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신채호의 사상
1. 신채호의 낭가사상
2. 신채호의 근대국가관
3. 신채호의 정치사상
4. 신채호의 무정부주의
Ⅲ. 민족독립운동의 전개
1. 무장투쟁
2. 절대독립
3. 민족혁명
Ⅳ. 맺음말
Ⅱ. 신채호의 사상
1. 신채호의 낭가사상
2. 신채호의 근대국가관
3. 신채호의 정치사상
4. 신채호의 무정부주의
Ⅲ. 민족독립운동의 전개
1. 무장투쟁
2. 절대독립
3. 민족혁명
Ⅳ. 맺음말
본문내용
立運動』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1987
또한 자기 이념의 지나친 심취로 다른 활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타협하지 않으려고 하는 자세에서 그는 비판받을 수 있다. 그러나 신채호의 민족의식은 민족민중이라는 개념이 확고히 뿌리를 내리지 않은 상황에서 강조할 부분이었고, 또한 일본에게서의 독립이 제 1의 과제였으므로 민족주의의 고취는 꼭 필요했으리라 본다. 이와 더불어 나타난 근대국가관과 정치사상은 두 번째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신채호의 의지였으며 이는 國家, 社會, 民衆을 발견한 중요한 사상체계였다.
신채호는 그의 사상을 정리하는데 멈추지 않았다. 단재는 자기의 사상을 직접 실천에 옮겼고 민족독립운동에 그대로 나타났다. 武將鬪爭, 絶對獨立, 民族革命은 그의 대표적인 독립노선이었고, 그의 이러한 활동은 여러 독립단체와 각 개인에게 커다란 영향을 주게 되었다.
현재 우리는 분단이라는 완전한 독립을 이루지 못한 상태에 있다. 同族이라 하지만 분단이후 냉전의 소용돌이 속에서 우리는 극과 극으로 나뉘었고 서로 <敵>으로 규정하게 이르렀다. 이는 우리에게 통일이라는 숙명적인 과제를 던져 놓았고, 이를 위해 남북은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하지만 그 결과는 항상 서로의 입장 차이만 확인하는 선에서 끝났다. 이제 그 해결점을 단재에게 찾아보고 싶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신채호가 그렇게 강조하고 우리에게 알려주려 했던 그 民族, 그리고 단재의 그 열성적인 삶과 추진력이 통일을 절실히 원하는 우리들의 자세가 아닐까 한다.
-참고문헌-
裵勇一,「申采浩의 郎家思想의 背景과 構造」,『申采浩의 思想과 民族獨立運動』,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1987
愼鏞廈, 「申采浩의 民族獨立運動의 特徵」,『申采浩의 思想과 民族獨立運動』,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1987
申一澈,「申采浩의 近代國家觀」,『申采浩의 思想과 民族獨立運動』,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1987
盧泰久,「申采浩의 政治思想」,『申采浩의 思想과 民族獨立運動』,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1987
金培,「申采浩의 無政府主義에 관한 一考察」,『申采浩의 思想과 民族獨立運動』,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1987
李萬烈,『丹齋 申采浩의 歷史學 硏究』, 문학과 지성사, 1990
우실하, 『단재 신채호 애국계몽사상의 전개과정에 대한 연구(1905~1910),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1988
조동걸/한영우/박찬승,「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하)」,『창작과 비평사』, 1999
또한 자기 이념의 지나친 심취로 다른 활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타협하지 않으려고 하는 자세에서 그는 비판받을 수 있다. 그러나 신채호의 민족의식은 민족민중이라는 개념이 확고히 뿌리를 내리지 않은 상황에서 강조할 부분이었고, 또한 일본에게서의 독립이 제 1의 과제였으므로 민족주의의 고취는 꼭 필요했으리라 본다. 이와 더불어 나타난 근대국가관과 정치사상은 두 번째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신채호의 의지였으며 이는 國家, 社會, 民衆을 발견한 중요한 사상체계였다.
신채호는 그의 사상을 정리하는데 멈추지 않았다. 단재는 자기의 사상을 직접 실천에 옮겼고 민족독립운동에 그대로 나타났다. 武將鬪爭, 絶對獨立, 民族革命은 그의 대표적인 독립노선이었고, 그의 이러한 활동은 여러 독립단체와 각 개인에게 커다란 영향을 주게 되었다.
현재 우리는 분단이라는 완전한 독립을 이루지 못한 상태에 있다. 同族이라 하지만 분단이후 냉전의 소용돌이 속에서 우리는 극과 극으로 나뉘었고 서로 <敵>으로 규정하게 이르렀다. 이는 우리에게 통일이라는 숙명적인 과제를 던져 놓았고, 이를 위해 남북은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하지만 그 결과는 항상 서로의 입장 차이만 확인하는 선에서 끝났다. 이제 그 해결점을 단재에게 찾아보고 싶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신채호가 그렇게 강조하고 우리에게 알려주려 했던 그 民族, 그리고 단재의 그 열성적인 삶과 추진력이 통일을 절실히 원하는 우리들의 자세가 아닐까 한다.
-참고문헌-
裵勇一,「申采浩의 郎家思想의 背景과 構造」,『申采浩의 思想과 民族獨立運動』,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1987
愼鏞廈, 「申采浩의 民族獨立運動의 特徵」,『申采浩의 思想과 民族獨立運動』,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1987
申一澈,「申采浩의 近代國家觀」,『申采浩의 思想과 民族獨立運動』,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1987
盧泰久,「申采浩의 政治思想」,『申采浩의 思想과 民族獨立運動』,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1987
金培,「申采浩의 無政府主義에 관한 一考察」,『申采浩의 思想과 民族獨立運動』,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1987
李萬烈,『丹齋 申采浩의 歷史學 硏究』, 문학과 지성사, 1990
우실하, 『단재 신채호 애국계몽사상의 전개과정에 대한 연구(1905~1910),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1988
조동걸/한영우/박찬승,「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하)」,『창작과 비평사』, 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