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5~31번
정답
정답
본문내용
끼가 큰 소리로 웃으며,
“미련한 자라야, 뱃속에 든 간을 어이 들이고 낼 수 있겠느냐? 이는 잠시 나의 묘한 꾀로 미련하고 어리석은 너희 용왕과 수국 신하들을 속인 말이로다. 또, 너희 용왕이 병든 것이 나와 무슨 관계가 있다는 말이냐? 예로부터 전해지는 ㉣풍마우불상급(風馬牛不相及)이란 말은 이를 두고 이름이라. 그리고 이놈, 별주부야! 아무 걱정 없이 산 속에서 한가로이 지내던 나를 유인하여 너의 공을 이루려 하였으니, 수궁에서 죽을 뻔한 일을 생각하면 아직도 머리털이 꼿꼿이 서는 듯하다. 너를 죽여 나의 분을 풀어야 마땅하겠지만, 네가 나를 업고 만리창파 너른 바닷길을 왕래하던 수고를 생각하여 목숨만은 살려 주겠노라. 죽고 사는 일은 모두 하늘의 명에 달린 것이니, 속히 돌아가 다시는 부질없는 생각을 내지 말라고 용왕에게 전하여라. 나는 청산으로 돌아가노라.”
하고는 소나무 우거진 숲 속으로 자취를 감추어 버렸다.
(마) 이 때, 별주부는 토끼가 간 곳을 바라보며 길게 탄식하여 가로되,
“충성이 부족한 탓에 ㉤간특한 토끼에게 속아 빈 손으로 돌아가게 되었으니 무슨 면목으로 우리 용왕과 신하들을 대하리요`? 차라리 이 곳에서 죽는 것만 같지 못하도다.”
하고 토끼에게 속은 사연을 적어 바위에 붙이고, 머리를 바위에 부딪쳐 죽었다.
이와 같은 소설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① 대부분 행복한 결말로 끝난다.
② 다양한 인물을 통해 다양한 구성을 보인다.
③ 권선징악적 주제를 담고 있다.
④ 암송과 낭독이 쉬운 운문체이다.
⑤ 비현실적인 내용이 많다.
②
이 글은 설화가 정착되어서 만들어진 소설이다. 이 소설의 근원설화를 쓰시오.
구토지설
이 글에 대한 설명을 맞지 않은 것은?
① 고전소설② 우화소설
③ 판소리계소설④ 통속소설
⑤ 풍자소설
④
밑줄 친 낱말의 뜻으로 잘못된 것은?
① ㉠ 과인 : 임금이 자신을 높여 부르는 말
② ㉡ 영약 : 신비스러운 효험이 있는 약
③ ㉢ 일언반구 : 매우 짧은 말
④ ㉣ 풍마우불상급 : 서로 아무런 관계도 없음을 비유할 때 씀
⑤ ㉤ 간특한 : 간사하고 악독한
①
이 글로 미루어 이 소설의 주제가 될 수 없는 것은?
① 헛된 욕심을 부리지 말자.
② 어려움에 빠지더라도 지혜롭게 대처하자.
③ 생명은 누구나 소중하다.
④ 임금에 대한 충성심
⑤ 분수에 맞게 살자
③
글 (나)의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속담을 쓰시오.
호랑이 굴에 들어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미련한 자라야, 뱃속에 든 간을 어이 들이고 낼 수 있겠느냐? 이는 잠시 나의 묘한 꾀로 미련하고 어리석은 너희 용왕과 수국 신하들을 속인 말이로다. 또, 너희 용왕이 병든 것이 나와 무슨 관계가 있다는 말이냐? 예로부터 전해지는 ㉣풍마우불상급(風馬牛不相及)이란 말은 이를 두고 이름이라. 그리고 이놈, 별주부야! 아무 걱정 없이 산 속에서 한가로이 지내던 나를 유인하여 너의 공을 이루려 하였으니, 수궁에서 죽을 뻔한 일을 생각하면 아직도 머리털이 꼿꼿이 서는 듯하다. 너를 죽여 나의 분을 풀어야 마땅하겠지만, 네가 나를 업고 만리창파 너른 바닷길을 왕래하던 수고를 생각하여 목숨만은 살려 주겠노라. 죽고 사는 일은 모두 하늘의 명에 달린 것이니, 속히 돌아가 다시는 부질없는 생각을 내지 말라고 용왕에게 전하여라. 나는 청산으로 돌아가노라.”
하고는 소나무 우거진 숲 속으로 자취를 감추어 버렸다.
(마) 이 때, 별주부는 토끼가 간 곳을 바라보며 길게 탄식하여 가로되,
“충성이 부족한 탓에 ㉤간특한 토끼에게 속아 빈 손으로 돌아가게 되었으니 무슨 면목으로 우리 용왕과 신하들을 대하리요`? 차라리 이 곳에서 죽는 것만 같지 못하도다.”
하고 토끼에게 속은 사연을 적어 바위에 붙이고, 머리를 바위에 부딪쳐 죽었다.
이와 같은 소설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① 대부분 행복한 결말로 끝난다.
② 다양한 인물을 통해 다양한 구성을 보인다.
③ 권선징악적 주제를 담고 있다.
④ 암송과 낭독이 쉬운 운문체이다.
⑤ 비현실적인 내용이 많다.
②
이 글은 설화가 정착되어서 만들어진 소설이다. 이 소설의 근원설화를 쓰시오.
구토지설
이 글에 대한 설명을 맞지 않은 것은?
① 고전소설② 우화소설
③ 판소리계소설④ 통속소설
⑤ 풍자소설
④
밑줄 친 낱말의 뜻으로 잘못된 것은?
① ㉠ 과인 : 임금이 자신을 높여 부르는 말
② ㉡ 영약 : 신비스러운 효험이 있는 약
③ ㉢ 일언반구 : 매우 짧은 말
④ ㉣ 풍마우불상급 : 서로 아무런 관계도 없음을 비유할 때 씀
⑤ ㉤ 간특한 : 간사하고 악독한
①
이 글로 미루어 이 소설의 주제가 될 수 없는 것은?
① 헛된 욕심을 부리지 말자.
② 어려움에 빠지더라도 지혜롭게 대처하자.
③ 생명은 누구나 소중하다.
④ 임금에 대한 충성심
⑤ 분수에 맞게 살자
③
글 (나)의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속담을 쓰시오.
호랑이 굴에 들어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추천자료
1970년대 노동문학 윤흥길(아홉켤레), 조세희(난쏘공), 황석영(객지)의 세 작품에 드러난 작...
연암 박지원의 문학관과 작품의식
포스트 모더니즘 문학의 미술작품에 대한 상호텍스트성 - 김영하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이태준의 단편1편읽고 작품의줄거리와 문학사적의미를 적으시오oe.
이태준의 단편1편읽고 작품의줄거리와 문학사적의미를 적으시오jo
지금까지 소개된 아동 문학 작품 중 한가지를 읽고 아동문학 이론을 접목시켜 분석
[국문학] (A+) 1990년대 문학 특징과 은희경의 '타인에게 말걸기' 작품세계 및 작품분석
아동문학 작품과 아동사회정서적발달
풍자소설의 작품세계와 문학적 성격에 대하여 논의해 본다
가사문학(가사작품) 규방가사, 가사문학(가사작품) 여성가사, 가사문학(가사작품) 사대부가사...
장화홍련 고전 문학 작품 분석
[문학교육] 소설과 영화 속에서 살펴보는 문학 작품 - 소설 ‘태백산맥’과 영화 ‘태백산맥’의 ...
문학비평과 작품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