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심내용정리
2. 핵심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 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2. 핵심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 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者 兄弟’에서 ‘者’의 뜻은 ? (영등포, 경희)
① 사람② ~의
③ ~것④ 얻다
13. 다음 낱말의 독음이 바른 것은 ? (가원, 이수)
① 倫理 : 윤리② 人倫 : 인윤
③ 禮節 : 예의④ 問責 : 문제
14. 다음 한자를 잘못 쓴 것은 ? (언북, 광명북)
① 눈-目② 알다-織
③ 우물-井④ 밝다-明
⑤ 아래-下
15. 다음 중, ‘사람의 견문이 좁음’을 비유하는 성어는 ? (성덕여, 대명)
① 東問西答② 坐井觀天
③ 九死一生④ 我田引水
⑤ 無
16. 다음 ( )에 들어갈 문장 성분은 ? (한산, 세륜)
百聞 不如 一見
주어 서술어 ( )
① 보어② 관형어
③ 부사어④ 목적어
⑤ 서술어
17. 다음 중 ‘友’와 뜻이 같은 자는 ? (고려사대부속, 중동)
① 忠② 朋
③ 君④ 孝
18. ‘孝’를 활용한 것이 어색한 것은 ? (언주, 선화예술)
① 孝心② 孝子
③ 忠孝④ 孝父
19. 다음 중 짜임이 다른 한자어는 ? (도곡, 은광여)
① 夫婦② 朋友
③ 兄弟④ 父母
20. 다음 중 ‘착하다’는 뜻의 한자는 ? (영동, 단대사대부속)
① 家② 戶
③ 善④ 益
21. 다음 중 ‘모양’을 뜻하는 한자는 ? (오금, 선정여)
① 長② 形
③ 松④ 揚
22. 다음 중 사시사철 시들지 않는 나무는 ? (상명사대부속, 세화여)
① 柳② 楓
③ 果④ 松
23. 다음 중 ‘白’의 의미가 다른 하나는 ? (풍납여, 방학)
① 明白② 白雪
③ 白色④ 白馬
24. 다음 중 ‘年’과 같은 뜻의 한자는 ? (동명여, 정신여)
① 日② 歲
③ 辰④ 月
25. 다음 중 ‘是’의 상대어로 가장 알맞은 것은 ? (일신여, 선정여)
① 非② 無
③ 有④ 不
26. 다음 중 부정사가 아닌 것은 ? (영도, 원촌)
① 無② 不
③ 非④ 有
27. 다음의 한자들의 공통점은 ? (오륜, 공릉)
養 陽 揚 羊
① 뜻이 같다.② 둘 이상의 음을 가졌다.
③ 음이 같다.④ 부수를 제외한 획수가 같다.
28. 다음 중 두음 법칙이 적용되는 한자는 ? (온곡, 한일)
① 落② 松
③ 戶④ 節
29. 다음 중 제부수한자가 아닌 것은 ? (진선여, 광남)
① 色② 戶
③ 長④ 是
30. ‘道’가 ‘말하다’의 뜻으로 쓰인 것은 ? (영등포, 신구)
① 人道② 孝道
③ 報道④ 車道
⑤ 道德
31. 다음 중 부수가 서로 같지 않은 것은 ? (잠신, 문창)
① 必-恭② 兒-兄
③ 慈-思④ 要-妻
⑤ 孝-孫
32. 다음 한자들의 공통점은 ? (신목, 잠실)
孝 兄 告 重
① 부수의 위치가 같다.② 총획수가 같다.
③ 부수를 제외한 획수가 같다.④ 모두 회의자이다.
⑤ 뜻이 같다.
33. 다음 중 한자어의 독음이 옳지 않은 것은 ? (오주, 서울여)
① 忠孝 : 충효② 父子 : 부자
③ 必要 : 필요④ 師弟 : 사재
⑤ 敬老 : 경로
핵심기출문제 ………
1. ③
必 : 心부 1획
2. ③
회의자
3. ⑤
‘주어+서술어, 주어+서술어’의 짜임이 아닌 것을 찾을 것.
4. ④
‘弟’는 ‘아우’라는 뜻 뿐 아니라 ‘제자’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5. ①
② 아와 자
③ 필과 심
④ 제와 재
⑤ 후와 호
6. ③
받침 중 책받침()은 나중에 쓴다.
7. ③
動(동) : 움직이다
勤(근) : 부지런하다
8. ①
상형자 : 飛, 高, 山
형성자 : 苦, 活, 顔, 淺, 花
회의자 : 林, 明
9. ②
‘주술 관계’의 짜임은 ‘~가 ~어떠하다’로 풀이 된다.
① 수식, ③ 대등, ④ 대립, ⑤ 수식
10. ④
부수, 색인에 들어 있는 한자는 제부수의 한자이다.
幸(干, 5)
11. ②12. ③ 13. ①
14. ②
알다-識
짜다-織
15. ②
東問西答 : 엉뚱한 대답.
九死一生 : 간신히 살아남.
16. ①
주술보 문장
17. ②18. ④ 19. ②
20. ③
① 家(집 가) ② 戶(집 호)
③ 善(착할 선) ④ 益(더할 익)
21. ②
① 長(길 장) ② 形(모양 형)
③ 松(소나무 송)
④ 揚(드날릴 양)
22. ④
③ 課(과실 과)
④ 松(소나무 송)
23. ①
① 밝다 : 明白
② 희다 : 白雪, 白色, 白馬
24. ②
年(해 년)=歲(해 세)
25. ①
是(옳다)↔非(그르다)
26. ④
無(없을 무) 不(아닐 불)
非(아닐 비)
27. ③
養(기를 양) 陽(볕 양)
揚(드날릴 양) 羊( 양양)
28. ①
落(떨어질 락)
29. ④
是의부수는 ‘日’
30. ③
‘道’는 ‘길, 말하다, 방법’ 등의 뜻이 있다.
31. ④
‘恭’의 부수는 ‘心’, ‘要’의 부수는 ‘’
32. ①
‘重’의 부수는 ‘里’임.
33. ④
1. 다음 문장의 빈 칸에 적당한 한자를 쓰시오. (환일, 대청)
孝는 百行之□이라.
2. ‘責善 朋友之道’에서 ‘責’의 뜻을 쓰시오. (신동, 명지여)
3. 다음 □ 안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대림, 이수)
吾鼻三□ : 내 코가 석 자이다.
4. 다음 □ 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아주, 상일여)
目□識丁, 燈下□明
5. ‘늙을 (로)+아들 (자)’로 ‘효도하다’의 뜻을 가진 한자를 쓰시오. (백운, 정신여)
6.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동신, 광명)
청춘은 인생에서 단 한 번밖에 오지 않는다.
7. 밑줄 친 뜻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시오. (풍납여, 대치)
산이 푸르다. □
8. ㉠ 의 한자를 이용하여 ㉡ 의 뜻에 해당하는 4자 성어를 쓰시오. (한강, 명지)
㉠ 山, 江, 水, 靑, 高, 流, 淸
㉡ 산이 높고 물이 맑다. ( )
9.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의 독음을 쓰시오. (오금, 한영)
幸福은 하루하루의 보람 있는 생활 속에서 이루어진다.
10. ‘百聞 不如一見’은 어느 것이 낫다는 것인지 두 음절의 한자로 쓰시오.
(휘문, 한양)
11. ‘男兒一言重千金’을 해석하시오. (중앙여, 방배)
12. ‘責善은 朋友之道라’에서, 가장 먼저 새기는 한자를 쓰시오. (경원, 문창)
13. ‘부부는 二姓之合이라’에서, 밑줄 친 ‘부부’를 한자로 쓰시오. (서라벌, 고덕)
주관식 기출문제 ………
1. 本
2. 권하다
3. 尺
4. 不
5. 孝
6. 靑春
7. 靑
8. 山高水淸
9. 행복
10. 一見
11. 남자의 말 한마디는 천금보다 중하다.
12. 善
13. 夫婦
① 사람② ~의
③ ~것④ 얻다
13. 다음 낱말의 독음이 바른 것은 ? (가원, 이수)
① 倫理 : 윤리② 人倫 : 인윤
③ 禮節 : 예의④ 問責 : 문제
14. 다음 한자를 잘못 쓴 것은 ? (언북, 광명북)
① 눈-目② 알다-織
③ 우물-井④ 밝다-明
⑤ 아래-下
15. 다음 중, ‘사람의 견문이 좁음’을 비유하는 성어는 ? (성덕여, 대명)
① 東問西答② 坐井觀天
③ 九死一生④ 我田引水
⑤ 無
16. 다음 ( )에 들어갈 문장 성분은 ? (한산, 세륜)
百聞 不如 一見
주어 서술어 ( )
① 보어② 관형어
③ 부사어④ 목적어
⑤ 서술어
17. 다음 중 ‘友’와 뜻이 같은 자는 ? (고려사대부속, 중동)
① 忠② 朋
③ 君④ 孝
18. ‘孝’를 활용한 것이 어색한 것은 ? (언주, 선화예술)
① 孝心② 孝子
③ 忠孝④ 孝父
19. 다음 중 짜임이 다른 한자어는 ? (도곡, 은광여)
① 夫婦② 朋友
③ 兄弟④ 父母
20. 다음 중 ‘착하다’는 뜻의 한자는 ? (영동, 단대사대부속)
① 家② 戶
③ 善④ 益
21. 다음 중 ‘모양’을 뜻하는 한자는 ? (오금, 선정여)
① 長② 形
③ 松④ 揚
22. 다음 중 사시사철 시들지 않는 나무는 ? (상명사대부속, 세화여)
① 柳② 楓
③ 果④ 松
23. 다음 중 ‘白’의 의미가 다른 하나는 ? (풍납여, 방학)
① 明白② 白雪
③ 白色④ 白馬
24. 다음 중 ‘年’과 같은 뜻의 한자는 ? (동명여, 정신여)
① 日② 歲
③ 辰④ 月
25. 다음 중 ‘是’의 상대어로 가장 알맞은 것은 ? (일신여, 선정여)
① 非② 無
③ 有④ 不
26. 다음 중 부정사가 아닌 것은 ? (영도, 원촌)
① 無② 不
③ 非④ 有
27. 다음의 한자들의 공통점은 ? (오륜, 공릉)
養 陽 揚 羊
① 뜻이 같다.② 둘 이상의 음을 가졌다.
③ 음이 같다.④ 부수를 제외한 획수가 같다.
28. 다음 중 두음 법칙이 적용되는 한자는 ? (온곡, 한일)
① 落② 松
③ 戶④ 節
29. 다음 중 제부수한자가 아닌 것은 ? (진선여, 광남)
① 色② 戶
③ 長④ 是
30. ‘道’가 ‘말하다’의 뜻으로 쓰인 것은 ? (영등포, 신구)
① 人道② 孝道
③ 報道④ 車道
⑤ 道德
31. 다음 중 부수가 서로 같지 않은 것은 ? (잠신, 문창)
① 必-恭② 兒-兄
③ 慈-思④ 要-妻
⑤ 孝-孫
32. 다음 한자들의 공통점은 ? (신목, 잠실)
孝 兄 告 重
① 부수의 위치가 같다.② 총획수가 같다.
③ 부수를 제외한 획수가 같다.④ 모두 회의자이다.
⑤ 뜻이 같다.
33. 다음 중 한자어의 독음이 옳지 않은 것은 ? (오주, 서울여)
① 忠孝 : 충효② 父子 : 부자
③ 必要 : 필요④ 師弟 : 사재
⑤ 敬老 : 경로
핵심기출문제 ………
1. ③
必 : 心부 1획
2. ③
회의자
3. ⑤
‘주어+서술어, 주어+서술어’의 짜임이 아닌 것을 찾을 것.
4. ④
‘弟’는 ‘아우’라는 뜻 뿐 아니라 ‘제자’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5. ①
② 아와 자
③ 필과 심
④ 제와 재
⑤ 후와 호
6. ③
받침 중 책받침()은 나중에 쓴다.
7. ③
動(동) : 움직이다
勤(근) : 부지런하다
8. ①
상형자 : 飛, 高, 山
형성자 : 苦, 活, 顔, 淺, 花
회의자 : 林, 明
9. ②
‘주술 관계’의 짜임은 ‘~가 ~어떠하다’로 풀이 된다.
① 수식, ③ 대등, ④ 대립, ⑤ 수식
10. ④
부수, 색인에 들어 있는 한자는 제부수의 한자이다.
幸(干, 5)
11. ②12. ③ 13. ①
14. ②
알다-識
짜다-織
15. ②
東問西答 : 엉뚱한 대답.
九死一生 : 간신히 살아남.
16. ①
주술보 문장
17. ②18. ④ 19. ②
20. ③
① 家(집 가) ② 戶(집 호)
③ 善(착할 선) ④ 益(더할 익)
21. ②
① 長(길 장) ② 形(모양 형)
③ 松(소나무 송)
④ 揚(드날릴 양)
22. ④
③ 課(과실 과)
④ 松(소나무 송)
23. ①
① 밝다 : 明白
② 희다 : 白雪, 白色, 白馬
24. ②
年(해 년)=歲(해 세)
25. ①
是(옳다)↔非(그르다)
26. ④
無(없을 무) 不(아닐 불)
非(아닐 비)
27. ③
養(기를 양) 陽(볕 양)
揚(드날릴 양) 羊( 양양)
28. ①
落(떨어질 락)
29. ④
是의부수는 ‘日’
30. ③
‘道’는 ‘길, 말하다, 방법’ 등의 뜻이 있다.
31. ④
‘恭’의 부수는 ‘心’, ‘要’의 부수는 ‘’
32. ①
‘重’의 부수는 ‘里’임.
33. ④
1. 다음 문장의 빈 칸에 적당한 한자를 쓰시오. (환일, 대청)
孝는 百行之□이라.
2. ‘責善 朋友之道’에서 ‘責’의 뜻을 쓰시오. (신동, 명지여)
3. 다음 □ 안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대림, 이수)
吾鼻三□ : 내 코가 석 자이다.
4. 다음 □ 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아주, 상일여)
目□識丁, 燈下□明
5. ‘늙을 (로)+아들 (자)’로 ‘효도하다’의 뜻을 가진 한자를 쓰시오. (백운, 정신여)
6.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동신, 광명)
청춘은 인생에서 단 한 번밖에 오지 않는다.
7. 밑줄 친 뜻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시오. (풍납여, 대치)
산이 푸르다. □
8. ㉠ 의 한자를 이용하여 ㉡ 의 뜻에 해당하는 4자 성어를 쓰시오. (한강, 명지)
㉠ 山, 江, 水, 靑, 高, 流, 淸
㉡ 산이 높고 물이 맑다. ( )
9.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의 독음을 쓰시오. (오금, 한영)
幸福은 하루하루의 보람 있는 생활 속에서 이루어진다.
10. ‘百聞 不如一見’은 어느 것이 낫다는 것인지 두 음절의 한자로 쓰시오.
(휘문, 한양)
11. ‘男兒一言重千金’을 해석하시오. (중앙여, 방배)
12. ‘責善은 朋友之道라’에서, 가장 먼저 새기는 한자를 쓰시오. (경원, 문창)
13. ‘부부는 二姓之合이라’에서, 밑줄 친 ‘부부’를 한자로 쓰시오. (서라벌, 고덕)
주관식 기출문제 ………
1. 本
2. 권하다
3. 尺
4. 不
5. 孝
6. 靑春
7. 靑
8. 山高水淸
9. 행복
10. 一見
11. 남자의 말 한마디는 천금보다 중하다.
12. 善
13. 夫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