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1~68번
정답
정답
본문내용
화석
⑤ 여러 대륙의 빙하의 분포와 빙하의 이동 방향
62. 어떤 지역의 단층 단면도가 오른쪽 그림과 같았다. 이 곳은 과거에 몇 번의 융기와 침강이 있었겠는가 ?
융기 침강
① 1 번 1 번
② 2 번 2 번
③ 2 번 3 번
④ 3 번 2 번
⑤ 3 번 3 번
63. 다음 <그림>은 지진계의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지진이 발생했을 때 전혀 움직이지 않는 것은 ?
① 추
② 지지대
③ 기록 장치
④ 기반암
⑤ 모두 움직인다.
64. 어떤 물질에 P파만이 전파되었다고 한다면 이 물질의 상태는 ?
① 고체 상태
② 액체 상태
③ 기체 상태
④ 액체 아니면 기체 상태
⑤ 고체, 액체, 기체 상태가 모두 될 수 있다.
65. 다음 중, 지각 변동에 의하여 이루어진 구조라고 볼 수 없는 것은 ?
① 습곡 ② 정합
③ 정단층 ④ 역단층
⑤ 부정합
66. 다음 <그림>과 같은 지층을 보고 우리가 알 수 있는 사실은 무엇인가 ?
① 지층의 생성 시기
② 지층의 생성 원인
③ 지각 변동의 종류
④ 지층에 작용하는 힘
⑤ 지층의 생성 순서
67. 지층에 수평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
① 습곡 ② 정단층
③ 역단층 ④ 조산 운동
⑤ 조륙 운동
68. 조산 운동에 의한 습곡 산맥이 주로 분포하고 있는 곳은 ?
① 깊은 바다 밑
② 얕은 바다 밑
③ 대륙의 가장자리
④ 대륙의 중심 부분
⑤ 적도 부근
기출문제
내신문제연구소
1. ②
마그마가 지표 근처에 모이면 마그마 속의 수증기의 압력이 증가하여 마침내 폭발하게 된다. 이것은 사이다 병 속의 기체가 뿜어져 나오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2. ③
지층이 힘을 받아 실험과 같은 원리로 끊어지는 것이 단층이다. 이 때 지층의 흔들림이 암석을 타고 지표로 전달되는 것이 지진이다.
3. ③
습곡 구조에서 볼록하게 올라간 봉우리를 배사라 한다.
4. ④
(가)는 상반이 미끄러져 내려왔으므로 정단층, (나)는 상반이 올라갔으므로 역단층의 모형이다.
5. ⑤
습곡 산맥이 형성될 정도로 두꺼운 퇴적층이 쌓이는 곳은 대륙의 주변이다.
6. ⑤
융기 침강
부정합의 형성 과정 : 퇴적 → 습곡 → 침식 → 퇴적
7. ④
8. ③
한라산에는 화구호, 백두산에는 칼데라 호가 있다.
9. ⑤
용암이 식어서 굳어진 암석을 화산암이라고 한다.
10. ②
PS시는 P파가 도달하고 나서 S파가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이다.
11. ④
12. ④
13. ③
바다에서 지진이 발생하면 해일이 일어난다.
14. ④
마그마가 지표 밖으로 나온 것을 용암이라고 한다.
15. ③
①, ②, ④, ⑤는 S파에 대한 설명이다.
16. 습곡
지층이 휘어져 구부러진 것을 습곡이라고 한다.
17. ①
18. ③
습곡 산맥은 조산 운동에 의한 것이다.
19. ⑤
기반암(가) → 모질물(다) → 표토(가) → 점토(나)
20. ④
칼데라는 화산 활동에 의한 지형이다.
21. ②
①, ③, ④, ⑤에 의하여 높은 곳은 깍이고 낮은 곳은 높아져서 지형이 평탄해진다. 습곡과 단층은 조산 운동이다.
22. ④
화산 쇄설물에는 화산 가스, 용암, 화산 쇄설물이 있다.
23. ③
①과 ⑤는 지하수의 작용, ②와 ④는 유수의 작용으로 생긴 지형이다.
24. ⑤
지진파는 성질이 다른 두 물질의 경계면에서는 빛과 같이 반사하거나 굴절한다.
25. ①
조륙 운동은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일어난다.
26. ⑤
이곳은 빙하 시대에 그 위에 덮였던 빙하가 녹음으로써 융기한다고 추측된다.
27. ①
28. ①
29. ④
30. ②
31. ③
32. ②
33. ①
34. ②
35. ④
36. ①
37. ④
38. ①
39. ①
보기의 ①은 정합, ②는 습곡, ③은 정단층, ④는 부정합이다.
40. ③
지층에 수직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수직 단층이 만들어진다.
41. ④
보기의 왼쪽 그림은 역단층, 오른쪽 그림은 습곡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구조는 지층에 횡압력이 작용할 때 만들어진다.
42. ④
습곡의 모양은 지층이 받는 압력의 크기나 방향에 따라 다르다.
43. ②
44. ④
습곡과 역단층에는 황압력, 정단층에는 장력이 작용한다.
45. ②
46. ①
조산 운동은 퇴적 단계→습곡단층 및 변성 단계→산맥 형성 단계를 거친다.
47. ③
48. ②
지각이 침식과 풍화를 받아 가벼워지면 융기하고, 퇴적되어 무거워지면 침강한다.
49. ⑤
한 쪽이 올라간 역단층이다.
50. ①
해안 단구는 조륙 운동에 의하여 생긴다.
51. ④
동식물의 유해는 풍파와는 관계없다.
52. ③
퇴적 작용은 물의 흐름이 느린 강의 안쪽에서 활발히 일어난다.
53. ①
우각호는 곡류의 한 쪽이 끊겨서 생긴다.
54. ②
육지가 튀어나온 부분이 깍여 움푹 패인 곳에 쌓여 해안선이 단조로와 진다.
55. ④
그림은 경사가 완만하고 폭이 넓은 U자 모양의 계곡이다.
56. ②
A에는 자갈, B에는 모래, C에는 진흙이 퇴적된다.
57. ②
이집트의 피라미드는 역사 시대에 만들어졌고, 미라는 인공적으로 만든 것이므로 화석이 아니다.
58. ⑤
삼엽층은 고생대를 대표하는 표준 화석이다.
59. ⑤
고사리는 따뜻하고 습한 늪지대에서 사는 식물이다.
60. ①
습곡, 단층, 변성 작용을 받은 두꺼운 퇴적층이 융기한 것이 습곡 산맥이다.
61. ④, ⑤
약 2억 년 전에는 대륙이 한 덩어리였으나 그 후 분열하고 이동하여 현재와 같은 대륙이 형성되었다는 설이다.
62. ④
부정합면 위에는 대개 알갱이가 굵은 역암이 있는데 그림에서는 부정합면이 2곳 있다.
63. ①
실에 매달린 추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땅과 같이 흔들리므로 지진이 기록되게 된다.
64. ④
S파는 고체만을 통과하므로, P파만 통가했다면 액체 아니면 기체이다.
65. ②
정합은 지각 변동없이 순차적으로 지층이 쌓인 것이다.
66. ⑤
그림은 정합으로 아래 지층이 먼저 생긴 것을 알 수 있다.
67. ⑤
조륙 운동은 상하 방향의 힘에 의하여 일어난다. (융기와 침강)
68. ③
습곡 산맥은 대륙의 가장자리에 생긴다.
⑤ 여러 대륙의 빙하의 분포와 빙하의 이동 방향
62. 어떤 지역의 단층 단면도가 오른쪽 그림과 같았다. 이 곳은 과거에 몇 번의 융기와 침강이 있었겠는가 ?
융기 침강
① 1 번 1 번
② 2 번 2 번
③ 2 번 3 번
④ 3 번 2 번
⑤ 3 번 3 번
63. 다음 <그림>은 지진계의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지진이 발생했을 때 전혀 움직이지 않는 것은 ?
① 추
② 지지대
③ 기록 장치
④ 기반암
⑤ 모두 움직인다.
64. 어떤 물질에 P파만이 전파되었다고 한다면 이 물질의 상태는 ?
① 고체 상태
② 액체 상태
③ 기체 상태
④ 액체 아니면 기체 상태
⑤ 고체, 액체, 기체 상태가 모두 될 수 있다.
65. 다음 중, 지각 변동에 의하여 이루어진 구조라고 볼 수 없는 것은 ?
① 습곡 ② 정합
③ 정단층 ④ 역단층
⑤ 부정합
66. 다음 <그림>과 같은 지층을 보고 우리가 알 수 있는 사실은 무엇인가 ?
① 지층의 생성 시기
② 지층의 생성 원인
③ 지각 변동의 종류
④ 지층에 작용하는 힘
⑤ 지층의 생성 순서
67. 지층에 수평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
① 습곡 ② 정단층
③ 역단층 ④ 조산 운동
⑤ 조륙 운동
68. 조산 운동에 의한 습곡 산맥이 주로 분포하고 있는 곳은 ?
① 깊은 바다 밑
② 얕은 바다 밑
③ 대륙의 가장자리
④ 대륙의 중심 부분
⑤ 적도 부근
기출문제
내신문제연구소
1. ②
마그마가 지표 근처에 모이면 마그마 속의 수증기의 압력이 증가하여 마침내 폭발하게 된다. 이것은 사이다 병 속의 기체가 뿜어져 나오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2. ③
지층이 힘을 받아 실험과 같은 원리로 끊어지는 것이 단층이다. 이 때 지층의 흔들림이 암석을 타고 지표로 전달되는 것이 지진이다.
3. ③
습곡 구조에서 볼록하게 올라간 봉우리를 배사라 한다.
4. ④
(가)는 상반이 미끄러져 내려왔으므로 정단층, (나)는 상반이 올라갔으므로 역단층의 모형이다.
5. ⑤
습곡 산맥이 형성될 정도로 두꺼운 퇴적층이 쌓이는 곳은 대륙의 주변이다.
6. ⑤
융기 침강
부정합의 형성 과정 : 퇴적 → 습곡 → 침식 → 퇴적
7. ④
8. ③
한라산에는 화구호, 백두산에는 칼데라 호가 있다.
9. ⑤
용암이 식어서 굳어진 암석을 화산암이라고 한다.
10. ②
PS시는 P파가 도달하고 나서 S파가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이다.
11. ④
12. ④
13. ③
바다에서 지진이 발생하면 해일이 일어난다.
14. ④
마그마가 지표 밖으로 나온 것을 용암이라고 한다.
15. ③
①, ②, ④, ⑤는 S파에 대한 설명이다.
16. 습곡
지층이 휘어져 구부러진 것을 습곡이라고 한다.
17. ①
18. ③
습곡 산맥은 조산 운동에 의한 것이다.
19. ⑤
기반암(가) → 모질물(다) → 표토(가) → 점토(나)
20. ④
칼데라는 화산 활동에 의한 지형이다.
21. ②
①, ③, ④, ⑤에 의하여 높은 곳은 깍이고 낮은 곳은 높아져서 지형이 평탄해진다. 습곡과 단층은 조산 운동이다.
22. ④
화산 쇄설물에는 화산 가스, 용암, 화산 쇄설물이 있다.
23. ③
①과 ⑤는 지하수의 작용, ②와 ④는 유수의 작용으로 생긴 지형이다.
24. ⑤
지진파는 성질이 다른 두 물질의 경계면에서는 빛과 같이 반사하거나 굴절한다.
25. ①
조륙 운동은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일어난다.
26. ⑤
이곳은 빙하 시대에 그 위에 덮였던 빙하가 녹음으로써 융기한다고 추측된다.
27. ①
28. ①
29. ④
30. ②
31. ③
32. ②
33. ①
34. ②
35. ④
36. ①
37. ④
38. ①
39. ①
보기의 ①은 정합, ②는 습곡, ③은 정단층, ④는 부정합이다.
40. ③
지층에 수직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수직 단층이 만들어진다.
41. ④
보기의 왼쪽 그림은 역단층, 오른쪽 그림은 습곡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구조는 지층에 횡압력이 작용할 때 만들어진다.
42. ④
습곡의 모양은 지층이 받는 압력의 크기나 방향에 따라 다르다.
43. ②
44. ④
습곡과 역단층에는 황압력, 정단층에는 장력이 작용한다.
45. ②
46. ①
조산 운동은 퇴적 단계→습곡단층 및 변성 단계→산맥 형성 단계를 거친다.
47. ③
48. ②
지각이 침식과 풍화를 받아 가벼워지면 융기하고, 퇴적되어 무거워지면 침강한다.
49. ⑤
한 쪽이 올라간 역단층이다.
50. ①
해안 단구는 조륙 운동에 의하여 생긴다.
51. ④
동식물의 유해는 풍파와는 관계없다.
52. ③
퇴적 작용은 물의 흐름이 느린 강의 안쪽에서 활발히 일어난다.
53. ①
우각호는 곡류의 한 쪽이 끊겨서 생긴다.
54. ②
육지가 튀어나온 부분이 깍여 움푹 패인 곳에 쌓여 해안선이 단조로와 진다.
55. ④
그림은 경사가 완만하고 폭이 넓은 U자 모양의 계곡이다.
56. ②
A에는 자갈, B에는 모래, C에는 진흙이 퇴적된다.
57. ②
이집트의 피라미드는 역사 시대에 만들어졌고, 미라는 인공적으로 만든 것이므로 화석이 아니다.
58. ⑤
삼엽층은 고생대를 대표하는 표준 화석이다.
59. ⑤
고사리는 따뜻하고 습한 늪지대에서 사는 식물이다.
60. ①
습곡, 단층, 변성 작용을 받은 두꺼운 퇴적층이 융기한 것이 습곡 산맥이다.
61. ④, ⑤
약 2억 년 전에는 대륙이 한 덩어리였으나 그 후 분열하고 이동하여 현재와 같은 대륙이 형성되었다는 설이다.
62. ④
부정합면 위에는 대개 알갱이가 굵은 역암이 있는데 그림에서는 부정합면이 2곳 있다.
63. ①
실에 매달린 추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땅과 같이 흔들리므로 지진이 기록되게 된다.
64. ④
S파는 고체만을 통과하므로, P파만 통가했다면 액체 아니면 기체이다.
65. ②
정합은 지각 변동없이 순차적으로 지층이 쌓인 것이다.
66. ⑤
그림은 정합으로 아래 지층이 먼저 생긴 것을 알 수 있다.
67. ⑤
조륙 운동은 상하 방향의 힘에 의하여 일어난다. (융기와 침강)
68. ③
습곡 산맥은 대륙의 가장자리에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