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iaget의 인지 발달 단계 이론
Vygotsky의 사회 역사적 심리 발달 이론
행동주의
인지주의
지 능
Vygotsky의 사회 역사적 심리 발달 이론
행동주의
인지주의
지 능
본문내용
의 결합을 공고히 하기 위해서는 만족스런 결과가 있어야 한다
② 자극 반응결합을 공고히 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있어야 한다
③ 신경생리학적 준비가 이뤄졌을 때 학습은 더 잘 이뤄질 수 있다.
3. 조작적 조건 형성
=> Skinner에 의해 주장, 인간의 자유의지가 없음을 단언
1) 행동유형 : 대응적(=반응적) 행동, 조작적 행동에 관심
- 대응적 행동 : 반사행동
- 조작적 행동 : 방출된 행동
=> 보이지 않는 힘에 의해 조종되는 측면이 있음
2) Puzzle box
- 레버를 누르는 행동을 방출시키는 학습목표를 위해서는 보상이 필요하다
- 올바른 행동을 할 때 보상을 주면 그 빈도가 증가
3) 강화의 원리
- 칭찬이 벌보다 효과적이다.
- 원하는 반응에 대한 보상을 줄 때는 즉각적으로 주어야 한다.
- 강화를 주되, 간헐적으로 보상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4) 강화의 유형
① 정적 강화 : 목표행동을 하면 유쾌한 반응을 주는 것
② 부적 강화 : 목표행동을 하면 혐오 반응을 줄여 주는 것
5) 강화물의 종류
① 1차적 강화물 : 음식, 수면과 같이 생리적 현상에 관련된 것
② 2차적 강화물 : 칭찬과 돈과 같은 학습되어진 경험에 근거한 것
6) 강화 계획
① 연속강화
② 간헐강화
㉠ 고정 비율 강화 : 강화가 일어나는 비율을 고정시켜 강화를 줌
㉡ 고정 간격 강화 : 강화가 일어나는 시간을 고정시켜 강화를 줌
㉢ 변동 간격 강화 : 강화가 일어나는 시간을 불규칙하게 하여 강화를 줌
㉣ 변동 비율 강화 : 강화가 일어나는 비율을 불규칙하게 하여 강화를 줌
=> 강화의 효과가 가장 오랫동안 지속
7) 처벌 : 목표행동의 감소를 위해 그 행동을 함
① 제거형 벌 :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유쾌한 반응을 삭감
② 수여형 벌 :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불쾌한 반응을 주는 것
=> 벌보다는 보상이 더 효과적임 → 체벌은 당장의 효과는 있으나 지속성이 없으며, 체벌 자체를 모델링하여 자신이 당한 체벌을 나중에 타인에게 적용할 수 있음
=> 처벌보다는 무시하는 것이 더 좋다. 그러나 무시할 수 없는 경우 처벌을 가해야 한다.
→ 처벌을 함에 있어 상대가 잘못을 인지한 상태에서 해야 하며 잘못된 행동에 즉시 벌을 줘야 한다
→ 한 번 벌을 줄 때는 확실하게 주는 것이 중요
8)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
- 조형(Shaping) : 목표 행동을 만들기 위해 결과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단계별로 강화를 주는 것
→ 연쇄 : 수평적 계열성, 단계별로 강화를 줌
→ 단서 철회 : 목표행동을 했을 때 강화를 주고, 서서히 강화물을 철수함
→ Premark 원리 : 강화물 효과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행동관찰을 통해 개인마다 강화물을 달리함
→ 자극통제/ 변별학습 : 어떤 자극에 대한 강화물 조절로 학습하게 함
- 자극통제 : 반응통제하는 기능을 확인하여, 그 자극을 주지 않도록 한다.
→ 토큰경제 : 포인트, 별과 같이 직접 돈과 관련된 것 아니나 보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
→ 수행계약(=행동계약) : 임상가와 피상담자, 교사와 학생간 구체적으로 행동 강화의 내용을 계약한 다음 다음행동 변화 추구
9)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수정
→ 소거 : 강화를 주지않음(=무시)
→ 차별강화 : 바람직한 행동을 하지 않을 때 강화
→ 상반 반응강화, 포만, 격리(일정기간 혼자 두는 것), 반응대가(바람직한 행동하지 않을 시 박탈성 벌을 줌)
10) 조작적 조건 형성이론의 비판
① 행동만 강조하고 인지과정 무시
② 환경의 영향 과대평가, 유기체의 내적 요인 과소평가, 결정론
③ 외적 강화 지나치게 중시, 내적 강화요인무시로 내적 동기 감소할 수도 있음
=> 외적 강화를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내적 동기가 감소하지 않을 수 있음
④ 단순한 행동은 설명가능하지만 복잡한 설명은 불가능(유기체가 개입할 가능성 무시)
11)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 형성의 비교
⇒ 고전적 조건형성 : 중립자극이 무조건 자극과 결합되어 행동이 나타남
⇒ 조작적 조건형성 : 반응에 따른 보상이 연결
4. 사회인지이론
- 벤두라 : 학습은 강화가 아니라, 관찰을 통해서 가능(대외적 강화를 통해서도 학습가능)
- 상호결정론(=교호적 상호작용, Reciprocal Interaction)
: 인간이 환경에 영향을 받지만, 환경에 영향을 줄 수도 있음
- 모델링의 과정
⇒ 주의 → 파지 → 재생 → 동기화
⇒ 주의 : 자신에게 관심있는 것만 포착
⇒ 파지 : 관심있는 행동만 기억
⇒ 재생 : 그 행동에 대한 연습
⇒ 동기화 : 학습이 이뤄진 이후에도 그 행동이 바로 나타나지는 않음
→ 강화되면 그 행동을 시행
→ 처벌받으면 그 행동을 당장에는 시행하지 않음
- 인지적 행동수정
- 행동수정을 받는 이가 그 방법을 전수받는 것
- 주도권은 점차 학생이나 피상담자에게 이양 → 결국에는 알아서 하게 됨
- 시사점 : 교사가 좋은 모델이 되어야 한다.
인지주의
◎ 기본견해
- 인간의 사고 과정을 컴퓨터의 정보처리과정과 유사하다고 보고 인간의 사고과정에 대한 연구
- S - O - R 관계
- 정신의 과정, 구조(정신 구성하는 요소간 관계 연구)
- 행동주의에서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이 등장하면서 인지 심리학 재등장
- 언어 발달에 대한 Skinner이론 비판
→ Skinner : 환경의 자극에 의해 학습 → 잘하면 보상, 못하면 가벼운 벌
→ Chomsky : 누군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언어 사용 → 언어를 습득하는 선천적 장치를 가지고 태어난다고 봄
=> 현대적 입장 :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일단 언어 습득에 대한 장치를 가지고 태어나지만 환경에 의해서 언어를 습득하게 됨
- 컴퓨터에 은유하여 인간의 정보처리 과정을 설명
Input
→
Processing
→
Output
입력
→
처리
→
출력
컴퓨터
키보드, 마우스등
→
중앙처리장치(CPU)
→
모니터, 프린터등
인 간
감각기관
→
뇌
→
언어, 행동
1. 통찰학습 : Khler → Thondike의 실험부정(시행착오에 의해 학습이 이뤄짐)
- 통찰 : 지각의 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장으로 재구조화(지각의 재구조화, 인지의 재구조화)
⇒ 서로 관련이 없는 사물이 통찰이 일어나면 무
② 자극 반응결합을 공고히 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있어야 한다
③ 신경생리학적 준비가 이뤄졌을 때 학습은 더 잘 이뤄질 수 있다.
3. 조작적 조건 형성
=> Skinner에 의해 주장, 인간의 자유의지가 없음을 단언
1) 행동유형 : 대응적(=반응적) 행동, 조작적 행동에 관심
- 대응적 행동 : 반사행동
- 조작적 행동 : 방출된 행동
=> 보이지 않는 힘에 의해 조종되는 측면이 있음
2) Puzzle box
- 레버를 누르는 행동을 방출시키는 학습목표를 위해서는 보상이 필요하다
- 올바른 행동을 할 때 보상을 주면 그 빈도가 증가
3) 강화의 원리
- 칭찬이 벌보다 효과적이다.
- 원하는 반응에 대한 보상을 줄 때는 즉각적으로 주어야 한다.
- 강화를 주되, 간헐적으로 보상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4) 강화의 유형
① 정적 강화 : 목표행동을 하면 유쾌한 반응을 주는 것
② 부적 강화 : 목표행동을 하면 혐오 반응을 줄여 주는 것
5) 강화물의 종류
① 1차적 강화물 : 음식, 수면과 같이 생리적 현상에 관련된 것
② 2차적 강화물 : 칭찬과 돈과 같은 학습되어진 경험에 근거한 것
6) 강화 계획
① 연속강화
② 간헐강화
㉠ 고정 비율 강화 : 강화가 일어나는 비율을 고정시켜 강화를 줌
㉡ 고정 간격 강화 : 강화가 일어나는 시간을 고정시켜 강화를 줌
㉢ 변동 간격 강화 : 강화가 일어나는 시간을 불규칙하게 하여 강화를 줌
㉣ 변동 비율 강화 : 강화가 일어나는 비율을 불규칙하게 하여 강화를 줌
=> 강화의 효과가 가장 오랫동안 지속
7) 처벌 : 목표행동의 감소를 위해 그 행동을 함
① 제거형 벌 :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유쾌한 반응을 삭감
② 수여형 벌 :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불쾌한 반응을 주는 것
=> 벌보다는 보상이 더 효과적임 → 체벌은 당장의 효과는 있으나 지속성이 없으며, 체벌 자체를 모델링하여 자신이 당한 체벌을 나중에 타인에게 적용할 수 있음
=> 처벌보다는 무시하는 것이 더 좋다. 그러나 무시할 수 없는 경우 처벌을 가해야 한다.
→ 처벌을 함에 있어 상대가 잘못을 인지한 상태에서 해야 하며 잘못된 행동에 즉시 벌을 줘야 한다
→ 한 번 벌을 줄 때는 확실하게 주는 것이 중요
8)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
- 조형(Shaping) : 목표 행동을 만들기 위해 결과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단계별로 강화를 주는 것
→ 연쇄 : 수평적 계열성, 단계별로 강화를 줌
→ 단서 철회 : 목표행동을 했을 때 강화를 주고, 서서히 강화물을 철수함
→ Premark 원리 : 강화물 효과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행동관찰을 통해 개인마다 강화물을 달리함
→ 자극통제/ 변별학습 : 어떤 자극에 대한 강화물 조절로 학습하게 함
- 자극통제 : 반응통제하는 기능을 확인하여, 그 자극을 주지 않도록 한다.
→ 토큰경제 : 포인트, 별과 같이 직접 돈과 관련된 것 아니나 보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
→ 수행계약(=행동계약) : 임상가와 피상담자, 교사와 학생간 구체적으로 행동 강화의 내용을 계약한 다음 다음행동 변화 추구
9)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수정
→ 소거 : 강화를 주지않음(=무시)
→ 차별강화 : 바람직한 행동을 하지 않을 때 강화
→ 상반 반응강화, 포만, 격리(일정기간 혼자 두는 것), 반응대가(바람직한 행동하지 않을 시 박탈성 벌을 줌)
10) 조작적 조건 형성이론의 비판
① 행동만 강조하고 인지과정 무시
② 환경의 영향 과대평가, 유기체의 내적 요인 과소평가, 결정론
③ 외적 강화 지나치게 중시, 내적 강화요인무시로 내적 동기 감소할 수도 있음
=> 외적 강화를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내적 동기가 감소하지 않을 수 있음
④ 단순한 행동은 설명가능하지만 복잡한 설명은 불가능(유기체가 개입할 가능성 무시)
11)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 형성의 비교
⇒ 고전적 조건형성 : 중립자극이 무조건 자극과 결합되어 행동이 나타남
⇒ 조작적 조건형성 : 반응에 따른 보상이 연결
4. 사회인지이론
- 벤두라 : 학습은 강화가 아니라, 관찰을 통해서 가능(대외적 강화를 통해서도 학습가능)
- 상호결정론(=교호적 상호작용, Reciprocal Interaction)
: 인간이 환경에 영향을 받지만, 환경에 영향을 줄 수도 있음
- 모델링의 과정
⇒ 주의 → 파지 → 재생 → 동기화
⇒ 주의 : 자신에게 관심있는 것만 포착
⇒ 파지 : 관심있는 행동만 기억
⇒ 재생 : 그 행동에 대한 연습
⇒ 동기화 : 학습이 이뤄진 이후에도 그 행동이 바로 나타나지는 않음
→ 강화되면 그 행동을 시행
→ 처벌받으면 그 행동을 당장에는 시행하지 않음
- 인지적 행동수정
- 행동수정을 받는 이가 그 방법을 전수받는 것
- 주도권은 점차 학생이나 피상담자에게 이양 → 결국에는 알아서 하게 됨
- 시사점 : 교사가 좋은 모델이 되어야 한다.
인지주의
◎ 기본견해
- 인간의 사고 과정을 컴퓨터의 정보처리과정과 유사하다고 보고 인간의 사고과정에 대한 연구
- S - O - R 관계
- 정신의 과정, 구조(정신 구성하는 요소간 관계 연구)
- 행동주의에서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이 등장하면서 인지 심리학 재등장
- 언어 발달에 대한 Skinner이론 비판
→ Skinner : 환경의 자극에 의해 학습 → 잘하면 보상, 못하면 가벼운 벌
→ Chomsky : 누군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언어 사용 → 언어를 습득하는 선천적 장치를 가지고 태어난다고 봄
=> 현대적 입장 :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일단 언어 습득에 대한 장치를 가지고 태어나지만 환경에 의해서 언어를 습득하게 됨
- 컴퓨터에 은유하여 인간의 정보처리 과정을 설명
Input
→
Processing
→
Output
입력
→
처리
→
출력
컴퓨터
키보드, 마우스등
→
중앙처리장치(CPU)
→
모니터, 프린터등
인 간
감각기관
→
뇌
→
언어, 행동
1. 통찰학습 : Khler → Thondike의 실험부정(시행착오에 의해 학습이 이뤄짐)
- 통찰 : 지각의 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장으로 재구조화(지각의 재구조화, 인지의 재구조화)
⇒ 서로 관련이 없는 사물이 통찰이 일어나면 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