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원종합평가
2. 핵심내용 정리
2. 핵심내용 정리
본문내용
?
① 泰斗② 助長
③ 晝夜④ 靑雲
⑤ 牛耳
5. ‘어려운 일이 거듭 일어난다’는 뜻으로 쓰이는 한자 성어는 ?
① 言中有骨② 苦盡甘來
③ 居安思危④ 雪上加霜
⑤ 名不虛傳
6. 다음 중 ‘苦學’과 뜻이 통하는 한자 성어는 ?
① 晝耕夜讀② 苦盡甘來
③ 頂門一針④ 身言書判
⑤ 多多益善
7. 다음 중 풀이 순서가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 ?
① 晝耕夜讀② 靑雲萬里
③ 言中有骨④ 吾鼻三尺
⑤ 興盡悲來
8. 다음 한자 중 음과 뜻이 모두 바른 것은 ?
① 難(란) 어렵다② 開(폐) 닫다
③ 靑(청) 푸르다④ 晝(화) 그림
⑤ 硯(견) 벼루
9. 다음 한자어 중 밑줄 친 한자의 뜻이 바르게 된 것은 ?
① 助長 : 길다② 善良 : 착하다
③ 事親 : 일④ 苦生 : 쓰다
⑤ 泰牛 : 말
10. 다음 중 독음이 바르지 못한 것은 ?
① 墨守(흑수)② 持論(지론)
③ 伏線(복선)④ 只今(지금)
⑤ 麥飯(맥반)
11. 다음 한자 성어 중 틀린 한자가 있는 것은 ?
① 寸鐵殺人(촌철 살인)② 安貧樂道(안빈 낙도)
③ 居安思危(거안 사위)④ 藥房甘草(약방 감초)
⑤ 草綠同色(초록 동색)
12. 다음 중 우리말 속담과의 연결이 바르지 못한 것은 ?
① 雪上加霜 ― 엎친 데 덮친 격
② 言中有骨 ― 말 속에 뼈가 있다.
③ 草綠同色 ― 가재는 게 편
④ 我田引水 ― 내 논에 물 대기
⑤ 風前燈火 ― 등잔 밑이 어둡다.
13. 다음 중□안에 들어갈 한자가 서로 상대관계가 아닌 것은 ?
① □耕□讀(주경 야독)
② □盡□來(고진 감래)
③ 雪□加□(설상 가상)
④ 居□思□(거안 사위)
⑤ □問□答(동문 서답)
14. 다음 중 ‘牛耳讀經’의 우리말 속담에 해당되는 것은 ?
①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② 쇠귀에 경 읽기
③ 내 논에 물 대기
④ 내 코가 석 자다.
⑤ 우물 안 개구리
15. 다음 중 아래와 관련있는 내용을 담은 한자 성어는 ?
첫째,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둘째, 우러러 하늘에 부끄러움이 없고, 굽어 사람에게 부끄러움이 없는 것.
셋째, 천하의 영재(英才)를 얻어 교육하는 것.
① 草綠同色② 寸鐵殺人
③ 事必歸正④ 雪上加霜
⑤ 君子三樂
16. 다음 성어의 풀이 순서가 바른 것은 ?
坐 井 觀 天
1 2 3 4
① 1 ― 2 ― 3 ― 4② 2 ― 1 ― 3 ― 4
③ 3 ― 2 ― 1 ― 4④ 4 ― 3 ― 2 ― 1
⑤ 2 ― 1 ― 4 ― 3
17. 다음 밑줄 친 부분에 알맞은 한자 성어를 아래에서 찾아 기호로 답하시오.
⑴ 자기의 분야에서 제 1인자가 되는 것은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⑵ 우리 반에는 내 마음을 이해할 친구가 없다.
⑶ 그의 실력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日就月將 ㉡墨水 ㉢ 泰斗 ㉣知音
18. 다음 한자어 중 짜임이 같은 것끼리 연결된 것은 ?
① 他山 ― 難兄 ② 知音 ― 立身
③ 靑雲 ― 紙筆④ 門前 ― 成市
⑤ 有骨 ― 讀經
19. ‘身言書判’과 짜임이 같은 성어는 ?
① 吾鼻三尺② 雪上加霜
③ 頂門一針④ 紙筆硯墨
⑤ 靑雲萬里
20. ‘名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元日② 秋夕
③ 立春④ 端午
⑤ 上元
21. 다음 중 음이 같은 한자끼리 짝지어진 것은 ?
① 午, 至② 寺, 謝
③ 訓, 貨④ 暑, 除
⑤ 證, 崇
22. 작년이 ‘乙亥年’이라면, 올해의 간지는 ?
① 丙子② 丁卯
③ 己未④ 甲子
⑤壬辰
23. ‘莫上莫下’와 비슷한 뜻의 성어는 ?
① 日就月將② 多多益善
③ 一進一退④ 言中有骨
⑤ 難兄難弟
24. ‘도와서 성장시킨다.’는 뜻이나, 보통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고사 성 어는 ?
① 知音② 泰斗
③ 晝耕夜讀④ 助長
⑤ 頂門一鍼
25. 다음 ㈎항과 ㈏항을 관계 있는 것끼리 연결하시오.
㈎ ⑴ 坐井觀天 ㈏ ㉠ 내 논에 물대기
⑵ 雪上加霜 ㉡ 쇠 귀에 경 읽기
⑶ 風前燈火 ㉢ 등잔 밑이 어둡다
⑷ 牛耳讀經 ㉣ 엎친 데 덮치기
⑸ 我田引水 ㉤ 우물 안 개구리
⑹ 吾鼻三尺 ㉥ 바람 앞에 등불
⑺ 燈下不明 ㉦ 내 코가 석자
26. 다음 중 서로 어울리지 않는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
① 正正 - 堂堂② 自信 - 洋洋
③ 意氣 - 揚揚④ 明明 - 白白
⑤ 獨也 - 靑靑
27. 다음 □ 안의 한자로 바르지 못한 것은 ?
① 右往□左 … 左 ② 非一非□ … 再
③ 此日□日 … 彼④ 感之□之 … 德
⑤ 多才多□ … 難
28. ‘自初至終’에서, ‘自’의 뜻은 ?
① ~로부터② 스스로
③ 자기④ 저절로
⑤ ~보다
29. ‘엉뚱한 사람이 이익을 차지함’이란 뜻을 가진 고사 성어는 ?
① 漁父之利② 先見之明
③ 見物生心④ 一擧兩得
⑤ 指呼之間
30. ‘日出於東山’에서, ‘於’의 풀이는 ?
① ~까지② ~에서
③ ~에게④ ~보다
⑤ ~의
31. 다음 문장과 관계 있는 것은 ?
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① 信② 禮
③ 愛④ 孝
⑤ 義
32. ‘長幼有序’의 ‘長’과 뜻이 같은 한자어는 ?
① 成長② 長短
③ 家長④ 長身
⑤ 長男
33. 다음 중 의문형의 문장은 ?
① 勿施於人② 仁人心也
③ 忠臣不事二君④ 地利不如人和
⑤ 汝知禮乎
34. 다음에서 대구를 이루는 것이 아닌 것은 ?
① 花開昨夜雨 花落今朝風
② 今春看又過 何日是歸年
③ 山形秋更好 江色夜猶明
④ 三五夜中新月色 二千里外故人心
⑤ 白頭山石磨刀盡 豆滿江波飮馬無
(35~37) 다음 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松下問童子,㈏ 只在此山中
㈐ 雲深不知處,㈑ 言師採藥去.
35. 윗시의 형식을 쓰시오.
36. 윗시를 바르게 배열한 것은 ?
① ㈎ ㈏ ㈐ ㈑② ㈎ ㈏ ㈑ ㈐
③ ㈎ ㈐ ㈑ ㈏④ ㈎ ㈑ ㈏ ㈐
⑤ ㈎ ㈐ ㈏ ㈑
37. 윗시의 지은이는 ?
① 가도 ② 두보
③ 백거이④ 남이
⑤ 송한필
단원종합평가
1. ③
2. ③
3. ②
4. ②
5. ④
6. ①
7. ③
8. ③
9. ②
10. ①
11. ④
12. ⑤
13. ③
14. ②
15. ⑤
16. ⑤
17. ⑴㉢ ⑵㉣ ⑶㉠
18. ②
19. ④
20. ③
21. ②
22. ①
23. ⑤
24. ④
25. (1)-㉤ ,(2)-㉣ ,(3)-㉥ ,(4)-㉡ ,(5)-㉠ ,(6)-㉦ ,(7)-㉢
26. ②
27. ⑤
28. ①
29. ①
30. ②
31. ④
32. ③
33. ⑤
34. ②
35. 5언절구
36. ④
37. ②
① 泰斗② 助長
③ 晝夜④ 靑雲
⑤ 牛耳
5. ‘어려운 일이 거듭 일어난다’는 뜻으로 쓰이는 한자 성어는 ?
① 言中有骨② 苦盡甘來
③ 居安思危④ 雪上加霜
⑤ 名不虛傳
6. 다음 중 ‘苦學’과 뜻이 통하는 한자 성어는 ?
① 晝耕夜讀② 苦盡甘來
③ 頂門一針④ 身言書判
⑤ 多多益善
7. 다음 중 풀이 순서가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 ?
① 晝耕夜讀② 靑雲萬里
③ 言中有骨④ 吾鼻三尺
⑤ 興盡悲來
8. 다음 한자 중 음과 뜻이 모두 바른 것은 ?
① 難(란) 어렵다② 開(폐) 닫다
③ 靑(청) 푸르다④ 晝(화) 그림
⑤ 硯(견) 벼루
9. 다음 한자어 중 밑줄 친 한자의 뜻이 바르게 된 것은 ?
① 助長 : 길다② 善良 : 착하다
③ 事親 : 일④ 苦生 : 쓰다
⑤ 泰牛 : 말
10. 다음 중 독음이 바르지 못한 것은 ?
① 墨守(흑수)② 持論(지론)
③ 伏線(복선)④ 只今(지금)
⑤ 麥飯(맥반)
11. 다음 한자 성어 중 틀린 한자가 있는 것은 ?
① 寸鐵殺人(촌철 살인)② 安貧樂道(안빈 낙도)
③ 居安思危(거안 사위)④ 藥房甘草(약방 감초)
⑤ 草綠同色(초록 동색)
12. 다음 중 우리말 속담과의 연결이 바르지 못한 것은 ?
① 雪上加霜 ― 엎친 데 덮친 격
② 言中有骨 ― 말 속에 뼈가 있다.
③ 草綠同色 ― 가재는 게 편
④ 我田引水 ― 내 논에 물 대기
⑤ 風前燈火 ― 등잔 밑이 어둡다.
13. 다음 중□안에 들어갈 한자가 서로 상대관계가 아닌 것은 ?
① □耕□讀(주경 야독)
② □盡□來(고진 감래)
③ 雪□加□(설상 가상)
④ 居□思□(거안 사위)
⑤ □問□答(동문 서답)
14. 다음 중 ‘牛耳讀經’의 우리말 속담에 해당되는 것은 ?
①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② 쇠귀에 경 읽기
③ 내 논에 물 대기
④ 내 코가 석 자다.
⑤ 우물 안 개구리
15. 다음 중 아래와 관련있는 내용을 담은 한자 성어는 ?
첫째,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둘째, 우러러 하늘에 부끄러움이 없고, 굽어 사람에게 부끄러움이 없는 것.
셋째, 천하의 영재(英才)를 얻어 교육하는 것.
① 草綠同色② 寸鐵殺人
③ 事必歸正④ 雪上加霜
⑤ 君子三樂
16. 다음 성어의 풀이 순서가 바른 것은 ?
坐 井 觀 天
1 2 3 4
① 1 ― 2 ― 3 ― 4② 2 ― 1 ― 3 ― 4
③ 3 ― 2 ― 1 ― 4④ 4 ― 3 ― 2 ― 1
⑤ 2 ― 1 ― 4 ― 3
17. 다음 밑줄 친 부분에 알맞은 한자 성어를 아래에서 찾아 기호로 답하시오.
⑴ 자기의 분야에서 제 1인자가 되는 것은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⑵ 우리 반에는 내 마음을 이해할 친구가 없다.
⑶ 그의 실력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日就月將 ㉡墨水 ㉢ 泰斗 ㉣知音
18. 다음 한자어 중 짜임이 같은 것끼리 연결된 것은 ?
① 他山 ― 難兄 ② 知音 ― 立身
③ 靑雲 ― 紙筆④ 門前 ― 成市
⑤ 有骨 ― 讀經
19. ‘身言書判’과 짜임이 같은 성어는 ?
① 吾鼻三尺② 雪上加霜
③ 頂門一針④ 紙筆硯墨
⑤ 靑雲萬里
20. ‘名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元日② 秋夕
③ 立春④ 端午
⑤ 上元
21. 다음 중 음이 같은 한자끼리 짝지어진 것은 ?
① 午, 至② 寺, 謝
③ 訓, 貨④ 暑, 除
⑤ 證, 崇
22. 작년이 ‘乙亥年’이라면, 올해의 간지는 ?
① 丙子② 丁卯
③ 己未④ 甲子
⑤壬辰
23. ‘莫上莫下’와 비슷한 뜻의 성어는 ?
① 日就月將② 多多益善
③ 一進一退④ 言中有骨
⑤ 難兄難弟
24. ‘도와서 성장시킨다.’는 뜻이나, 보통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고사 성 어는 ?
① 知音② 泰斗
③ 晝耕夜讀④ 助長
⑤ 頂門一鍼
25. 다음 ㈎항과 ㈏항을 관계 있는 것끼리 연결하시오.
㈎ ⑴ 坐井觀天 ㈏ ㉠ 내 논에 물대기
⑵ 雪上加霜 ㉡ 쇠 귀에 경 읽기
⑶ 風前燈火 ㉢ 등잔 밑이 어둡다
⑷ 牛耳讀經 ㉣ 엎친 데 덮치기
⑸ 我田引水 ㉤ 우물 안 개구리
⑹ 吾鼻三尺 ㉥ 바람 앞에 등불
⑺ 燈下不明 ㉦ 내 코가 석자
26. 다음 중 서로 어울리지 않는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
① 正正 - 堂堂② 自信 - 洋洋
③ 意氣 - 揚揚④ 明明 - 白白
⑤ 獨也 - 靑靑
27. 다음 □ 안의 한자로 바르지 못한 것은 ?
① 右往□左 … 左 ② 非一非□ … 再
③ 此日□日 … 彼④ 感之□之 … 德
⑤ 多才多□ … 難
28. ‘自初至終’에서, ‘自’의 뜻은 ?
① ~로부터② 스스로
③ 자기④ 저절로
⑤ ~보다
29. ‘엉뚱한 사람이 이익을 차지함’이란 뜻을 가진 고사 성어는 ?
① 漁父之利② 先見之明
③ 見物生心④ 一擧兩得
⑤ 指呼之間
30. ‘日出於東山’에서, ‘於’의 풀이는 ?
① ~까지② ~에서
③ ~에게④ ~보다
⑤ ~의
31. 다음 문장과 관계 있는 것은 ?
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① 信② 禮
③ 愛④ 孝
⑤ 義
32. ‘長幼有序’의 ‘長’과 뜻이 같은 한자어는 ?
① 成長② 長短
③ 家長④ 長身
⑤ 長男
33. 다음 중 의문형의 문장은 ?
① 勿施於人② 仁人心也
③ 忠臣不事二君④ 地利不如人和
⑤ 汝知禮乎
34. 다음에서 대구를 이루는 것이 아닌 것은 ?
① 花開昨夜雨 花落今朝風
② 今春看又過 何日是歸年
③ 山形秋更好 江色夜猶明
④ 三五夜中新月色 二千里外故人心
⑤ 白頭山石磨刀盡 豆滿江波飮馬無
(35~37) 다음 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松下問童子,㈏ 只在此山中
㈐ 雲深不知處,㈑ 言師採藥去.
35. 윗시의 형식을 쓰시오.
36. 윗시를 바르게 배열한 것은 ?
① ㈎ ㈏ ㈐ ㈑② ㈎ ㈏ ㈑ ㈐
③ ㈎ ㈐ ㈑ ㈏④ ㈎ ㈑ ㈏ ㈐
⑤ ㈎ ㈐ ㈏ ㈑
37. 윗시의 지은이는 ?
① 가도 ② 두보
③ 백거이④ 남이
⑤ 송한필
단원종합평가
1. ③
2. ③
3. ②
4. ②
5. ④
6. ①
7. ③
8. ③
9. ②
10. ①
11. ④
12. ⑤
13. ③
14. ②
15. ⑤
16. ⑤
17. ⑴㉢ ⑵㉣ ⑶㉠
18. ②
19. ④
20. ③
21. ②
22. ①
23. ⑤
24. ④
25. (1)-㉤ ,(2)-㉣ ,(3)-㉥ ,(4)-㉡ ,(5)-㉠ ,(6)-㉦ ,(7)-㉢
26. ②
27. ⑤
28. ①
29. ①
30. ②
31. ④
32. ③
33. ⑤
34. ②
35. 5언절구
36. ④
37. 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