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81~118번
본문내용
4. 영남 북부 산지 지역의 지리적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이 가운데 설명이 바르지 못한 것은 ? [공항, 창덕여]
① 내륙 지역의 강수량이 적은 것은 지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② 북부에는 동서 방향으로 태백 산맥이 뻗어 있다.
③ 농가 1호당 경지 면적이 좁고 밭농사가 성하다.
④ 유년층과 청년층이 감소하고 노년층이 증가하는 인구 구조가 나타난다.
⑤ 교통이 불편하고, 2차 산업의 발달이 부진하다.
115. 대동강 하류 지역과 상류 지역은 강수량이 다르다. 이와 같은 지역 간의 강 수량 차이에 영향을 준 주된 요인은 ? [보성, 세종]
① 위도② 지형
③ 격해도④ 식생
⑤ 해류
116. 다음 중 군산~장항 지역의 개발 사업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을 보기에서 골라 묶은 것은 ? [대진, 분당서현]
㉠ 국제적인 항구를 건설한다.
㉡ 대규모 경지 확장을 위한 계획이다.
㉢ 공업 단지와 공공 시설을 입지시킨다.
㉣ 금강 하구둑 건설도 이 계획의 일환이다.
① ㉠, ㉡, ㉢② ㉠, ㉡, ㉣
③ ㉠, ㉢, ㉣④ ㉡, ㉢, ㉣
⑤ ㉠, ㉡, ㉢, ㉣
117. 다음 북부 지방의 지도에서 A, B 지역을 비교한 내용 중 바른 것을 2개 고르면 ? [대진, 동북]
[A] [B]
① 지형-------화산 지형, 빙하 지형
② 농업 방식---1년 1작, 2년 3작
③ 지층-------신생대층, 고생대층
④ 식생-------침엽수림, 조엽수림
⑤ 지하 자원---텅스텐, 무연탄
118. 과거에 대동강의 중하류 지역은 내륙 수로로서 그 기능이 활발하였다. 이렇게 내륙 수운이 발달한 이유와 거리가 먼 것을 2개 고르면 ?[인창, 양정]
① 강물의 수량이 풍부하다.
② 유황(流況)의 변화가 크다.
③ 밀물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④ 강의 구배(경사)가 완만하다.
⑤ 하구는 침수가 많이 되어 수심이 깊다.
81. ④
진주를 중심으로 한 남해안 지역은 강수량이 가장 많고 대구 지역의 강수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82. ③
청정 수역(blue belt)은 해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범위의 바다에 설정해 놓은 구역이다. 육지에는 도시의 무질서한 팽창을 막기 위해 녹지대를 보호하는 개발 제한 구역(green belt)이 있다.
83. ①
인구 피라미드는 성별, 연령별 인구의 구성 상태를 나타내는 도표이며 이를 통해 그 지역 인구의 특징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성별 구성은 성비(여자 100에 대한 남자의 수)로도 알 수 있다.
84. ③
가옥의 구조는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눈이 많은 울릉도에는 많은 눈이 왔을 때 문밖출입이 곤란해진다. 이런 경우 활동 공간을 확보할 필요 때문에 우데기라는 독특한 가옥 구조가 생겼다.
85. ②
노동력 부족 현상이 심각하며 출생률 저하에 따른 취학 아동 감소로 본교가 폐지되거나 분교화되고 있다. 노령화된 농촌 지역에서 농가가 당대에 소멸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86. ③
60년대의 피라미드형 인구 구조에서 청장년층의 이출로 표주박형 인구 구조로 변화하였고, 낙후 지역으로 주민 소득이 낮으며 2차 산업 종사자가 적다. 교육문화 여건의 부족은 인구 유출을 더욱 가속화한다.
87. ①
지도에서 A 지역은 경북 북부 산지 지역으로 농업 중심이고, B 지역은 경북 남부 지역으로 도시가 발달되고, 공업이 발달된 지역이다.
88. ③
89. ①
90. ①
91. ③
우리 나라에는 모두 9기의 원전이 건설되어 가동 중이며 2기의 원전은 건설 중이다. 전력 생산량의 50% 이상을 차지할 만큼 원전의 비중이 높아졌으나 여러 가지 장점에 비해 환경 오염(방사능) 문제는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92. ③
잡곡 지대 : 그루갈이는 멸악 산맥 이남에서 주로 행해진다. 가뭄을 극복하기 위한 건조 농법으로 진압을 실시한다.
93. ④
북한 경제의 어려움 : 국가 통제에 의한 계획 경제와 폐쇄적인 경제 체제 때문
94. ⑤
95. ③
96. ②
97. ③
논밭 비율에 의한 농업 지역 구분 지도를 보면 대동강 하류 지역은 논밭 혼합 지역이며 중상류 지역은 밭농사 지역으로 나타난다. 북부 지방은 밭농사가 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98. ①
B는 다우지, 대륙도는 북부 지방으로 갈수록 커진다. C, E는 논농사가 발달하고 있다. A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는 온대림이 자라며 남해안과 제주도 등지에서는 난대림도 나타난다.
99. ①
대동강 상류 지역은 다우지이나 하류 지역은 소우지를 이룬다. 저평한 해안 지방은 지형성 강수가 없고 이에 따라 대동강 하구 광량만 일대는 강수량이 적으면서 증발량이 많아 천일 제염업이 발달하였다.
100. ①
대동강 유역 : 대동강 하구는 해수의 침수로 형성된 삼각강이라 내륙 수로 교통에 유리하며, 2년 3작을 하는 잡곡 지대
101. ④
공업 지대 : 사회주의 경제 체제는 국가 통제에 의한 계획 경제의 실시로 노동자의 근로 의욕 저하, 상품의 국제 경쟁력 약화 등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102. 남포
남포 : 평양과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고, 도로 교통항만 시설 등 사회 간접 자본이 발달되어 있어 남북 합작 공단의 가장 유리한 후보지이다.
103. ③
104. ②
105. ①
두만강 유역 계획은 대삼각권과 소삼각권으로 나뉘는데, 대삼각권은 청진~옌지~블라디보스토크를 연결하고, 소삼각권은 북한의 두 도시와 훈춘, 포시에트를 연결한다.
106. ⑤
합영법은 1984년에 만들어졌다.
107. ②
북부 지방의 인구 증가율은 점차 낮아져 2.23% 수준이며 성비는 100 : 99.2로 여초 현상이 나타난다. 도시 인구율은 62%(1985)로 추정되고 있다.
108. ⑤
북부 지방의 행정문화교통의 중심지이며 대동강 유역의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일찍부터 근대 공업이 발달한 도시를 찾는다.
109. ①
110. ⑤
평양~남포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지형의 형성과 특성을 파악하는 문제이다. 카르스트 지형, 삼각강, 간석지, 복잡한 해안선 등이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는가 ? 그리고 그러한 지형들이 어떤 특색을 나타내는 가를 알아보자.
111. 교통의 발달
112. ⑤
113. ①
114. ②
115. ②
116. ①
117. ②③
118. ②③내신문제연구소
① 내륙 지역의 강수량이 적은 것은 지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② 북부에는 동서 방향으로 태백 산맥이 뻗어 있다.
③ 농가 1호당 경지 면적이 좁고 밭농사가 성하다.
④ 유년층과 청년층이 감소하고 노년층이 증가하는 인구 구조가 나타난다.
⑤ 교통이 불편하고, 2차 산업의 발달이 부진하다.
115. 대동강 하류 지역과 상류 지역은 강수량이 다르다. 이와 같은 지역 간의 강 수량 차이에 영향을 준 주된 요인은 ? [보성, 세종]
① 위도② 지형
③ 격해도④ 식생
⑤ 해류
116. 다음 중 군산~장항 지역의 개발 사업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을 보기에서 골라 묶은 것은 ? [대진, 분당서현]
㉠ 국제적인 항구를 건설한다.
㉡ 대규모 경지 확장을 위한 계획이다.
㉢ 공업 단지와 공공 시설을 입지시킨다.
㉣ 금강 하구둑 건설도 이 계획의 일환이다.
① ㉠, ㉡, ㉢② ㉠, ㉡, ㉣
③ ㉠, ㉢, ㉣④ ㉡, ㉢, ㉣
⑤ ㉠, ㉡, ㉢, ㉣
117. 다음 북부 지방의 지도에서 A, B 지역을 비교한 내용 중 바른 것을 2개 고르면 ? [대진, 동북]
[A] [B]
① 지형-------화산 지형, 빙하 지형
② 농업 방식---1년 1작, 2년 3작
③ 지층-------신생대층, 고생대층
④ 식생-------침엽수림, 조엽수림
⑤ 지하 자원---텅스텐, 무연탄
118. 과거에 대동강의 중하류 지역은 내륙 수로로서 그 기능이 활발하였다. 이렇게 내륙 수운이 발달한 이유와 거리가 먼 것을 2개 고르면 ?[인창, 양정]
① 강물의 수량이 풍부하다.
② 유황(流況)의 변화가 크다.
③ 밀물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④ 강의 구배(경사)가 완만하다.
⑤ 하구는 침수가 많이 되어 수심이 깊다.
81. ④
진주를 중심으로 한 남해안 지역은 강수량이 가장 많고 대구 지역의 강수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82. ③
청정 수역(blue belt)은 해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범위의 바다에 설정해 놓은 구역이다. 육지에는 도시의 무질서한 팽창을 막기 위해 녹지대를 보호하는 개발 제한 구역(green belt)이 있다.
83. ①
인구 피라미드는 성별, 연령별 인구의 구성 상태를 나타내는 도표이며 이를 통해 그 지역 인구의 특징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성별 구성은 성비(여자 100에 대한 남자의 수)로도 알 수 있다.
84. ③
가옥의 구조는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눈이 많은 울릉도에는 많은 눈이 왔을 때 문밖출입이 곤란해진다. 이런 경우 활동 공간을 확보할 필요 때문에 우데기라는 독특한 가옥 구조가 생겼다.
85. ②
노동력 부족 현상이 심각하며 출생률 저하에 따른 취학 아동 감소로 본교가 폐지되거나 분교화되고 있다. 노령화된 농촌 지역에서 농가가 당대에 소멸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86. ③
60년대의 피라미드형 인구 구조에서 청장년층의 이출로 표주박형 인구 구조로 변화하였고, 낙후 지역으로 주민 소득이 낮으며 2차 산업 종사자가 적다. 교육문화 여건의 부족은 인구 유출을 더욱 가속화한다.
87. ①
지도에서 A 지역은 경북 북부 산지 지역으로 농업 중심이고, B 지역은 경북 남부 지역으로 도시가 발달되고, 공업이 발달된 지역이다.
88. ③
89. ①
90. ①
91. ③
우리 나라에는 모두 9기의 원전이 건설되어 가동 중이며 2기의 원전은 건설 중이다. 전력 생산량의 50% 이상을 차지할 만큼 원전의 비중이 높아졌으나 여러 가지 장점에 비해 환경 오염(방사능) 문제는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92. ③
잡곡 지대 : 그루갈이는 멸악 산맥 이남에서 주로 행해진다. 가뭄을 극복하기 위한 건조 농법으로 진압을 실시한다.
93. ④
북한 경제의 어려움 : 국가 통제에 의한 계획 경제와 폐쇄적인 경제 체제 때문
94. ⑤
95. ③
96. ②
97. ③
논밭 비율에 의한 농업 지역 구분 지도를 보면 대동강 하류 지역은 논밭 혼합 지역이며 중상류 지역은 밭농사 지역으로 나타난다. 북부 지방은 밭농사가 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98. ①
B는 다우지, 대륙도는 북부 지방으로 갈수록 커진다. C, E는 논농사가 발달하고 있다. A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는 온대림이 자라며 남해안과 제주도 등지에서는 난대림도 나타난다.
99. ①
대동강 상류 지역은 다우지이나 하류 지역은 소우지를 이룬다. 저평한 해안 지방은 지형성 강수가 없고 이에 따라 대동강 하구 광량만 일대는 강수량이 적으면서 증발량이 많아 천일 제염업이 발달하였다.
100. ①
대동강 유역 : 대동강 하구는 해수의 침수로 형성된 삼각강이라 내륙 수로 교통에 유리하며, 2년 3작을 하는 잡곡 지대
101. ④
공업 지대 : 사회주의 경제 체제는 국가 통제에 의한 계획 경제의 실시로 노동자의 근로 의욕 저하, 상품의 국제 경쟁력 약화 등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102. 남포
남포 : 평양과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고, 도로 교통항만 시설 등 사회 간접 자본이 발달되어 있어 남북 합작 공단의 가장 유리한 후보지이다.
103. ③
104. ②
105. ①
두만강 유역 계획은 대삼각권과 소삼각권으로 나뉘는데, 대삼각권은 청진~옌지~블라디보스토크를 연결하고, 소삼각권은 북한의 두 도시와 훈춘, 포시에트를 연결한다.
106. ⑤
합영법은 1984년에 만들어졌다.
107. ②
북부 지방의 인구 증가율은 점차 낮아져 2.23% 수준이며 성비는 100 : 99.2로 여초 현상이 나타난다. 도시 인구율은 62%(1985)로 추정되고 있다.
108. ⑤
북부 지방의 행정문화교통의 중심지이며 대동강 유역의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일찍부터 근대 공업이 발달한 도시를 찾는다.
109. ①
110. ⑤
평양~남포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지형의 형성과 특성을 파악하는 문제이다. 카르스트 지형, 삼각강, 간석지, 복잡한 해안선 등이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는가 ? 그리고 그러한 지형들이 어떤 특색을 나타내는 가를 알아보자.
111. 교통의 발달
112. ⑤
113. ①
114. ②
115. ②
116. ①
117. ②③
118. ②③내신문제연구소
추천자료
지역사회간호과정 [논문]
사회과 지도안-자연 환경과 인간 생활
일본의 전통복식
[의약학] 지역사회간호과정
장애인 형제를 가진 비 장애인 형제에 대한 문제
뇌출혈 &파킨슨
사회의 변화와 패러다임의 변화
심부정맥혈전증에 대한 케이스스터디
장애인 가족 고통에 대하여
정형케이스
장애가족지원의 목적, 생애주기에 따른 장애인 가족의 욕구, 정신장애인 재활프로그램, 장애...
장애인 가족 (가족복지, 현황, 특성, 서비스현황, 장애인가족지원)
조선시대의 집의 역사
[가족복지론] 장애인가족과 문화에 관해서 (장애인 가족의 개념과 정의, 장애인 가족의 현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