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입지론, 공업입지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농업입지론, 공업입지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업입지론
1) 베버의 공업입지론
2) 뢰쉬의 공업입지론
3) 후버의 공업입지론
4) 아이샤드의 공업입지론

2. 농업입지론
- 튀넨의 고립국이론

본문내용

경영 집약도와 토지 이용 방식은 시장에서의 거리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하였는데, 그 원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금 토지 생산성을 E, 단위 농산물당의 시장가격을 P, 단위 생산비를 a, 단위 생산물의 단위 거리당 수송비를 f, 시장과의 거리를 K, 순수익을 R이라 하면 다음 관계가 성립된다.
R = E(P-a)-E라
튀넨은 순수익 R을 지대(地代 : landrente)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현대 경제학의 위치 지대(locational rent)에 해당되는 개념이다.
위 식에서 E, P, a, f는 고립국의 가정에서 이미 일정한 것으로 가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R=f(k)가 되어 순수익은 거리 변수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농산물이나 농업 경영 방식별로 위에 상술한 원리를 적용하여 시장에서의 거리에 따른 순수익의 변화 추세, 즉 지대선을 그려 보면 지대(순수익)가 0이 되는 지점이 있게 마련인데, 이 지점이 그 농업 경영 방식의 절대적 경경(耕境)이다.
이 경우 시장에서 가까운 토지를 차지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각 경영 방식 간에 토지 경합이 일어나게 된다. 토지 경합에서 실제로 유리한 토지를 차지하는 경영은 최고의 지대(순수익)를 얻는 경영이어야 하므로 경제적 경경은 절대적 경경의 내측에 있게 마련이다.
튀넨의 동심원상 농업권의 배열 순서와 농업권의 범위는 이러한 경합 원리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러므로 농업 공간의 배치는 시장에 가까운 장소일수록 수송비의 부담률이 크거나 부패하기 쉬운 농산물을 생산하고, 시장에서 먼 장소일수록 수송비의 부담률이 적고 쉽게 부패하지 않는 농산물을 생산하는 경영 방식을 배치시키는 원리이다. 그것은 이러한 배치 원리에 의해서만 고립국의 모든 장소가 각각 최대의 수익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농산물의 종류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자본과 노동의 투입량을 달리하는 6개의 농업 지역이 생긴다. 즉 ① 도시에서 자유로 비료를 공급받으면서 야채, 화초를 재배하고 우유를 생산하는 자유 농업, ② 도시에 신탄과 용재를 공급하는 임업, ③ 근채와 곡물을 교대로 재배하면서 지력을 유지하는 윤작 농업, ④ 곡물 생산과 가축 사육을 교대로 하는 곡초식 농업, ⑤ 경지를 3분한 후 춘경지와 추경지 및 휴경지를 두는 삼포식 농업, ⑥ 방목지의 순서로 도시 주변에 차례로 전개된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지나치게 비현실적인 가정을 토대로 전개된 입지론이므로 현실 적용에 문제가 있으며, 튀넨도 이 점을 인정하고 약간의 수정을 가하였다. 즉 고립국에 만일 가항 하천(可航河川)이 있을 경우 농업권은 수송비가 보다 저렴한 하천을 따라서 신장된다고 하였고, 또 고립국 내에 지방도시가 있으면 이 지방 도시를 중심으로 소규모의 농업권이 형성된다고 하였다.
튀넨 이론이 최근 교통의 비약적 발달로 그 의의가 상당히 감소되기는 하였으나 농업의 배치가 일정한 공간 질서를 가지고 있으며, 또 그 공간 질서는 경제 원리에 의하여 규정되는 한 튀넨 이론은 아직도 농업 입지론으로서의 본질적 가치가 불변하다고 할 수 있다.

키워드

  • 가격1,1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64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