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홍콩의 일반정보
1.일반 현황
2.경제 현황
Ⅱ한국과 교역현황
1.교역 현황
2.투자 현황
3.진출업체, 금융기관 현황
4.인적 교류 및 항공기 운항
5.민간경제협력
6.재외동포관계
7.협정체결
Ⅲ홍콩 문화와 생활
1.홍콩의 문화
2.사회 일반
3.치안
Ⅳ홍콩의 국민성
Ⅴ홍콩시장특성 및 상거래문화
1.시장의 특성
2.홍콩의 경쟁력
3.홍콩의 상거래문화
Ⅵ홍콩경제의 특징
1.경제 개황
2.투자환경 및 제도
Ⅶ주의사항
1.일반 현황
2.경제 현황
Ⅱ한국과 교역현황
1.교역 현황
2.투자 현황
3.진출업체, 금융기관 현황
4.인적 교류 및 항공기 운항
5.민간경제협력
6.재외동포관계
7.협정체결
Ⅲ홍콩 문화와 생활
1.홍콩의 문화
2.사회 일반
3.치안
Ⅳ홍콩의 국민성
Ⅴ홍콩시장특성 및 상거래문화
1.시장의 특성
2.홍콩의 경쟁력
3.홍콩의 상거래문화
Ⅵ홍콩경제의 특징
1.경제 개황
2.투자환경 및 제도
Ⅶ주의사항
본문내용
가 없음
(6)인구 : 689.5만(2004년 말)
(7)민족 : 한족(95% 이상)
(8)언어 : 중국어(공용어: 廣東語, 상용어:普通話), 영어(통용어)
(9)종교 : 도교, 불교가 다수이며 기독교, 이슬람교, 힌두교 등이 있음
(갈등요인은 거의 없음)
(10)건국일 : 1997년 7월 1일 (홍콩특별행정구 성립일)
2.경제현황
(1)화페단위 : 홍콩달러(HKD).1US$ =1.79HKD(고정환율제)
(2)총교역(2004) : 5,295억 미불
(3)수출(2004) : 2,588억 미불(FOP가격기준)
(4)수입(2004) : 2,706억 미불(CIF가격기준)
(5)GDP(2004) : 1,887억 미불
(6)GDP 성장률(2004) : 8.1%(한국의 28%)
(7)1인당 GDP(2004) : 23,900미불
(8)실업률(2004) : 6.8%
(9)물가상승률(2004) : -0.4
(10)외환보유고(2004) : 1,236억 미불
(11)산업구조 : 금융. 보험. 부동산(25.65%), 도소매. 무역. 요식(24.0%),
공공 및 개인 서비스(19.9%), 운송. 통신(9.3%),
제조업(6.2%), 건설업(6.1%) (2004년 3/4분기 기준 홍콩통계청)
(12)무역수출국 : 중국, 미국, 일본, 영국, 독일 등
(13)무역수입국 : 중국, 일본, 미국, 대만, 싱가폴, 한국 등
(14)주요수출물품(2004) : 섬유, 전기, 전자, 완구, 시계
(15)주요수입물품(2004) : 섬유, 전기, 완구, 기계, 식료품
Ⅱ한국과 교역현황
1.교역현황
2004년말 현재, 한국의 4대 수출시장(중국, 미국, 일본, 홍콩 순) 이며
제2위의 무역흑자지역
※ 한국은 홍콩의 6대 수입국(중국, 일본, 대만, 미국, 싱가폴 順)
91년
95년
00년
01년
02년
03년
04년
수 출
4,769
10,682
10,708
9,452
10,146
14,654
18,127
수 입
773
838
1,261
1,228
1,695
2,735
3,268
교역량
5,542
11,520
11,969
10,680
11,841
17,389
21,395
수지(+)
3,996
9,844
9,447
8,224
8,451
11,919
14,859
대홍콩 교역(단위 : US$백만)
- 주요 수출품 : 전자제품, 전자부폼, 금속광물, 수송기계, 석유화학제품, 철강 등
- 주요 수입품 : 금속광물, 전자부품, 산업용 전자제품, 중전기기, 기초산업기계 등
2.투자 현황
우리의 대홍콩투자 (05. 3월말 총누계) : 664건, 2,029백반미불
- 04년도 이전 : 660건, 1,971백만미불
※ 홍콩은 우리의 5대 투자국
\'90이전
\'95
\'00
\'01
\'02
\'03
\'04
05.3월말누계
대홍콩투자
47
87
248
99
227
105
176
2,029
대한 투자
226
58
123
167
234
55
88
1,921
투 자 현 황(단위 : US$백만)
※ 한국의 대홍콩 투자는 무역업과 금융업이 주류
3.진출업체, 금융기관 현황
(1)진출업체 : 400여개 (7개 종합상사 및 교포기업 포함)
(2)은 행 : 11개(사무소 1, 현지법인 10)
(3)제2금융권 : 10개(증권 7, 보험 2, 리스 1, )
4.인적 교류 및 항공기 운항
(1)인적교류 현황(2004년)
- 한국인의 홍콩방문객 : 53.9만명(홍콩 통계)
- 홍콩인의 한국방문객 : 15.6만명 (한국 통계)
(2)서울-홍콩 항공기 운항 현황(定期, 週) : 63회
- 한국항공사 : 28회(KAL 14회, ASIANA 14회)
- 홍콩항공사 : 28회(Cathay Pacific 28회)
- Thai Air : 7회
(3)홍콩 특별행정구 여권소지자 무사증 입국(90일 이내) 허용
- 홍콩측도 우리국민에게 90일 이내 무사증 입국허용
5.민간 경제협력
(1)한·홍콩 재계 대표회의(Korea-H.K. Business Round Table) 운영 - 93.12. 한.홍콩 재계대표회의 창립총회 홍콩개최
(한국무역협회와 홍 콩 무역발전국(TDC) 공동 주최)
⇒한·홍콩간 경제·통상 증진 및 대중국 공동 진출 협력 기반 마련
- 04. 12월까지 한국 및 홍콩을 순번제로 11차례 회의 개최
- 12차 회의, \'05년 하반기 중 한국에서 개최예정
6.재외동포관계
(1)동포현황 : 5,325명 (영주권자 2,227명 , 체류자 3,098명) (2003.7월 현재) - 동포들은 주로 과거 상사지사 근무 경력을 가진 자들로 무기한 장기 체류 비자 소지 (7년이상 거주자에게 영주권 부여)
- 대부분 무역, 여행업, 요식업에 종사하며 경제적으로 비교적 안정된 생활 영위 (2)주요 동포 단체 : 한인회(49. 3 창립, 회원수 4,000명), 한인상공인회(76. 7 창립, 회원사 243개), 한인체육회(94.5 창립), 평통지회(14명),
한인여성회, 한인장자회
(3)한국국제학교 : 94. 2. 개교, 영어명 Korea Internaitional School,
명실공히 국제학교를 지향, 한국어 학부와 영어학부를 두고있으며, 학생수 353명 (11개국) - 전신인 한국학교는 88년 개교
(4)토요학교 : 60. 8. 개교, 학생수 약 420명
7.협정체결
(1) 1996. 3 항공협정 서명
(2) 1997. 5 주홍콩 특별행정구 대한민국 총영사관 유지협정(각서교환)
(3) 1997. 6 투자보장 협정 서명(1997. 7. 30 발효)
(4) 1998. 11 형사사법 공조협정 서명
(5) 2001.11.8 정보 통신 기술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6) 2002. 6 범죄인인도조약 가서명(2004년말 발효를 목표로 각자 내부 절차중)
(7) 2004. 11 문화협력양해각서 발효
Ⅲ홍콩 문화와 생활
1.홍콩의 문화
680만 인구의 역동적이며, 미래 지향적인 국제도시 홍콩은 증권시장의 빠르게 돌아가는 시황속보와 질주하는 경마의 말발굽 소리로 진동하고 세계 수많은 언어들이 한데 뒤섞여 초고속 모뎀처럼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홍콩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그 넘치는 에너지 속에서 다양하고 다국적인 면들과 부
(6)인구 : 689.5만(2004년 말)
(7)민족 : 한족(95% 이상)
(8)언어 : 중국어(공용어: 廣東語, 상용어:普通話), 영어(통용어)
(9)종교 : 도교, 불교가 다수이며 기독교, 이슬람교, 힌두교 등이 있음
(갈등요인은 거의 없음)
(10)건국일 : 1997년 7월 1일 (홍콩특별행정구 성립일)
2.경제현황
(1)화페단위 : 홍콩달러(HKD).1US$ =1.79HKD(고정환율제)
(2)총교역(2004) : 5,295억 미불
(3)수출(2004) : 2,588억 미불(FOP가격기준)
(4)수입(2004) : 2,706억 미불(CIF가격기준)
(5)GDP(2004) : 1,887억 미불
(6)GDP 성장률(2004) : 8.1%(한국의 28%)
(7)1인당 GDP(2004) : 23,900미불
(8)실업률(2004) : 6.8%
(9)물가상승률(2004) : -0.4
(10)외환보유고(2004) : 1,236억 미불
(11)산업구조 : 금융. 보험. 부동산(25.65%), 도소매. 무역. 요식(24.0%),
공공 및 개인 서비스(19.9%), 운송. 통신(9.3%),
제조업(6.2%), 건설업(6.1%) (2004년 3/4분기 기준 홍콩통계청)
(12)무역수출국 : 중국, 미국, 일본, 영국, 독일 등
(13)무역수입국 : 중국, 일본, 미국, 대만, 싱가폴, 한국 등
(14)주요수출물품(2004) : 섬유, 전기, 전자, 완구, 시계
(15)주요수입물품(2004) : 섬유, 전기, 완구, 기계, 식료품
Ⅱ한국과 교역현황
1.교역현황
2004년말 현재, 한국의 4대 수출시장(중국, 미국, 일본, 홍콩 순) 이며
제2위의 무역흑자지역
※ 한국은 홍콩의 6대 수입국(중국, 일본, 대만, 미국, 싱가폴 順)
91년
95년
00년
01년
02년
03년
04년
수 출
4,769
10,682
10,708
9,452
10,146
14,654
18,127
수 입
773
838
1,261
1,228
1,695
2,735
3,268
교역량
5,542
11,520
11,969
10,680
11,841
17,389
21,395
수지(+)
3,996
9,844
9,447
8,224
8,451
11,919
14,859
대홍콩 교역(단위 : US$백만)
- 주요 수출품 : 전자제품, 전자부폼, 금속광물, 수송기계, 석유화학제품, 철강 등
- 주요 수입품 : 금속광물, 전자부품, 산업용 전자제품, 중전기기, 기초산업기계 등
2.투자 현황
우리의 대홍콩투자 (05. 3월말 총누계) : 664건, 2,029백반미불
- 04년도 이전 : 660건, 1,971백만미불
※ 홍콩은 우리의 5대 투자국
\'90이전
\'95
\'00
\'01
\'02
\'03
\'04
05.3월말누계
대홍콩투자
47
87
248
99
227
105
176
2,029
대한 투자
226
58
123
167
234
55
88
1,921
투 자 현 황(단위 : US$백만)
※ 한국의 대홍콩 투자는 무역업과 금융업이 주류
3.진출업체, 금융기관 현황
(1)진출업체 : 400여개 (7개 종합상사 및 교포기업 포함)
(2)은 행 : 11개(사무소 1, 현지법인 10)
(3)제2금융권 : 10개(증권 7, 보험 2, 리스 1, )
4.인적 교류 및 항공기 운항
(1)인적교류 현황(2004년)
- 한국인의 홍콩방문객 : 53.9만명(홍콩 통계)
- 홍콩인의 한국방문객 : 15.6만명 (한국 통계)
(2)서울-홍콩 항공기 운항 현황(定期, 週) : 63회
- 한국항공사 : 28회(KAL 14회, ASIANA 14회)
- 홍콩항공사 : 28회(Cathay Pacific 28회)
- Thai Air : 7회
(3)홍콩 특별행정구 여권소지자 무사증 입국(90일 이내) 허용
- 홍콩측도 우리국민에게 90일 이내 무사증 입국허용
5.민간 경제협력
(1)한·홍콩 재계 대표회의(Korea-H.K. Business Round Table) 운영 - 93.12. 한.홍콩 재계대표회의 창립총회 홍콩개최
(한국무역협회와 홍 콩 무역발전국(TDC) 공동 주최)
⇒한·홍콩간 경제·통상 증진 및 대중국 공동 진출 협력 기반 마련
- 04. 12월까지 한국 및 홍콩을 순번제로 11차례 회의 개최
- 12차 회의, \'05년 하반기 중 한국에서 개최예정
6.재외동포관계
(1)동포현황 : 5,325명 (영주권자 2,227명 , 체류자 3,098명) (2003.7월 현재) - 동포들은 주로 과거 상사지사 근무 경력을 가진 자들로 무기한 장기 체류 비자 소지 (7년이상 거주자에게 영주권 부여)
- 대부분 무역, 여행업, 요식업에 종사하며 경제적으로 비교적 안정된 생활 영위 (2)주요 동포 단체 : 한인회(49. 3 창립, 회원수 4,000명), 한인상공인회(76. 7 창립, 회원사 243개), 한인체육회(94.5 창립), 평통지회(14명),
한인여성회, 한인장자회
(3)한국국제학교 : 94. 2. 개교, 영어명 Korea Internaitional School,
명실공히 국제학교를 지향, 한국어 학부와 영어학부를 두고있으며, 학생수 353명 (11개국) - 전신인 한국학교는 88년 개교
(4)토요학교 : 60. 8. 개교, 학생수 약 420명
7.협정체결
(1) 1996. 3 항공협정 서명
(2) 1997. 5 주홍콩 특별행정구 대한민국 총영사관 유지협정(각서교환)
(3) 1997. 6 투자보장 협정 서명(1997. 7. 30 발효)
(4) 1998. 11 형사사법 공조협정 서명
(5) 2001.11.8 정보 통신 기술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6) 2002. 6 범죄인인도조약 가서명(2004년말 발효를 목표로 각자 내부 절차중)
(7) 2004. 11 문화협력양해각서 발효
Ⅲ홍콩 문화와 생활
1.홍콩의 문화
680만 인구의 역동적이며, 미래 지향적인 국제도시 홍콩은 증권시장의 빠르게 돌아가는 시황속보와 질주하는 경마의 말발굽 소리로 진동하고 세계 수많은 언어들이 한데 뒤섞여 초고속 모뎀처럼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홍콩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그 넘치는 에너지 속에서 다양하고 다국적인 면들과 부
추천자료
[정보화사회][정보사회][정보윤리][정보윤리문제][정보윤리교육][정보윤리과제]정보화사회에...
[정보화사회][정보사회][정보화][정보화정책][정보통신기술]정보화사회(정보사회)의 도래에 ...
[정보화사회][정보사회][정보통신기술]정보화사회(정보사회) 양극성, 정보화사회(정보사회) ...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혁명,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발전,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영향과...
[중소기업][중소기업 정보화][중소기업 정보화 사례][중소기업 정보화 촉진방향]중소기업의 ...
[학술정보][학술연구][학술지]학술정보(학술연구, 학술자료, 학술지)의 범위와 학술정보(학술...
[IT산업][정보기술산업]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특성,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전문인력, IT...
[ICT]미국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 영국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 스페인의 정보...
미국의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네덜란드의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캐나다와 핀란드...
영국과 캐나다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호주와 뉴질랜드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정보혁명][정보혁명 발달][정보혁명 쟁점][정보혁명 전망][정보혁명 시사점]정보혁명의 개념...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필요성과 목표,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계획, NGIS(국가지...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정책, 캐나다와 미국의 정보통신기술(ICT)...
[IT인력, 정보기술인력, 수요증가]IT인력(정보기술인력)의 필요성, IT인력(정보기술인력)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