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금은 그 흔적들이 정확하지 않지만 ‘셀라’ 등의 표기를 통해 노래의 간주가 들어간 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시편에 대한 넓은 이해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시편의 기록 배경, 평가, 구성, 의미 등을 알 수 있었으면 본론으로 들어가서 시편의 중요 내용에 대한 이해를 더 할 수 있었다. 이후에 대한 부분은 요약정리 하면서 시편의 신학적 의미와 삶의 적용을 돌아보고자 한다. 인간의 고백인 만큼 입번 정리를 통하여 설교에 유용한 자료가 되자 않을까 개인적으로 큰 기대를 한다.
시편 1편은 첫째로, 인생의 행복은 기도만이 아니라 삶에 의해서도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행복은 하나님께 특별히 기도만 한다고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가르침대로 살면, 그에 대한 보상으로 자연스럽게 주어지는것이 행복이다. 여기에는 인과응보의 논리가 적용되며 인생의 방정식은 수학공식같이 기계적이지 않고, 신비하리 만큼 복잡하다. 하지만 악인임에도 잘되는 것은 예외적인경우이거나, 그렇게 보이는 과정 일뿐 궁극적인 결과는 아니다.
둘째로, 악을 끊어야 의와 하나가 될 수 있다. 의인은 악인의 꾀에 No 할 수 있고, 죄인의 길에 No라고 말하며, 오만한 자리에 동석하는 일에 No라고 한다.
셋째로, 죄의 유혹은 처음에 시작되는 그 순간부터 끊어야 한다. 1절은 가장 미미한 죄의 유혹에서 시작하여 그 유혹의 강도가 점점 강해짐을 보여준다. 즉 ‘악인들의 권유’에 이끌리다가 ‘죄인의 선례’를 따르게 되고, 결국 ‘오만한 자의 자리’에 함께 하여, 그들의 악한 일에 적극성을 띄게 된다. 처음에는 ‘
이처럼 시편에 대한 넓은 이해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시편의 기록 배경, 평가, 구성, 의미 등을 알 수 있었으면 본론으로 들어가서 시편의 중요 내용에 대한 이해를 더 할 수 있었다. 이후에 대한 부분은 요약정리 하면서 시편의 신학적 의미와 삶의 적용을 돌아보고자 한다. 인간의 고백인 만큼 입번 정리를 통하여 설교에 유용한 자료가 되자 않을까 개인적으로 큰 기대를 한다.
시편 1편은 첫째로, 인생의 행복은 기도만이 아니라 삶에 의해서도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행복은 하나님께 특별히 기도만 한다고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가르침대로 살면, 그에 대한 보상으로 자연스럽게 주어지는것이 행복이다. 여기에는 인과응보의 논리가 적용되며 인생의 방정식은 수학공식같이 기계적이지 않고, 신비하리 만큼 복잡하다. 하지만 악인임에도 잘되는 것은 예외적인경우이거나, 그렇게 보이는 과정 일뿐 궁극적인 결과는 아니다.
둘째로, 악을 끊어야 의와 하나가 될 수 있다. 의인은 악인의 꾀에 No 할 수 있고, 죄인의 길에 No라고 말하며, 오만한 자리에 동석하는 일에 No라고 한다.
셋째로, 죄의 유혹은 처음에 시작되는 그 순간부터 끊어야 한다. 1절은 가장 미미한 죄의 유혹에서 시작하여 그 유혹의 강도가 점점 강해짐을 보여준다. 즉 ‘악인들의 권유’에 이끌리다가 ‘죄인의 선례’를 따르게 되고, 결국 ‘오만한 자의 자리’에 함께 하여, 그들의 악한 일에 적극성을 띄게 된다. 처음에는 ‘
소개글