종흔/김중수 공저, 군자출판사
치의학을 위한 생리학, 전국치과대학생리학교수협의회, 대한나래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