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목차
Ⅰ. 서 론
1. LG전자 소개
1) 회사 개요2. 연구목적 타당성
Ⅱ. 본 론
1. 해외직접투자 이론적 타당성
1) 입지우위력
2) 내부화우위력
2. 해외직접투자 전략적 타당성
1) 사례를 통한 행태분석
3. 해외직접투자 과정 및 절차
1) 절차의 타당성 검토
4. LG전자 해외진출 성공 요인
5. 해외직접 투자의 효과 및 영향
1) 투자 성과 비교 및 분석
Ⅲ. 결 론
1. LG 해외직접투자 문제제기와 해답과 정답
2. 총평
Ⅳ. 참고문헌
1. LG전자 소개
1) 회사 개요2. 연구목적 타당성
Ⅱ. 본 론
1. 해외직접투자 이론적 타당성
1) 입지우위력
2) 내부화우위력
2. 해외직접투자 전략적 타당성
1) 사례를 통한 행태분석
3. 해외직접투자 과정 및 절차
1) 절차의 타당성 검토
4. LG전자 해외진출 성공 요인
5. 해외직접 투자의 효과 및 영향
1) 투자 성과 비교 및 분석
Ⅲ. 결 론
1. LG 해외직접투자 문제제기와 해답과 정답
2. 총평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체 투자의 70% 이상을 집중할 계획이다. 나머지 30%의 재원은 휴대폰·디지털TV·가전 등 기존사업에 투입해 차별화된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전략적 협력 파트너에게는 투자 외에도 해외사업 연계, 경영 컨설팅 등 다각적인 지원활동도 펼치기로 했다. 이날 행사에서 김 부회장은 휴대폰·홈네트워크 분야의 연구개발로 성과를 거둔 I&C테크놀러지·오라컴·플레넷 3개 벤처기업 CEO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벤처기업과 탄탄한 파트너십을 통해 부품·소재에서부터 신기술·신사업 개발에 이르기까지 기대 이상의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다. 벤처기업의 모험정신은 시장에서 ‘블루오션’을 만들어낼 수 있는 힘이다.
- 주요 투자성과
○ 매출액 : 매년 30-40%의 지속적인 매출 신장세를 시현, 총매출이 2001년 4.8억불→2002년 7억불→2003년 9억불→2004년 12억불(예상)로 지속 증가 추세
○ 가장 대표적인 가전제품인 컬러TV에서 2002년 시장점유율 단독 1위로 부상한데 이어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MWO 등 가전제품 전반에 걸쳐 매년 신장세를 이어가고 있음
○ 투자 이익에 기초한 지속적인 설비 확장
- 2003년 6월부터 인도 중서부 Pune지역에 5천만불을 신규투자하여 2004년 8월까지 제2공장을 설립, 생산기반 확대중
- Pune지역에 투자한 5천만불은 전액 영업이익을 재투자한 것임
- 2005년초 Pune 공장에 인도에서는 처음으로 핸드폰 생산공장을 설립, 2010년까지 연산 2,000만대 생산체제를 갖출 계획
Ⅲ. 결론
1. LG 해외직접투자 문제제기와 해답과 정답
첫째, 불황기의 과감한 투자 확대 전략으로 인한 현금흐름 악화.
1997년 이후 심각한 불황기속에서 수출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지만 내수에 있어서는 급격한 매출감소를 가져왔다. 또한 IT산업과 미국경제의 침체로 인해 디스플레이 & 미디어 부문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였으며, 영업이익률 역시 2%대에 머무는 등 IT관련 사업부문에 있어서는 매우 어려웠다.
다행히 가전부문은 매출액 기준으로 전년 대비 28% 성장하면서 12%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해 수익원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냈다. 정보통신부문은 단말사업이 57%가량 성장한 데 힘입어 전체적으로 약 27%의 매출액 성장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전체적인 불황기속에서 LG전자는 과감한 투자 확대 전략을 펴, 부채증가 등 부분적으로 현금흐름의 악화를 가져왔다.
이에 LG는 담보제공을 통한 신용대출을 통하여 해결하는데, 주력하였다. 이러한 현금흐름을 확보한 이후 과잉재고 처분등을 통해 현금흐름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였다.
하지만 이는 문제가 일어난 이후의 사후관리이지 문제원인을 해결하지 못한 것이다. 우선적인 사전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스템을 위해선 전문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특히 금융부문이 취약하다고 할수 있다. 부실채권을 매입하여 큰 낭패를 보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전산시스템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인다면 이러한 부분은 쉽게 해결되리라 본다. 또한 과신한 나머지 부채를 조기 상환하여 다음해 현금흐름의 악화를 가져온 경우도 있다.
생산, 영업, 관리면에서도 소비성향, 경제지표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판매신장을 예측하고 생산하여 재고를 줄이고 불필요한 마케팅활동비를 줄이는 등 기업활동면에서도 신중을 가해야 할 것이다.
둘째, LG전자의 주력제품 중 백색가전제품은 그 경쟁력이 우위에 있지만 디지털 정보가전의 주력인 휴대폰과 디지털 TV등 일부산업은 그 경쟁력이 미비하다 하겠다.
전통적으로 국낸 전자, 정보통신 기업들은 부품사업에서 상대적으로 강세를 나타냈었다. 물론 LG전자도 마찬가지이다. 세트기기사업을 전개하기에는 제품 디자인과 마케팅의 역량이 경쟁기업에 뒤져 그 동안 Global 시장에서는 효력을 보지 못했던 것이다. 최근 들어 LG전자의 Global 사업전개 역량이 강화되면서 이러한 현상은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LG전자는 2000년 말 대수기준으로 세계 최대의 에어컨 생산기업으로 도약했다. 에어컨과 더불어 냉장고, 세탁기 등 이른바 백색가전과 관련한 LG전자의 위상은 최근 수년간 엄청나게 변했다.
IMF직전만 해도 LG전자는 백색가전을 성숙기에 접어든 사업으로 간주 백색가전 사업부문의 지분 매각까지도 검토했었다. 또한 생산설비를 동남아로 이관할 계획도 세웠다. 당시의 환율 및 임금구조 하에서는 수익을 맞추기 어렵다는 판단에서였다. 그러나 IMF로 인해 생산설비 이전 계획은 취소되었고 원가경쟁력과 환율개선을 통해 LG전자는 단숨에 세게적인 경쟁력을 보유한 백색가전 기업으로 도약했다. LG전자의 원가경쟁력은 1달러 당 1,000원의 환율구조에서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개선되어 있다. 하지만 디지털 정보가전의 주력인 휴대폰과 디지털 TV등 일부산업은 그 경쟁력이 백색가전에 비해 미비하다 하겠다. 그결과 국내기업인 삼성보다도 부분적으로 많이 밀려있다. 2001년에는 다행히도 정보통신부문은 단말사업이 57%가량 성장한 데 힘입어 전체적으로 약 27%의 매출액 성장을 기록하였다.
하지만 Global기업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대책이 필요하다 하겠다. 따라서 LG전자가 이부문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핵심부품확보와 개발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휴대폰의 경우 국내기업이 소형 디스플레이, 2차 전지 등에서는 나름대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데 CDMA 칩셋의 경우 아직도 퀄컴사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3G단말기에서도 이러한 추세는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데, 점진적으로 이숙제 해결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Global기업들에 비해 후발주자로서 경쟁력과 기반이 약하다.
LG전자는 1995년 이후에 해외진출이 85%가량일 정도로 해외진출이 선진 Global기업에 비해 시기가 느리기 때문에 생산, 판매, 영업망이 뒤져 시장진입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판매와 마케팅부문에서 부진을 가져오고 소비자들의 성향도 굳어져 있어 경쟁력이 약하다.
따라서 LG전자는 어떻게 해야 될 것인가. TFT-LCD사례에서 보면 LG전자는 13.3인치 이상의 대화면 제품에 적합한 새로운 생산라인 증설을 추진하였고 일본업체들은 12.1
- 주요 투자성과
○ 매출액 : 매년 30-40%의 지속적인 매출 신장세를 시현, 총매출이 2001년 4.8억불→2002년 7억불→2003년 9억불→2004년 12억불(예상)로 지속 증가 추세
○ 가장 대표적인 가전제품인 컬러TV에서 2002년 시장점유율 단독 1위로 부상한데 이어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MWO 등 가전제품 전반에 걸쳐 매년 신장세를 이어가고 있음
○ 투자 이익에 기초한 지속적인 설비 확장
- 2003년 6월부터 인도 중서부 Pune지역에 5천만불을 신규투자하여 2004년 8월까지 제2공장을 설립, 생산기반 확대중
- Pune지역에 투자한 5천만불은 전액 영업이익을 재투자한 것임
- 2005년초 Pune 공장에 인도에서는 처음으로 핸드폰 생산공장을 설립, 2010년까지 연산 2,000만대 생산체제를 갖출 계획
Ⅲ. 결론
1. LG 해외직접투자 문제제기와 해답과 정답
첫째, 불황기의 과감한 투자 확대 전략으로 인한 현금흐름 악화.
1997년 이후 심각한 불황기속에서 수출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지만 내수에 있어서는 급격한 매출감소를 가져왔다. 또한 IT산업과 미국경제의 침체로 인해 디스플레이 & 미디어 부문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였으며, 영업이익률 역시 2%대에 머무는 등 IT관련 사업부문에 있어서는 매우 어려웠다.
다행히 가전부문은 매출액 기준으로 전년 대비 28% 성장하면서 12%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해 수익원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냈다. 정보통신부문은 단말사업이 57%가량 성장한 데 힘입어 전체적으로 약 27%의 매출액 성장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전체적인 불황기속에서 LG전자는 과감한 투자 확대 전략을 펴, 부채증가 등 부분적으로 현금흐름의 악화를 가져왔다.
이에 LG는 담보제공을 통한 신용대출을 통하여 해결하는데, 주력하였다. 이러한 현금흐름을 확보한 이후 과잉재고 처분등을 통해 현금흐름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였다.
하지만 이는 문제가 일어난 이후의 사후관리이지 문제원인을 해결하지 못한 것이다. 우선적인 사전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스템을 위해선 전문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특히 금융부문이 취약하다고 할수 있다. 부실채권을 매입하여 큰 낭패를 보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전산시스템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인다면 이러한 부분은 쉽게 해결되리라 본다. 또한 과신한 나머지 부채를 조기 상환하여 다음해 현금흐름의 악화를 가져온 경우도 있다.
생산, 영업, 관리면에서도 소비성향, 경제지표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판매신장을 예측하고 생산하여 재고를 줄이고 불필요한 마케팅활동비를 줄이는 등 기업활동면에서도 신중을 가해야 할 것이다.
둘째, LG전자의 주력제품 중 백색가전제품은 그 경쟁력이 우위에 있지만 디지털 정보가전의 주력인 휴대폰과 디지털 TV등 일부산업은 그 경쟁력이 미비하다 하겠다.
전통적으로 국낸 전자, 정보통신 기업들은 부품사업에서 상대적으로 강세를 나타냈었다. 물론 LG전자도 마찬가지이다. 세트기기사업을 전개하기에는 제품 디자인과 마케팅의 역량이 경쟁기업에 뒤져 그 동안 Global 시장에서는 효력을 보지 못했던 것이다. 최근 들어 LG전자의 Global 사업전개 역량이 강화되면서 이러한 현상은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LG전자는 2000년 말 대수기준으로 세계 최대의 에어컨 생산기업으로 도약했다. 에어컨과 더불어 냉장고, 세탁기 등 이른바 백색가전과 관련한 LG전자의 위상은 최근 수년간 엄청나게 변했다.
IMF직전만 해도 LG전자는 백색가전을 성숙기에 접어든 사업으로 간주 백색가전 사업부문의 지분 매각까지도 검토했었다. 또한 생산설비를 동남아로 이관할 계획도 세웠다. 당시의 환율 및 임금구조 하에서는 수익을 맞추기 어렵다는 판단에서였다. 그러나 IMF로 인해 생산설비 이전 계획은 취소되었고 원가경쟁력과 환율개선을 통해 LG전자는 단숨에 세게적인 경쟁력을 보유한 백색가전 기업으로 도약했다. LG전자의 원가경쟁력은 1달러 당 1,000원의 환율구조에서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개선되어 있다. 하지만 디지털 정보가전의 주력인 휴대폰과 디지털 TV등 일부산업은 그 경쟁력이 백색가전에 비해 미비하다 하겠다. 그결과 국내기업인 삼성보다도 부분적으로 많이 밀려있다. 2001년에는 다행히도 정보통신부문은 단말사업이 57%가량 성장한 데 힘입어 전체적으로 약 27%의 매출액 성장을 기록하였다.
하지만 Global기업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대책이 필요하다 하겠다. 따라서 LG전자가 이부문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핵심부품확보와 개발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휴대폰의 경우 국내기업이 소형 디스플레이, 2차 전지 등에서는 나름대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데 CDMA 칩셋의 경우 아직도 퀄컴사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3G단말기에서도 이러한 추세는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데, 점진적으로 이숙제 해결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Global기업들에 비해 후발주자로서 경쟁력과 기반이 약하다.
LG전자는 1995년 이후에 해외진출이 85%가량일 정도로 해외진출이 선진 Global기업에 비해 시기가 느리기 때문에 생산, 판매, 영업망이 뒤져 시장진입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판매와 마케팅부문에서 부진을 가져오고 소비자들의 성향도 굳어져 있어 경쟁력이 약하다.
따라서 LG전자는 어떻게 해야 될 것인가. TFT-LCD사례에서 보면 LG전자는 13.3인치 이상의 대화면 제품에 적합한 새로운 생산라인 증설을 추진하였고 일본업체들은 12.1
추천자료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에 대해서 (해외투자)
국내외 기업 중에서 해외직접투자를 진행한 사례 그 기업의 해외직접투자를 이론적 측면에서 ...
해외시장 진입전략_해외직접투자
[해외직접투자 의의] 해외직접투자의 개념과 특징, 동기, 유형, 장단점
[해외직접투자] 해외직접투자의 개념과 유형(분류) 및 결정요인
[해외직접투자] 해외직접투자의 개념, 유형, 동기
[해외직접투자의 개념과 특징] 해외직접투자의 정의, 유형, 동기, 효과
[해외직접투자이론] 해외직접투자 - 내부화이론 (수직적 통합, 수평적 통합, 다각적 통합)
[해외직접투자전략] 다국적기업(국제기업)의 해외직접투자의 특성과 유형
[해외직접투자 프로젝트 결정과정] 해외직접투자 프로젝트의 심사, 평가 및 결정과정
[해외직접투자의 개념] 해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의 의의와 동기
[해외직접투자요인]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제요인 (기업특유우위요인, 내부화우위요인, 입지우...
[한국의 무역과 해외직접투자] 한국(우리나라)의 무역 규모와 해외직접투자 규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