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실험 방법
-결과
-결론 및 논의
-실험 방법
-결과
-결론 및 논의
본문내용
어남에 따라 기억을 하는 용량에는 제한이 없는가?
실험문제 2. 자동적 처리가 이루어지는 철자와 그렇지 못한 철자가 단기 기억되는 것에도 차이가 있을까?
실험방법
실험대상
본 실험은 단기기억의 용량과 자동적 처리에 따른 처리에 대한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리말을 자동적 처리 시킬 수 있는 정도의 지식을 가진 학부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방법과 그 의도를 알게 하기 위하여 같은 수업을 듣는 학생들의 모임으로 그 집단을 정했으며 인원수가 부족하여 같은 학부생의 도움을 받아 2명을 더 동참시켜 총 10명이 이 실험에 참가할 수 있었다. 실험인원의 평균 나이는 22.5세 이고, 대학 3학년 내지 4학년에 재학 중이며 1명이 남자고 9명이 여자이다.
측정도구
본 실험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심리학과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은 ‘주의와 단기기억 실험’ 이었으며 유의미철자 실험과 무의미 철자 실험으로 나눠졌고 컴퓨터 파워 포인트에서 다운받은 자료를 열어 한명씩 실험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방법 및 절차
본 실험은 실험대상자가 컴퓨터 앞에 앉아 모니터를 주시하고 있으면 이를 작동시켜 주는 사람이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실험에 참가하게 된다. 실험대상자는 모두 2번의 실험에 참가하게 되어 있는데 무의미철자 실험을 먼저 한 후 10명의 대상자가 모두 무의미 실험을 마치면 다시 처음 순서대로 유의미 실험을 다시 하게 하였다. 실험 대상자가 실험의 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2번의 연습을 거친 후 본 실험에 들어가게 되는데, 화면에서 나오는 말에 따라 그를 따라하면 된다. 화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안내문구가 나온다.
“ 화면 중앙의 ‘+’ 기호를 응시하다가 화면 중앙에 문자가 나타나면 이를 기억합니다. 그 다음에 다시 문자가 이전 문자들에 있었는지를 판단하면 됩니다.”
이런 문구 이후에 ‘+’가 표시되어 있던 화면에 무의미/유의미 철자의 목록이 나타난다. 0.5초 후 다시 ‘+’ 가 화면에 나타나고 이번에는 무의미/유의미 철자가 나타난다. 그 후 화면에는 다음과 안내 문구가 나온다.
“방금 제시된 단어가 이전에 봤던 단어의 목록에 포함되어 있었습니까? 그렇다면 \'Y\' 아니면 \'N\'에 표시하여 주십시오.”
이에 따라 실험대상자는 방금 제시되었던 단어가 이전에 봤던 단어의 목록에 포함 되어 있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대답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단기기억에 대한 여러 가지 설정 목표를 측정 할 자료를 도출 할 수 있는 것이다.
숄
실험문제 2. 자동적 처리가 이루어지는 철자와 그렇지 못한 철자가 단기 기억되는 것에도 차이가 있을까?
실험방법
실험대상
본 실험은 단기기억의 용량과 자동적 처리에 따른 처리에 대한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리말을 자동적 처리 시킬 수 있는 정도의 지식을 가진 학부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방법과 그 의도를 알게 하기 위하여 같은 수업을 듣는 학생들의 모임으로 그 집단을 정했으며 인원수가 부족하여 같은 학부생의 도움을 받아 2명을 더 동참시켜 총 10명이 이 실험에 참가할 수 있었다. 실험인원의 평균 나이는 22.5세 이고, 대학 3학년 내지 4학년에 재학 중이며 1명이 남자고 9명이 여자이다.
측정도구
본 실험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심리학과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은 ‘주의와 단기기억 실험’ 이었으며 유의미철자 실험과 무의미 철자 실험으로 나눠졌고 컴퓨터 파워 포인트에서 다운받은 자료를 열어 한명씩 실험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방법 및 절차
본 실험은 실험대상자가 컴퓨터 앞에 앉아 모니터를 주시하고 있으면 이를 작동시켜 주는 사람이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실험에 참가하게 된다. 실험대상자는 모두 2번의 실험에 참가하게 되어 있는데 무의미철자 실험을 먼저 한 후 10명의 대상자가 모두 무의미 실험을 마치면 다시 처음 순서대로 유의미 실험을 다시 하게 하였다. 실험 대상자가 실험의 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2번의 연습을 거친 후 본 실험에 들어가게 되는데, 화면에서 나오는 말에 따라 그를 따라하면 된다. 화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안내문구가 나온다.
“ 화면 중앙의 ‘+’ 기호를 응시하다가 화면 중앙에 문자가 나타나면 이를 기억합니다. 그 다음에 다시 문자가 이전 문자들에 있었는지를 판단하면 됩니다.”
이런 문구 이후에 ‘+’가 표시되어 있던 화면에 무의미/유의미 철자의 목록이 나타난다. 0.5초 후 다시 ‘+’ 가 화면에 나타나고 이번에는 무의미/유의미 철자가 나타난다. 그 후 화면에는 다음과 안내 문구가 나온다.
“방금 제시된 단어가 이전에 봤던 단어의 목록에 포함되어 있었습니까? 그렇다면 \'Y\' 아니면 \'N\'에 표시하여 주십시오.”
이에 따라 실험대상자는 방금 제시되었던 단어가 이전에 봤던 단어의 목록에 포함 되어 있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대답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단기기억에 대한 여러 가지 설정 목표를 측정 할 자료를 도출 할 수 있는 것이다.
숄
추천자료
수학학습심리학 - 정보처리이론과 문제해결
Emergency kit 의 응급약물
심리학을 실생활에 적용하기 - 광고, 마케팅
유쾌한심리학 감상문
[중국온라인게임시장]중국의 IT인프라, 중국온라인게임시장의 현황, 한국기업의 중국온라인게...
호흡기계 약물
토질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1.함수비(Water Content)
착각하는 뇌
[2013년 기준] [CCU 약물] (관상동맥질환 집중치료병동에서 쓰이는 약물의 종류)
아동의 투약
[성인간호학][폐렴][pneumon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ICU 케이스]
자극 정보의 계열위치와 특이성이 기억에 미치는 영향
분석화학실험 - Use of Analytical Balance and Glass ware (저울 및 유리용기의 사용)
ER(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약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