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아메리카 변천 및 배경에 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라틴아메리카 변천 및 배경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Latin America

2. 발견 이전의 원주민시대

3.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

4. 신대륙의 탐험과 정복

5. 식민지 시대

6. 스페인의 식민정책

7. 포르투갈의 식민정책

8. 부르봉 왕조의 개혁과 스페인령 아메리카

9. 라틴아메리카 여러 나라의 독립

10. 독립 후 반동과 무정부 시기(1825~50)

11. 과두정 체제와 경제적 성장기(1850~1914)

12. 제1·2차 세계대전 사이(1919~39)

13. 제2차 세계대전 이후(1945~92)

14. 중앙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국기소개

15. 나라이름 어원소개

본문내용

국가가 외채상환 불능으로 어려움에 직면했다. 이와 함께 군정에서 서서히 민정으로 정권이 이양되고 민주화가 이루어졌다. 1990년대가 되자 일부 국가에서는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호전으로 변화의 징후를 보이고 있으나, 베네수엘라 및 페루의 경우 같이 실업, 마약, 테러, 고질적인 인플레이션, 외채상환 불능 등으로 혼란의 징후는 도처에서 나타나고 있다. → 아메리카 대륙
■ 멕시코(mexico)
현지 발음은 「메히꼬(Mexico)」, 스페인어로는 “Mejico\"로 표기하며 「멕시코」는 영어식 발음. 1325~1523년 사이에 나후아틀락(Nahuatlac)계의 아즈텍(Aztecs)민족이 현재의 멕시코시티에 수도로서 ”Mexico Tenochtitlan\"을 건설을 완료했다. 스페인의 멕시코 정복은 1519년 \"코르테스(Cortes)\"의 도착으로 시작되었고, 스페인 식민지로부터의 독립은 1821년,「멕시코(Mexico)」라는 명칭은 아즈텍(Aztecs) 민족의 수호신「멕시틀리(Mexitli)」에서 유래된것.
■ 과테말라(Guatemala)
스페인인이 침략하기 전까지 「마야(Maya)」문명을 꽃피웠던 인디오의 본거지. 「과테말라(Guatemala)」라는 국명은 인디오어의 ”kuautemalon(쿠아우테말론:고목(枯木)이라는 뜻)“에서 유래된다.
■ 온두라스(Honduras)
스페인어의 “honduras”는 “깊이”의 뜻이므로, 「온두라스(Honduras)」라는 국명은 “깊은 바다”라는 뜻. 유래는 콜롬부스가 1502년 8월 4일, 이곳 온두라스 곶(串)을 발견하고, 또 북안 먼바다에서 바다밑의 수심이 매우 깊은것을 발견한데서 “Honduras”라는 지명을 붙인것.
■ 코스타리카(Costa Rica)
중앙 아메리카 남부에 있는 나라. 정식 명칭은 코스타리카 공화국(Republic of Costa Rica). 북쪽은 니카라과, 남쪽은 파나마와 접하고, 동쪽은 카리브해, 서쪽은 태평양에 면한 지협(地峽)이다. 국명은 1539년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가 붙인 ‘풍요의 해안’이란 뜻의 명칭이 굳어진 것이다.
■ 니콰라과(Nicaragua)
「니카라과(Nicaragua)」라는 국명 및 호수이름은 스페인의 정복시대에, 그 정복자를 환영하고 또 기독교를 받아들인 “니카라오(Nicarao)\"라는 추장이름에서 유래된것.
■ 파나마(Panama)
1502년, 콜롬부스의 제 4차 탐험때 파나마의 북안이 발견되고, 1513년 스페인사람 드발보아(Vasco Nunez de Balboa)가 처음으로 파나마 지협(地峽)을 횡단하여 지금의 태평양 (당시에 그는 이를 ‘남해(南海)’라 명명함)을 발견했다. “파나마(Panama)”라는 말은 원주민 언어로 “어부” 또는 “물고기가 많다”라는 뜻.
■ 도미니카(Dominica)공화국
카리브해에는 「도미니카」라는 나라가 두곳이 있다. 아이티(Haiti)국과 이웃한 나라인 “도미니카 공화국(Dominican Republic)\"과, 소안틸열도의 옛 영국령 ”도미니카(Dominica)“이다. “Dominica”는 스페인어로 「성스러운(santo) 도밍고(domingo)의 나라(-ica)」를 뜻하며, “doming\"은 ’일요일‘이니 「(성스러운)일요일의 나라」가 된다.
■ 베네수엘라(Venezuela)
1499년, “알론소 데 오헤다(Alonso de Hojeda)”와 “아메리고 베스푸치(Amerigo vespucci)”가 이곳을 탐험할때, 해안에서 원주민이 물위에 집을 짓고 생활하는 것을 보고, 자기나라의 베네치아(Venezia)를 연상하여 「작은 베네치아」라는 뜻으로 「베네수엘라(Venezuela)」라고 부른 것이 그 국명의 기원.
■ 볼리비아(Bolivia)
고대 잉카(Inca)제국의 영역이고, 1960년대에는 쿠바의 게릴라 지도자 “체 게바라Che, Guevara)”가 활동했던 곳. 1825년 독립.「볼리비아(Bolivia)」라는 국명은 독립전쟁 당시「아메리카 독립, 해방의 은인」으로 불리는 “볼리바(Simon Bolivar)\"의 이름을 기리기 위하여 붙여진 것.
■ 브라질(Brazil)
1500년, 포르투갈의 항해가 카브랄(Pedro Alvarez Cabral)이 브라질을 최초로 발견(지금의 바이아주 남쪽 Porto seguro, 그는 이곳을 ‘참된 십자가’라는 의미인「벨라크루스」로 명명했다)하고, 그 땅이 포르투갈령임을 선언한 다음, 본국으로 돌아갈 때 염료목재를 싣고갔다. 그 나무가 당시 유럽에서 염료원료로 쓰이던 빨간색의 브라질우드(brazilwood)라는 나무와 흡사했고, 그후 이 염료재료에 대한 무역이 유럽에 성행함에 따라, 그것의 생산국을「브라질나무의 나라」라 하고, 그것이 줄어서「브라질(Brazil)」로 부르게 된 것.
■ 아르헨티나(Argentina)
1810년 스페인 식민지에서 독립했을 때, 라플라타강(Rio de la Plata:銀의 江)의 “Plata(銀)”를 고전어 및 라틴어화한 “Argentum”(프랑스어로 은(銀)은 ‘argent\'. 은의 소기호 ’Ag\'도 여기서 나온것)과 연관시켜 나라이름을「은의 나라」라는 뜻의 「아르헨티나(Argentina)」로 정한 것. 그런데 16세기 스페인 침략자들은 아르헨티나를 관통하는 라플라타강을 거슬러 올라가면, 전설처럼 전해지는 ‘은의 산지’로서 금은보화가 지천으로 깔린 잉카제국에 이르는 것으로 생각했음.
■ 에쿠아도르(Ecuador)
스페인어의 “ecuador\"는 ”적도(赤度)“라는 뜻. 이 나라가 적도 바로 아래에 있는데서 이런 이름이 붙여진것. 수도의「키토」북방 약 26㎞ 지점의 적도선상에 적도표지판이 건립되어 있음.
■ 우루과이(Uruguay)
국명은 이 나라에 흐르는「우루과이(Uruguay)」라는 강 이름에서 유래되며,「우루과이(Uruguay)」는 “새(uru)가 오는 물(gua)\"라는 뜻. 정식 국가명칭은「우루과이 동방공화국」인데, 이것은 이 나라가 아르헨티나와의 국경선에 인접해 흐르는 우루과이강의 동쪽에 위치하기 때문.
■ 칠레(Chile)
“Chile”의 어원은 케추아어로「눈, 추위」를 나타내는 Chile에서 왔다는 설과, 아이마라어로「땅이 끝나는 곳」을 뜻하는 Chili에서 유래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12.03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00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